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
조무위키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3단원 |
2015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 →3단원 |
![]() |
주의!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그야말로 클라스가 다릅니다. 이 문서는 다른 것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클라스가 다른 갓-창작물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여러 대중매체에서 자주 거론되거나, 아니면 문화적, 세계적으로 거대한 영향을 끼쳤거나 확실히 그 무엇보다도 다른 우주명작급 작품이니 본문을 읽기 전 뇌를 비우시기 바랍니다. |
![]() |
이 삐– 문서는 삐–뒤진 백괴식 윾윽대를 금지 사항입니다하고 있습니다. 백괴사전, 듕궉 파일:마데인치나.gif산 백과사전 이 문서는 자칭 잼이 듬뿍 들어간 사전이라면서 삐–의 범람과 마치 너처럼 삐– 재미없는 백괴식 윾대가 서술되어 있다 카더라. 1.↑ 반어법이라 카더라. |
![]() |
개요[편집]
중국 북경시에 있는 세계에서 제일 큰 궁궐.
원래 이름은 자금성(紫禁城)이지만 명청황실이 사라진 관계로 현재는 간략하게 고궁(故宫)이라고 부르고 있다. 참고로 정식명칭은 고궁박물원(故宫博物院)이다.
대한민국의 흔한 중국집 이름이다
어느 동네를 가도 자금성 이라는 중국집은 항상 있다
비슷한 말로는 북경반점, 산동반점, 신흥원이 있다
중국인들은 이를 기려 자기들 궁궐에다가 이런 이름을 붙여놨다
연혁[편집]
명나라 성조 영락제(成祖 永乐帝) 치세에 북경천도 후 건설되어 청조시대에 들어서면서도 그대로 황궁으로 쓰였다. 신해혁명 후에도 청황 실의 거주는 제한적으로나마 묵인됐지만 펑위샹(馮玉祥)의 북경정변으로 청 황실은 완전히 퇴거당했다.
명조시대에는 자연재해로, 청조시대에는 서구열강의 반달리즘으로, 민국시대, 중일전쟁, 국공내전에는 폭격으로 일부 전각이 훼손되기도 하다가 문혁때 봉건주의 잔재로 찍혀서 베이징 성곽이랑 도매로 홍위병들한테 박살날 뻔했지만 저우언라이갓카가 천안문에다 못된똥사진을 떡하니 걸어놓은 덕분에 무사히 보존되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유산으로 지정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됐다.
후기[편집]
여기 여행갈 때 산소통 하나 들고가라 질식해 죽을지도 모른다
인간 절라많음...............
인간도 인간이지만 베이징의 센타라서 대륙의 스모그를 다쳐먹고 가야한다.
자금성을 가로질러 가는데만 무려 2시간 ㅅㅂㅋㅋㅋㅋㅋ
구조[편집]
사문[편집]
- 오문(午门): 궁의 고문(皐門) 이자 대문이다.
- 신무문(神武门): 궁의 북문이다.
- 동화문(东华门): 궁의 동문이다.
- 서화문(西华门): 궁의 서문이다.
외조(外朝) 3전3각[편집]
- 태화문(太和门): 궁의 응문(應門)이다.
- 우익문(右翼门): 정전의 서문이다.
- 좌익문(左翼门): 정전의 동문이다.
- 태화전(太和殿): 황궁의 정전(正殿)으로, 천자의 격식인 9칸으로 건립되었다가 후에 제후국들이 9칸짜리 궁궐을 지으면서 11칸으로 늘린다.
- 체인각(体仁閣): 태화전 서쪽의 외조전각이다.
- 홍의각(弘义閣): 태화전 동쪽의 외조전각이다.
- 중우문(中右门): 태화전 서쪽에 위치한 문이다.
- 중좌문(中左门): 테화전 동쪽에 위치한 문이다.
- 중화전(中和殿): 태화전 뒤편의 외조전각으로, 황제의 집무 및 휴식공간이다.
- 보화전(保和殿): 중화전 뒤편의 외조전각으로, 황제가 제후들을 맞이하던 전각이다.
- 후우문(后右门): 보화전 서쪽에 위치한 문이다.
- 후좌문(后左门): 보화전 동쪽에 위치한 문이다.
외조(外朝) 문화전(文华殿)[편집]
- 문화문(文华门): 문화전의 문이다.
- 문화전(文华殿): 원래는 황실의 교육장이었으나 후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현재는 자금성의 도자기들을 전시하고 있다.
- 주경전(主敬殿): 문화전과 붙어있으며 용도도 같았다.
- 문연각(文渊阁): 문화전의 서고이다.
외조(外朝) 무영전(武英殿)[편집]
- 무영문(武英门): 무영전의 문이다.
- 무영전(武英殿): 원래는 대신들을 접견하던 곳이었으나 후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 경사전(敬思殿): 무영전과 붙어있으며 용도도 같았다.
- 욕덕당(浴德堂): 욕실이다.
내정(內庭)[편집]
중로(中路)[편집]
- 건청문(乾淸门): 궁의 노문(路門)이자 건청궁의 정문이다.
- 일정문(日精门): 건청궁의 동문이다.
- 월화문(月华门): 건청궁의 서문이다.
- 건청궁(乾淸宫): 원래는 궁의 침전(寢殿)이었으나 옹정제시기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 교태전(交泰殿): 천추절 행사를 얼었던 전각이다.
- 곤녕궁(坤宁宫): 황실의 국혼이 치뤄졌던 전각이다.
- 어화원(御花园): 곤녕궁 뒤에 위치한 정원이다.
- 흠안전(钦安殿):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로 어화원 한가운데에 있다.
- 어경정(御景亭):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로, 존나 높은 바위위에 있어서 눈에 띄는 정자다.
- 이조당(摛藻堂):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
서6궁[편집]
- 장춘궁(长春宫): 서6궁의 하나로, 서태후의 거처였다.
- 익곤궁(翊坤宫): 서6궁의 하나
- 저수궁(储秀宫): 서6궁의 하나
- 태극전(太极殿): 서6궁의 하나
- 영수궁(永寿宫): 서6궁의 하나
- 함복궁(咸福宫): 서6궁의 하나
양심전(养心殿)[편집]
- 양심문(养心门): 양심전의 문이다.
- 양심전(养心殿): 궁의 침전(寢殿)이다.
중화궁(重华宫)[편집]
- 중화궁(重华宫): 건륭제가 황태자시절 거처하였던 전각이다.
- 숭경전(崇敬殿) : 황제가 내각 관료들과 다연(茶宴)을 베푸는 전각이다.
- 수방재(漱芳斋): 황태후의 생신잔치가 열렸던 전각이다.
서궁(西宫)[편집]
- 자녕문(慈宁门): 자녕궁의 문이다.
- 자녕궁(慈宁宫): 황실의 여성들이 거주하였던 전각이다.
- 대불당(大佛堂): 황실의 불교의례에 사용되던 불구들을 보관하였던 전각이다.
- 수강궁(寿康宫): 역시 황실의 여성들이 거주하였던 전각이다.
- 수안궁(寿安宮): 효성헌황후를 기념하여 건축한 전각이다.
- 영화전(英华殿): 황실의 여성들이 예불을 올리던 전각이다.
동6궁[편집]
- 승건궁(承乾宫): 동6궁의 하나
- 경인궁(景仁宫): 동6궁의 하나로, 강희제의 출생지이다.
- 연희궁(延禧宫): 동6궁의 하나로, 불타 없어졌다가 서양식으로 재건중에 청이 망했다.
- 경양궁(景阳宫): 동6궁의 하나
- 영화궁(永和宫): 동6궁의 하나로, 옹정제의 출생지이다.
- 종수궁(钟粹宫): 동6궁의 하나
봉선전(奉先殿)[편집]
- 봉선문(奉先门): 봉선전의 문이다.
- 봉선전(奉先殿): 황가 조상들의 위폐를 모시던 전각이다.
- 종표관(钟表馆): 건륭제가 수집한 종을 모아놓은 곳이다.
재궁(斋宫)[편집]
- 재궁문(斋宫门): 재궁의 문이다.
- 재궁(斋宫): 황제가 9단으로 제사를 지내러 가기 전에 머무는 전각이다.
- 육경궁(毓庆宫): 원래는 강희제시절 황태자가 머물렀던 전각이었으나, 후에 어린 황제들이 머물기도 하였다.
영수궁(宁寿宫)[편집]
- 영수문(宁寿门): 영수궁의 문이다.
- 응기문(凝祺门): 영수궁의 동문이다.
- 창택문(昌泽门): 영수궁의 서문이다.
- 황극전(皇极殿): 영수궁의 정전(正殿)이다. 주로 황제가 사신을 접견하던 전각이다.
- 영수궁(宁寿宫): 딱히 별건 없다. 서태후가 거주한 적이 있다.
- 양성문(养性门): 양성전의 문이다.
- 양성전(养性殿): 영수궁의 침전(寢殿)이다.
- 낙수당(乐寿堂): 영수궁의 소침전이다. 서태후가 거주한 적이 있다.
- 경기각(景祺阁): 낙수당 뒤의 각루이다.
- 창음각(畅音阁): 황실이 경극을 관람하던 전각이다.
- 영수궁화원(宁寿宫花园): 영수궁 서쪽 전체를 차지하는 거대한 정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