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륜
조무위키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I.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2단원 | |||||||||||
신석기 | 양사오 문화 · 다원커우 문화 · 허무두 문화 · 훙산 문화 · 신석기 시대/한반도(빗살무늬 토기) · 조몬 시대 | ||||||||||
청동기 | 얼리터우 문화 · 청동기 시대/몽골 · 청동기 시대/한반도(민무늬 토기 · 반달 돌칼 · 비파형 동검 · 청동 거울) · 야요이 시대 | ||||||||||
국가의 출현 | 하(夏) | ||||||||||
상(商) | |||||||||||
갑골문 · 은허 | |||||||||||
주(周) | |||||||||||
호경 · 봉건제 · 천명사상 | |||||||||||
춘추 전국 시대 | |||||||||||
군현제 · 철기 시대 · 제자백가 | |||||||||||
춘추 시대 | 전국 시대 | ||||||||||
낙읍 · 춘추오패 | 전국칠웅 | ||||||||||
중국 통일과 여러 나라 | 진(秦) | ||||||||||
진시황 | 인물 | 진시황 · 이사 | |||||||||
정책 | 3공 9경 · 반량전 · 분서갱유 · 만리장성 | ||||||||||
사건 | 분서갱유 · 진승·오광의 난 · 초한시대 | ||||||||||
한(漢) | |||||||||||
고조 | 인물 | 고조 | |||||||||
정책 | 군국제 | ||||||||||
사건 | 백등산 전투 | ||||||||||
무제 | 인물 | 무제 · 동중서 · 장건 | |||||||||
정책 및 사건 | 유교 도입 · 한사군 · 한 9군 | ||||||||||
신 및 후한 | 인물 | 왕망 · 광무제 · 채륜 | |||||||||
정책 및 사건 | 채륜의 종이 발명 · 한위노국왕 | ||||||||||
흉노 | |||||||||||
인물 | 묵특 선우 | ||||||||||
정책 | 선우 | ||||||||||
사건 | 백등산 전투 | ||||||||||
고조선 | |||||||||||
인물 | 준왕 · 위만 | ||||||||||
정책 | 8조법 | ||||||||||
기타 국가 | |||||||||||
부여 · 고구려 · 삼한 · 야요이 시대(야마타이국 · 친위왜왕) |
1세기→ 2세기 관련 문서 →3세기 2nd Century / 2世紀 / 101년~200년 | |||||||||||
국가 | 로마 제국 · 파르티아 · 쿠샨 제국 · 선비족 · 진한시대(한나라(후한)) · 제2차 북속시기 · 한사군 · 고구려 · 부여 · 마한 · 백제 · 진한 · 변한 · 신라 · 일본(야요이 시대 · 야마타이국) | ||||||||||
사건 | 세계사 | ||||||||||
채륜의 종이 발명 (105년) · 하드리아누스 장벽 건설 (122년) · 오현제 시대 종료 (180년) · 황건적의 난 (184년) · 반동탁 연합군 결성 (190년) · 관도대전 (200년) | |||||||||||
한국사 | |||||||||||
신라 박지마 즉위 (112년) · 박지마 사망 (134년) · 신라 박아달라 즉위 (154년) · 박아달라 사망 (184년) · 고구려 진대법 실시 (194년) | |||||||||||
대표 인물 | 채륜 · 오현제 · 동탁 · 조조 · 헌제 · 태조대왕 · 고국천왕 · 박지마 · 박아달라 | ||||||||||
관련 작품 | 삼국지연의 |
![]() |
이 문서는 영웅을 다룹니다. 영웅을 향해 무례한 말을 삼가도록 합시다. |
![]() |
이 문서는 영웅을 다룹니다. 영웅을 향해 무례한 말을 삼가도록 합시다. |
![]() |
고자라니! 이 문서는 줘도 못먹는 고자성님들을 다룹니다. |
![]() |
주의!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인물은 존나 똑똑합니다. 이 문서는 노오오력충도 따라갈 수 없는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인물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니 호구가 되기 싫으면 뒤로가기를 누르세요. |
![]() |
이 문서는 성인(聖人)을 다룹니다. 성인을 욕보이는 짓은 하지 맙시다. |
蔡倫
50?~121?
자는 경중(敬仲), 형주 계양군 뇌양현(耒陽縣, 現 헝양 시 레이양 현)출신.
최초로 합성종이를 만들고 종이라는 것을 전세계 인류의 공통된 문서기록수단으로 만든 장본인!!
후한 명제시기에 환관으로 들어가 이런저런 시다를 해주다가 화제때부터 궁에서 쓰는 물건을 만드는 보직인 상방령(常方令)을 맡게 되었다. 당시 헬중궈는 문서기록용으로 죽간이나 목판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채륜성님은 궁에서 필요한 죽간이나 목판이 있으면 이를 보충해주고 있었다.
당연하겠지만 이둘은 졸라게 무겁고 쓰기도 불편했다. 당시에는 비단이라는 이 둘의 상위호환이 있었지만, 가성비는 앞의둘보다 더 떨어졌다. 그래서 채륜성님은 '죽간, 목판보다 가볍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비단보다 가성비가 좋은 무언가'를 찾아내기 위해 고민을 하게 되었다.
그렇게 고민하면서 이래저래 정보를 모으다가 일부지역에서 쓰였다는 원시적인 종이제조기술[1] 을 이용해 낡은헝겊, 나무껍질, 낡은그물등을 합성하여 용액으로 액상화를 한 후 틀로 굳히고 펴서만드는 인류최초로 '합성종이'를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든 합성종이 '채후지(蔡候紙)'를 공식적인 문서기록수단으로 끌어올렸다.
정치인으로서[편집]
채륜성님은 환관이 된 이후 나중에 중상시라고 환관 NO.1되는 자리까지 올라가 황태후들을 보좌하는 보직을 맡게 되었다. 청류파였던 그는 중앙정치에 오지게 개입하면서 훗날 황제가 된 유호(劉祜)의 생모인 송귀인을 무고하는데 앞장섰다. 결국 송귀인은 자살. 이후 그의 아들인 유호가 황제가 되니까 역관광당해서 자살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 ↑ 실제로 채륜성님이전에 쓰인 종이들이 발굴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