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공화국
조무위키
이 틀은 肉에 대해 다룹니다! |
개요[편집]
1988.02.25~현재
노태우가 항복 선언을 하고 1987년 10월 29일에 헌법이 개정된 후 1988년 2월 25일 제10차 헌법이 시행된 이래로 지금까지를 가리킨다. 헌법 개정년도를 따서 87년 체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도 제6공화국인 이유는 1987년 이후로 헌법이 개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체제에서 대통령은 5년만 임기를 지내며, 재선은 불가능하다. 또한 제3공화국 이후 15년 만에 대선 직선제가 되살아났다.
5년이라는 임기 기간은 매우 단순하게 정해졌다. 이전의 7년 임기 기간보다는 아무래도 짧은 것이 좋을 것 같은데, 6년으로 하자니 유신 헌법 냄새가 나니까 5년이 된 것이다. 한 마디로 별 생각없이 정해진 기간이다. 전대갈에게 계산적인 모습을 많이 바라지 말자. 사실 6.29 선언 이후에도 전두환은 노태우를 허수아비로 앉히고 자기가 뒤에서 해먹으려고 계획을 다 했었다. 어차피 자기는 이제 다시 대통령으로 취임할 일 없을 테니까 연임은 필요 없을 것이고 어떻게든 길게 해쳐먹기 위해 나온 게 5년이다. 그런데 예상치 못하게 노태우가 전두환을 백담사로 쫓아내서 수포로 돌아간 것 뿐이다.
역대 머통령들이 대통령 계속 하고 싶어서 선거에 각종 선물 공세를 하는 등, 각종 병폐를 타파하려고 생겨난 단임제는 그 병폐를 단절하지 못했다.
대선은 5년마다, 총선은 4년마다 치르는 이 뒤틀린 체제가 언제쯤 바뀔까. 걍 대통령도 4년마다 하는 게 낫다.
근데 개헌을 진행한다면 어떤 식으로 진행되려나? 국민투표법이 헌법 불합치라고 시행을 못하게 됐는데.
역대 헌법[편집]
헌법 제10호[편집]
1988.02.25~현행 헌법
국가 원수:대통령
행정부 수반:대통령
임기 5년, 재선 금지(단임)
국민이 직접 선출
자세한 내용은 헌법 참고.
현재 10차 개헌(헌법 제11호) 논의 중
역대 대통령[편집]
노태우(13대)[편집]
출생 1932.12.04
임기 1988.02.25~1993.02.24
신군부 출신
제24회 서울 올림픽 개최
퇴임 후 뇌물 혐의로 구속, 군사반란 혐의 인정으로 징역형
김영삼(14대)[편집]
생몰 1929.01.14~2015.11.22
임기 1993.02.25~1998.02.24
정부명:문민정부
금융 실명제
외환위기, IMF 구제금융
김대중(15대)[편집]
생몰 1924.01.06~2009.08.18
임기 1998.02.25~2003.02.24
정부명:국민의 정부
햇볕정책
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2년 한일 월드컵
노무현(16대, 탄핵 소추 이전)[편집]
생몰 1946.09.01~2009.05.23
임기 2003.02.25~2004.03.12
정부명:참여정부
2004년 탄핵소추로 권한 정지
권한대행 고건[편집]
출생 1938.01.02
임기 2004.03.12~2004.05.14
국무총리 자격으로 권한 대행
노무현(16대, 복직)[편집]
임기 2004.05.14~2008.02.24
탄핵 소추 기각으로 복직
2007년 남북정상회담
퇴임 후 뇌물 혐의로 조사 중 2009년 5월 23일 김해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투신자살, 사인 두부외상
이명박(17대)[편집]
출생 1941.12.19
임기 2008.02.25~2013.02.24
정부명:이명박 정부
유일한 일본 출생 대통령
서울시장 출신
4대강 사업
퇴임 후 뇌물 혐의로 구속, 2020년 2월 19일 항소심(제2심)에서 징역 17년 선고
박근혜(18대)[편집]
출생 1952.02.02
임기 2013.02.25~2016.12.09
정부명:박근혜 정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탄핵 소추 가결, 2017년 3월 10일 대통령직에서 파면됨
헌정 사상 유일하게 탄핵된 대통령
공천개입 혐의로 2019년 4월 17일에 수감, 현재 기결수 신분, 2021년 12월 31일 사면
권한대행 황교안[편집]
출생 1957.04.15
임기 2016.12.09~2017.05.10
국무총리 자격으로 권한 대행
문재인(19대)[편집]
출생 1953.01.24
임기 2017.05.10~2022.05.10
정부명:문재인 정부
2018년 평창 올림픽, 남북정상회담
2020년 우한 폐렴 국내 유입
높은 지지율에도 정권 재창출 실패
윤석열(20대)[편집]
출생 1960.12.18
임기 2022.05.10~현재
정부명:윤석열 정부
현재 대한민국 대통령
검사, 검찰총장 출신
제6공화국 이후 선출직 없이 대통령에 당선된 대통령
그리고 한양 천도 이후의 사대문 밖에서 정무를 보는 최초의 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편집]
당선자는 볼드체 표기
※ 제6공화국의 선거는 모두 5년 단선제이고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직접 선거이다.
제14대 (1992)[편집]
실시일자 1992.12.18
김영삼 당선
주요 후보[편집]
김대중(민주당) 33.8%(8,041,284표)
제15대 (1997)[편집]
실시일자 1997.12.18
김대중 당선
주요 후보[편집]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40.3%(10,326,275표)
이인제(국민신당) 19.2%(4,925,591표)
제16대 (2002)[편집]
실시일자 2002.12.19
노무현 당선
주요 후보[편집]
노무현(새천년민주당) 48.9%(12,014,277표)
권영길(민주노동당) 3.9%(957,148표)
제17대 (2007)[편집]
실시일자 2007.12.19
이명박 당선
주요 후보[편집]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 26.1%(6,174,681표)
이회창(무소속) 15.1%(3,559,963표)
제18대 (2012)[편집]
실시일자 2012.12.19
닭ㄹ혜 당ㅅ...
읍읍!!
|
박근혜 당선
주요 후보[편집]
제19대 (2017)[편집]
실시 일자 2017.05.09
문재아ㅇ..
읍읍!!
|
문재인 당선
주요 후보[편집]
문재인(더불어민주당) 41.1%(13,423,800표)
제20대 (2022)[편집]
실시 일자 2022.03.09
정의가 구현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사실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정의를 존나 드물게도 구현한 보람찬 사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의는 반드시 승리한다! |
윤석열 당선
주요 후보[편집]
이재명(더불어민주당) 47.83%(16,147,738표)
역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 제6공화국의 총선은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실시한다.
제13대 (1988)[편집]
실시일자 1988.04.26
투표율 75.8%
정원 299석(지역구 224석+비례대표 75석)
주요 정당[편집]
민주정의당 125석(지역 87+비례 38), 6,670,494표(34%)
평화민주당 70석(지역 54+비례 16), 3,783,279표(19.3%)
통일민주당 59석(지역 46+비례 13), 4,680,175표(23.8%)
신민주공화당 35석(지역 27+비례 8), 3,062,506표(15.8%)
제14대 (1992)[편집]
실시일자 1992.03.24
투표율 71.9%
정원 299석(지역구 237석+비례대표 62석)
주요 정당[편집]
민주자유당 149석(지역 116+비례 33), 7,923,718표(38.5%)
민주당 97석(지역 75+비례 22), 6,004,578표(29.2%)
통일국민당 31석(지역 24+비례 7), 3,574,419표(17.4%)
제15대 (1996)[편집]
실시일자 1996.04.11
투표율 63.9%
정원 299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6석)
주요 정당[편집]
신한국당 139석(지역 121+비례 18), 6,783,730표(34.5%)
새정치국민회의 79석(지역 66+비례 13), 4,971,961표(25.3%)
자유민주연합 50석(지역 41+비례 9), 3,178,474표(16.2%)
제16대 (2000)[편집]
실시일자 2000.04.13
투표율 57.2%
정원 273석(지역구 227석+비례대표 46석)
주요 정당[편집]
한나라당 133석(지역 112+비례 21), 7,365,359표(39%)
새천년민주당 115석(지역 96+비례 19), 6,780,625표(35.9%)
자유민주연합 17석(지역 12+비례 5), 1,859,331표(9.8%)
제17대 (2004)[편집]
실시일자 2004.04.15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전국구) 선거 분리
투표율 60.6%
정원 299석(지역구 243석+비례대표 56석)
주요 정당[편집]
열린우리당 152석(지역 129+비례 23), 8,145,814표(38.3%)
한나라당 121석(지역 100+비례 21), 7,613,660표(35.8%)
민주노동당 10석(지역 2+비례 8), 2,774,061표(13%)
새천년민주당 9석(지역 5+비례 4), 1,510,178표(7.1%)
자유민주연합 4석(지역 4), 600,462표(2.8%)
제18대 (2008)[편집]
실시일자 2008.04.09
투표율 46.1%
정원 299석(지역구 245석+비례대표 54석)
주요 정당[편집]
한나라당 153석(지역 131+비례 22), 6,421,727표(37.5%)
통합민주당 81석(지역 66+비례 15), 4,313,645표(25.2%)
자유선진당 18석(지역 14+비례 4), 1,173,463표(6.8%)
친박연대 14석(지역 6+비례 8), 2,258,750표(13.2%)
제19대 (2012)[편집]
실시일자 2012.04.11
재외국민이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됨
투표율 54.2%
정원 300석(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
주요 정당[편집]
새누리당 152석(지역 127+비례 25), 9,129,226표(42.8%)
민주통합당 127석(지역 106+비례 21), 7,775,737표(36.5%)
통합진보당 13석(지역 7+비례 6), 2,198,082표(10.3%)
자유선진당 5석(지역 3+비례 2), 689,843표(3.2%)
제20대 (2016)[편집]
실시일자 2016.04.13
투표율 58.0%
정원 300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
주요 정당[편집]
더불어민주당 123석(지역 110+비례 13), 6,069,744표(25.5%)
새누리당 122석(지역 105+비례 17), 7,960,272표(33.5%)
국민의당 38석(지역 25+비례 13), 6,355,572표(26.7%)
정의당 6석(지역 2+비례 4), 1,719,891표(7.2%)
제21대 (2020)[편집]
실시일자 2020.04.15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투표율 66.2%
정원 300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
비례대표 정당은 기울임체 표기
주요 정당[편집]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180석의 가호를 받고 있습니다. 지금은 169석이지만 여전히 이 씹새끼들이 어떠한 병신 같은 행패들을 부려도 우리는 지켜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대상을 비판하면 공산당원들과 깨시민, 조선족 댓글알바, 대깨문들에게 친일파, 토착왜구, 틀딱충, 박사모, 일베충, 국힘의원 등으로 몰려 적폐청산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응 180석이야~^^" |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180석(더민주 지역 163+더시민 비례 17), 9,307,112표(33.4%)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103석(통합당 지역 84+한국당 비례 19), 9,441,520표(33.8%)
정의당 6석(지역 1+비례 5), 2,697,956표(9.7%)
국민의당 3석(비례 3), 1,896,719표(6.8%)
열린민주당 3석(비례 3), 1,512,763표(5.4%)
제22대 (2024 예정)[편집]
실시예정일자 2024.04.10
투표율 -%
정원 300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