아스카 시대
조무위키
일본의 역사 | |||
![]() |
선사 | 죠몬 시대(縄文時代) 야요이 시대(弥生時代) 고훈 시대(古墳時代) | |
![]() |
고대 | 아스카 시대(飛鳥時代) 나라 시대(奈良時代)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 |
중세 |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센고쿠 시대(戦国時代)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安土桃山時代) | ||
![]() |
근세 | 에도 시대(江戸時代) 세키가하라 전투 | |
근대 | 일본 제국(大日本帝国) 메이지 유신 청일전쟁 러일전쟁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
메이지 시대 (明治時代) 다이쇼 시대 (大正時代) 쇼와 시대 (昭和時代) | |
현대 | 현대 일본(日本国) 군정기 |
쇼와 시대 (昭和時代) 헤이세이 시대 (平成時代) 레이와 시대 (令和時代) |
아스카(飛鳥)
(538년 ~ 8세기 초)
불교의 격동기.
오늘날 일본 왕조가 들어선 시기도 바로 이 시기다. 우리가 아는 그 일본이 형성된 시기로 보면 된다.
불교를 수용할 것인가를 두고 모노노베 씨(불교 배척파)와 소가 씨(불교 수용파)가 격렬하게 맞붙은 시기이다. 당시 전래된 불교는 백제로부터 건너온 문물이므로, 모노노베 VS 소가의 전쟁에 백제가 개입했을 거라는 설도 있지만 일단 확실치는 않다.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백제의 성왕에 의해 불교와 불상이 전래되자 당시 반응이
긴메이(왕) : "야 이거 받아들일만 하냐? 불상은 삐까뻔쩍한데." 소가 : "딴 나라도 불교가 유행인데 우리도 해야죠." 모노노베 : "외국 잡신을 믿으면 원래 믿던 신께서 빡칩니다!"
라고 했다고.
소가 이나메는 왕의 허락을 얻어 불당을 짓고 불교를 모시는데 성공했는데, 하필이면 이 때 또 역병이 도는 바람에 반대파에게 빌미를 잡히고야 말았다. 역병이 돈 것은 모두 불교를 받아들여서 원래 신께서 분노했기 때문이라나 뭐라나. 결국 모노노베는 왕의 허락을 얻어 소가의 불당에 불을 질러버렸다.
다 줫망한 것 같았지만 이나메의 아들인 우마코는 굴복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우마코도 불교의 탄압을 피해갈 순 없었다. 또 역병이 터지는 바람에 모노노베 씨에게 빌미를 잡히게 된 것이다. 모노노베는 계속해서 불교 관련 건물에 불을 질러대면서 공격을 해왔는데, 여전히 역병이 사라지질 않자 사람들은 오히려 "이거 사실.. 불교를 함부로 대해서 그런거 아님...?" 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온갖 탄압을 당하는 와중에 불교는 '유일한' 회생의 기회를 얻게 된다. 긴메이의 뒤를 이은 요메이는 불교를 공인하고 싶어하였고 이를 공개적으로 논의하게 되었다. 그런데 요오오오메이가 병을 이기지 못하고 뒈짓해버리는 바람에 종교전쟁이 본격적으로 불타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소가와 모노노베의 싸움은 종교와 관련된 전쟁이기도 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지도자를 두고 싸우는 정치 권력 관계의 싸움이기도 했다. 이는 소가 우마코(蘇我馬子)와 모노노베 모리야(物部守屋)가 요메이를 이을 새 지도자의 계승을 두고 다퉜던 탓이었다.
결국에는 불교의 존립과 보급을 내세운 소가씨가 전쟁에서 승리했다.
전쟁이 끝난 후엔 소가 우마코의 조카인 하쓰세베 왕자가 왕으로 즉위했다. 소가의 세상이 된 것이다.
이후 불교는 신토와 신불습합이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되었다. 일본 불교가 실질적으로 등장하게 된 배경이라고 보면 될 듯. 신불습합의 첫 문을 연 것은 한쿡의 씹덕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쇼토쿠 태자였다.
아스카 시대에는 종교의례와 종이, 묵 제조법, 채색, 음악, 학문, 무용 등의 다양한 문화가 전래되어졌다.
타이카 개신[편집]
645년에 있었던 일본 최초의 대규모 개혁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연호 제정인데, 연호는 중국에서 쓰던 기년법을 말한다. 본디 연호는 황제국만 쓸 수 있는 것인데 일본에서 사용하게 되면서 일본은 황제국을 자처하는 것이 되었다. 야마토국의 군주는 본디 오오키미라고 불렀으나 쇼토쿠 태자 때부터 텐노로 바뀌어가고 있었는데, 연호를 쓰면서 텐노 즉 하늘의 황제로 빼박이 되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일본이 섬나라인데다가 중국에서 배타고 가기에도 멀어서 당나라가 '걍 니들끼리 놀아라' 하며 내버려둔거지, 중국이랑 붙어있었으면 쳐맞았을 것이다.
그 이외에도 반전수수법을 실시하고 키나이(수도권이자 지금의 칸사이 지방)와 쿠니의 범위를 정하면서 일본 즉 야마토국은 중앙집권국으로 발돋움했다.
타이호 율령[편집]
일본의 정체성을 만든 사건
일본은 701년에 들어서며 중국을 더 제대로 따라하기 위해 유교의 법체계인 율령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때 오늘날 일본의 태양 국기와 니혼(日本)이라는 국명이 등장했다. 태양 그림의 일장기는 맞지만 우리가 아는 빨간 동그라미는 훨씬 나중에 생김
하지만 일본의 율령제는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인세이 시대 및 막부시대에 유명무실해졌다. 타이호 율령은 율령제 반포 그 자체보다는 일본 국명과 일장기의 등장에 의미를 두는 게 낫다.
둘러보기[편집]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3단원 |
2015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 →3단원 |
5세기→ 6세기 관련 문서 →7세기 6th Century / 6世紀 / 501년~600년 |
6세기→ 7세기 관련 문서 →8세기 7th Century / 7世紀 / 601년~700년 |
7세기→ 8세기 관련 문서 →9세기 8th Century / 8世紀 / 701년~800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