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학

조무위키

imported>연도문서편집함님의 2023년 7월 27일 (목) 17:0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2단원 III.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4단원
임진왜란 이전의 동아시아
북로남왜(오이라트(토목보의 변) · 타타르(경술의 변) · 왜구) · 장거정(일조편법)
조선
훈구 · 사림 · 붕당 정치 · 사대교린
일본 센고쿠 시대
오닌의 난 · 오다 노부나가 · 나가시노 전투(다케다 가츠요리 · 조총) · 도요토미 히데요시(검지)
임진왜란정유재란 전개 부산진 전투 · 한산도 대첩(이순신) · 평양성 전투 · 벽제관 전투 · 임진왜란의 휴전 협상 · 정유재란
영향 조선
재조지은 · 기유약조
일본
도쿠가와 이에야스 · 세키가하라 전투 · 에도 시대 · 기유약조
중국
누르하치 · 후금
정묘호란병자호란 후금의 성장 누르하치(팔기제) · 광해군 · 사르후 전투(강홍립) · 인조(인조반정 · 서인) · 모문룡
전쟁의 전개 홍타이지 · 주화파 · 척화파 · 남한산성 · 삼전도의 굴욕(삼전도비) · 효종(북벌론)
동아시아 질서 재편
이자성의 난(이자성 · 오삼계) · 아담 샬 · 강희제(삼번의 난 · 정씨 왕국 · 정성공) · 건륭제
조선
항왜 · 소중화주의 · 관우 숭배 사상 · 소현세자 · 북벌론 · 북학 · 얀 야너스 벨테브레이 · 헨드릭 하멜 · 조선 통신사 · 연행사
에도 막부
강항 · 후지와라 세이카 · 이삼평
명나라의 조공 무역 체제 해금령 · 조천사 · 감합 무역 · 왜구 · 쓰시마 정벌 · 삼포왜란 · 왜관 · 무역소
유럽인의 진출 포르투갈
믈라카 · 마카오 · 조총
에스파냐
마닐라 · 갈레온 무역
네덜란드
바타비아 · 대만 · 얀 야너스 벨테브레이 · 헨드릭 하멜 · 데지마
영국
광저우(공행)
은 유통 명청시대
보초 · 일조편법 천계령 · 지정은제
조선
연은분리법 · 단천 은광
일본
센고쿠 시대 에도 막부
연은분리법 · 이와미 은광 슈인장 · 쇄국 · 데지마 · 신패
서양 문물 명청시대
마테오 리치(곤여만국전도 · 천주실의 · 기하원본) · 아담 샬(시헌력) · 카스틸리오네(원명원) · 전례 문제
조선
얀 야너스 벨테브레이 · 헨드릭 하멜 · 소현세자 · 아담 샬 · 홍이포 · 홍대용
일본
예수회(프란시스코 하비에르) · 조총 · 윌리엄 애덤스 · 데지마 · 난학(해체신서)
사회 변동 명청시대
대운하 · 회관 · 시진 · 베이징 · 쑤저우
조선
포구 · 장시 · 상평통보 · 대동법 · 경강상인 · 송상 · 내상 · 만상 · 한양
일본
조닌 · 조카마치 · 산킨코타이 · 에도 · 오사카 · 교토
서민 문화 명청시대
삼국지연의 · 서유기 · 수호지 · 홍루몽 · 금병매 · 경극 · 연화
조선
춘향전 · 심청전 · 흥부전 · 토끼전 · 판소리 · 사설시조 · 탈춤 · 김홍도 · 신윤복 · 서당
에도 막부
가부키 · 우키요에 · 분라쿠 · 테라코야
새로운 학문 명청시대
농정전서 · 천공개물 · 본초강목 · 고염무 · 황종희 · 고증학(사고전서) · 공양학
조선
실학(이익 · 정약용) · 북학(박지원 · 박제가) · 정제두 · 발해고 · 택리지 · 대동여지도 · 서학
에도 막부
고학(이토 진사이 · 오규 소라이) · 국학(모토오리 노리나가 · 고사기전) · 난학(스기타 겐파쿠 · 해체신서)
이 문서는 선비님들이 좋아하거나, 선비님들과 관련된 것을 다룹니다.
한 마디로 이 문서에서 소개된 대상은 매우 씹노잼입니다.

정의[편집]

실사구시지학(實事求是之學)[직역하면 올바른 일을 구하여 바르게 가는 학문]의 줄임말로 현싱에서 올고 그름을 찾는 학문을 말한다.

등장[편집]

대내적[편집]

애미뒤진 성리학의 지좆대로 생각해서 지좆대로 말하는 병림픽에 대해 반성하는 분위기가 됐다고 한다.

또한 조선의 경우 전란으로 인해 사회 혼란과 현실 사회 문제 해결을 위 해 학문적 요구가 필요했다.

성리학을 줄줄이 알아도 정작 쓸데없는 모습을 깨달았던 시기다.

대외적[편집]

청의 고증학과 서양의 자연 과학 및 종교(대표적으로 천주교)의 유입이 시작되서 발단이 됐다.


정약용의 실학사상[편집]

서양의 과학기술과 천주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적잖아 있다.

인간관[편집]

우주의 기(氣)와 인간의 혈기(血氣)를 엄격히 구분하였고, 욕구를 적극적으로 긍정했다. 욕구를 삶의 원동력이라고도 표현했다.
또한 욕구는 생존 및 도덕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고 했다.

심성론[편집]

  • 성기호설(性嗜好說) : 인간의 성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마음의 기호이다. "성은 이가 아니다. 성이란 인간의 경향성이다. 하늘은 사람에게 자유로운 선택권을 주어 선을 하려 하면 선을 행하고, 악을 하려 하면 악을 행할 수 있게 하였다."
  • 인간의 도덕성 자율성 강조 : 인간은 하늘로부터 선이나 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주지권(自主之權)을 부여받은 존재라 했다.

덕론[편집]

인의예지라는 덕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을 통하여 형성 되는 것이다.
→성리학의 심성론과 덕론을 비판하고 독자적 이론을 제시했다.

맹자와의 관계[편집]

맹자의 단서설과 정약용의 단시설의 공통점은 사단은 선척적인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맹자의 경우 사단과 동시 사덕또한 선천적 요소에 포함하여 인간은 선천적으로 덕을 가졌다는 것이다.

정약용의 경우 사덕은 선척적 요소에 제외되며 행동의 표현 즉, 후천적으로 덕심을 기르는 것이라고 했다.

실학논쟁[편집]

정인보 센세가 조선학운동을 부왘할 때부터 내발론이 풍미한 학계에서 실학은 조선역사가 근대지향성을 가졌다는 담론에 딱 맞는 효자 도구다. 하지만 현재 학계내에서 실학은 근대지향성을 깨기에는 부족하다는 측면이 있다고 디스하고 있다. 가령 실학 아이돌인 정약용의 탕론은 민본주의이지 주권재민인 민주주의가 아니면 사대부의 정치참여만 강조하고 있다. 대부분 실학자는 조선의 성리학과 사대부 질서를 부정하지 않고 보완하는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다. 즉 중세의 때를 아직 못벗는 한계가 있다. 하긴 성리학에 대한 다른 해석을 내세우는 박세당도 죽었는데 지가 무슨 용가리 통뼈도 아니고 왕정제를 부정하겠니... 암튼 안티 실학에 대해서 내발론측도 열심히 연구중이다. 근데 50년이나 된 담론 좀 업글좀 하자. 학지에 맨날 똑같은 의견만 제시하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