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호전
조무위키
땅을 파서 만든 참호를 중심으로 펼치지는 전투를 뜻한다.
사실 고대 로마 시절부터 있었던 전투 양상이지만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건 제 1차 세계대전의 서부전선의 마른 전투에서의 독일 제국군의 후퇴였다. 이 후퇴로 인해 속전속결로 프랑스를 끝내겠다는 독일군의 전략이 어그러지자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 깊게 참호를 파고 우주방어를 시전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네덜란드, 벨기에의 해안선까지 수십 km에 이르는 참호가 길게 이어졌다. 유일한 돌파 수단인 우회가 막히게 되자 공격측과 수비측은 아무 성과도 거두지 못한채 4년 동안 일진일퇴를 반복했다. 참호전 외에도 바다를 향한 경주라는 명칭도 쓰인다.
이럴 수 밖에 없었던 게 제 1차 세계대전 초기에는 참호를 돌파할 우회하는 것 외엔 없었기 때문이었다. 당시의 포병은 소구경 포들이 대다수였고(현대에는 소구경 취급하는 75mm도 이 땐 대구경이었으며 그나마도 수가 매우 적었다)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포탄의 질도 병맛이었다. 여기에 포격에 사용한 포탄은 개활지의 인마살상을 노린 유산탄이었고 고폭탄은 거의 쓰이지 않아 참호를 파괴할 수 없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솜 전투의 사례처럼 사전 포격을 엄청나게 퍼부었는데도 철조망 하나도 치우질 못해 멀쩡했던 보병 중대 하나가 하루만에 증발해버리기도 했다. 그리고 포병이 원거리에서 포격으로 지원을 해주려면 탄착 관측을 멀리서도 할 수 있게 해주는 관측장비가 필요하고, 포병과 일선 보병간에 통신이 원활해야 하는데 1차 세계대전 때는 무선통신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다.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포병부대와 보병부대가 서로 약속한 시간에 맞추어 동시에 포격과 돌격을 하는 전술이 나왔으나 갈리폴리 전투처럼 시계가 맞지 않으면 포병의 포화를 엄폐물 삼아 보병이 돌격해야 하는데 포격이 애저녁에 끝나서 보병이 기관총밥이 되버리거나 보병이 아군 포격을 맞고 팀킬당하는 경우도 많았다.
보병의 화력 부족도 참호전이 질질 끌렸던 원인이었다. 당시 보병의 제식 화기는 단발식 볼트액션이 절대 다수였고 현대에는 분대 지원화기인 기관총이 이 때는 대대 지원 화기로 취급되어 보병이 투사할 수 있는 순간화력이 낮았다. 거기다가 너무 무거운 수냉식 기관총이라 돌격하는 보병 부대를 따라 화력 지원을 해주는 건 불가능했다. 그리고 총기류는 잘해봐야 적을 '제압'할 수만 있지 참호 자체를 박살낼 수가 없으므로 적이 작정하고 틀어박히면 이들을 끌어낼 수단이 없었다.
이렇게 질질 끌리는 참호전을 타개하기 위해 피와 진흙의 요람속에서 인류는 더욱 효과적으로 사람을 죽이는 방법을 계속 개발해냈다. 기병의 역할을 대신해 정찰을 맡았던 비행기는 서로간의 공중전을 거치면서 전술폭격이 가능하진 공군으로 탄생했고 참호를 날려버리기 위해 땅굴을 파고 화약을 매설하는 과정에서 공병이 크게 성장했고, 참호에 틀어박힌 병사들을 끌어내기 위해 독가스를 살포하고 보병의 화력지원을 위해 전차가 탄생했다. 이렇게 신병기들이 투입되면서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날 시점의 군대는 초기의 군대와는 전혀 다른 현대전을 치를 준비가 된 군대였다.
이렇게 참호전이 끝나기 전 참호의 환경은 그야말로 지옥이었다. 여름에는 찌는 듯이 덥고 겨울에는 살을 에이는 추위로 고생하고 빗물이 안 빠지거나 지하수를 잘못 건드려 참호 안은 항상 물바다였기에 참호족 같은 침족병이 병사들을 괴롭혔다.(참호족을 예방하려면 발을 잘 씻고 말려야 하는데 참호에서 불을 피웠다간 바로 적 포병의 포탄이 날아오기 때문에 그럴수가 없었다. 그나마 양말을 자주 갈아신는 게 유일한 방법이었다) 거기다가 대규모 인원을 수용했지만 위생시설을 신경쓸 수가 없어 참호 바깥에 모인 똥오줌이 역류해 참호로 쏟아지기도 했고 쥐와 벼룩, 이 같은 위생해충이 들끓어 각종 전염병을 일으켰다. 양쪽 참호 사이의 공간은 기관총이나 저격수의 밥이 되는 무인지대여서 시체가 즐비했고 미처 수습하지 못한 부상병들이 도와달라고 울부짖는 아비규환이었고 쥐들은 무인지대에 널린 시체를 뜯어먹고 고양이만하게 덩치를 키워 꼼짝도 못하는 부상병들을 습격할 정도로 대담해졌다. 참호 공략을 방해하는 각종 장애물을 치우기 위해 대규모 사전 포격을 실시한 결과 움푹 패인 구덩이들이 즐비했고 이곳에 물이라도 고였다간 깊이를 알 수 없어 생사람을 잡는 죽음의 웅덩이로 돌변했다. 이런 웅덩이를 건너가겠다고 나무 판자를 깔았는데 고정이 제대로 안 되서 머리를 후려치는 건 약과였고 나무 판자가 습기를 못 이기고 썩어서 멀쩡한 병사가 웅덩이에 빠져 죽거나 돌격 중 총탄을 맞은 병사가 빠져서 도움 요청도 못하고 죽기 일쑤였다.
계속 병력은 충원되니 아군 시체를 엄폐물로 삼고 돌격하다가 심하게 부패한 시체 뱃속에 다이빙을 한다던지,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지는 적 포격과 저격수의 사격에 병사들이 정신붕괴를 일으켜 탄환충격(쉘 쇼크), PTSD 같은 정신질환까지 발병했으며, 싸우다 죽으나 명령 불복종으로 사형을 당하나 똑같다고 여긴 끝에 단체 항명도 빈발했다. 이에 군 당국은 총살형을 남발했고 심심찮게 프래깅 사건이 터졌다. 후방의 높으신 분들과 달리, 이런 일반병들을 다독이고 인솔해 전투를 치러야 하는 일선 장교들은 죽을 맛이었다. 후방 지휘관은 전장의 상황을 전혀 모르니 차곡차곡 병력을 계속 밀어넣고, 일반병들은 명령에 불복종 하는데다가 사기 고취를 위해 돌격시 선두로 나섰다가 전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일반병의 전사자 비율이 1:8이었던 반면, 귀족 출신 하급 장교들은 1:5였다는 통계도 있고 하루살이 소위란 별명까지 나왔을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