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대한민국 제6공화국

조무위키

(제6 공화국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역사
제1공화국
제2공화국
국가재건최고회의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4단원 V. 오늘날의 동아시아
전후 처리 국제 회담
카이로 회담 · 얄타 회담 · 포츠담 회담(포츠담 선언) · 무조건 항복 · 유엔
일본
극동국제군사재판 · 평화 헌법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남한북한
38선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냉전 국공내전
중국국민당 · 중국공산당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국부천대
6.25 전쟁
애치슨 라인 · 인천상륙작전 · 정전 협정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 자위대
베트남 전쟁
호찌민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제네바 협정 · 응오딘지엠 · 베트남 공화국 · 베트콩 · 통킹만 사건 · 닉슨 독트린 · 파리 평화 협정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국교 수립 일화평화조약 · 한일기본조약 · 닉슨 독트린 · 미중공동성명 · 중일공동성명 ·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경제 일본
고도 성장기 · 오일 쇼크 · 플라자 합의 · 거품 경제 · 잃어버린 10년
대한민국
삼백 산업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오일 쇼크 · 3저호황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1997년 IMF 외환 위기
중국
마오쩌둥 · 대약진운동(인민공사 · 토법고로) · 류사오치 · 덩샤오핑 · 남순강화 · 흑묘백묘론
북한
천리마 운동 · 합영법 · 고난의 행군 · 개성공단
베트남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 중월전쟁 · 도이머이
정치 일본
자유민주당 · 55년 체제 · 안보투쟁 · 록히드 사건(다나카 가쿠에이) · 호소카와 모리히로 · 아베 신조
대한민국
이승만 정부(이승만) · 4.19 혁명 · 장면 내각(장면) · 5.16 군사정변 · 박정희 정권(박정희) · 3선 개헌 · 유신 헌법 · 유신 체제 · 10.26 사태 · 전두환 정부(전두환) · 5.18 민주화 운동 · 6월 민주 항쟁 · 개헌 이후(김대중)
타이완
중국국민당 · 장제스 · 메이리다오 사건 · 민주진보당 · 천수이볜
중국
중국공산당 · 마오쩌둥 · 대약진운동 · 문화대혁명(홍위병) · 덩샤오핑(천안문 6.4 항쟁)
북한
조선로동당 · 주체사상 · 사회주의 헌법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갈등과 화해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파라셀 군도 · 스프래틀리 군도 · 일본군 위안부(고노 담화 · 아베 신조) · 야스쿠니 신사 · 동북공정
이 틀은 肉에 대해 다룹니다!

몸에 좋고 맛도 좋은 肉에 대해 다룹니다!
육각형에 너무 심취하지 마십시오!
맛있다고 막 먹으면 肉일 만에 파오후가 될 수도 있으니 한 번만 칩시다.
어 왜 肉 번 안 써져요?

개요[편집]

1988.02.25~현재

노태우가 항복 선언을 하고 1987년 10월 29일에 헌법이 개정된 후 1988년 2월 25일 제10차 헌법이 시행된 이래로 지금까지를 가리킨다. 헌법 개정년도를 따서 87년 체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도 제6공화국인 이유는 1987년 이후로 헌법이 개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체제에서 대통령은 5년만 임기를 지내며, 재선은 불가능하다. 또한 제3공화국 이후 15년 만에 대선 직선제가 되살아났다.

5년이라는 임기 기간은 매우 단순하게 정해졌다. 이전의 7년 임기 기간보다는 아무래도 짧은 것이 좋을 것 같은데, 6년으로 하자니 유신 헌법 냄새가 나니까 5년이 된 것이다. 한 마디로 별 생각없이 정해진 기간이다. 전대갈에게 계산적인 모습을 많이 바라지 말자. 사실 6.29 선언 이후에도 전두환은 노태우를 허수아비로 앉히고 자기가 뒤에서 해먹으려고 계획을 다 했었다. 어차피 자기는 이제 다시 대통령으로 취임할 일 없을 테니까 연임은 필요 없을 것이고 어떻게든 길게 해쳐먹기 위해 나온 게 5년이다. 그런데 예상치 못하게 노태우가 전두환을 백담사로 쫓아내서 수포로 돌아간 것 뿐이다.

역대 머통령들이 대통령 계속 하고 싶어서 선거에 각종 선물 공세를 하는 등, 각종 병폐를 타파하려고 생겨난 단임제는 그 병폐를 단절하지 못했다.

대선은 5년마다, 총선은 4년마다 치르는 이 뒤틀린 체제가 언제쯤 바뀔까. 걍 대통령도 4년마다 하는 게 낫다.

근데 개헌을 진행한다면 어떤 식으로 진행되려나? 국민투표법이 헌법 불합치라고 시행을 못하게 됐는데.

역대 헌법[편집]

헌법 제10호[편집]

1988.02.25~현행 헌법

국가 원수:대통령

행정부 수반:대통령

임기 5년, 재선 금지(단임)

국민이 직접 선출

자세한 내용은 헌법 참고.

현재 10차 개헌(헌법 제11호) 논의 중

역대 대통령[편집]

노태우(13대)[편집]

출생 1932.12.04

임기 1988.02.25~1993.02.24

신군부 출신

제24회 서울 올림픽 개최

퇴임 후 뇌물 혐의로 구속, 군사반란 혐의 인정으로 징역형

김영삼(14대)[편집]

생몰 1929.01.14~2015.11.22

임기 1993.02.25~1998.02.24

정부명:문민정부

금융 실명제

외환위기, IMF 구제금융

김대중(15대)[편집]

생몰 1924.01.06~2009.08.18

임기 1998.02.25~2003.02.24

정부명:국민의 정부

햇볕정책

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2년 한일 월드컵

노무현(16대, 탄핵 소추 이전)[편집]

생몰 1946.09.01~2009.05.23

임기 2003.02.25~2004.03.12

정부명:참여정부

2004년 탄핵소추로 권한 정지

권한대행 고건[편집]

출생 1938.01.02

임기 2004.03.12~2004.05.14

국무총리 자격으로 권한 대행

노무현(16대, 복직)[편집]

임기 2004.05.14~2008.02.24

탄핵 소추 기각으로 복직

2007년 남북정상회담

퇴임 후 뇌물 혐의로 조사 중 2009년 5월 23일 김해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투신자살, 사인 두부외상

이명박(17대)[편집]

출생 1941.12.19

임기 2008.02.25~2013.02.24

정부명:이명박 정부

유일한 일본 출생 대통령

서울시장 출신

4대강 사업

퇴임 후 뇌물 혐의로 구속, 2020년 2월 19일 항소심(제2심)에서 징역 17년 선고

박근혜(18대)[편집]

출생 1952.02.02

임기 2013.02.25~2016.12.09

정부명:박근혜 정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탄핵 소추 가결, 2017년 3월 10일 대통령직에서 파면됨

헌정 사상 유일하게 탄핵된 대통령

공천개입 혐의로 2019년 4월 17일에 수감, 현재 기결수 신분, 2021년 12월 31일 사면

권한대행 황교안[편집]

출생 1957.04.15

임기 2016.12.09~2017.05.10

국무총리 자격으로 권한 대행

문재인(19대)[편집]

출생 1953.01.24

임기 2017.05.10~2022.05.10

정부명:문재인 정부

2018년 평창 올림픽, 남북정상회담

2020년 우한 폐렴 국내 유입

높은 지지율에도 정권 재창출 실패

윤석열(20대)[편집]

출생 1960.12.18

임기 2022.05.10~현재

정부명:윤석열 정부

현재 대한민국 대통령

검사, 검찰총장 출신

제6공화국 이후 선출직 없이 대통령에 당선된 대통령

그리고 한양 천도 이후의 사대문 밖에서 정무를 보는 최초의 대통령

유일한 수도권(서울특별시) 출생 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편집]

당선자는 볼드체 표기

※ 제6공화국의 선거는 모두 5년 단선제이고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직접 선거이다.

제14대 (1992)[편집]

실시일자 1992.12.18

김영삼 당선

주요 후보[편집]

김영삼(민주자유당) 42.0%(9,977,332표)

김대중(민주당) 33.8%(8,041,284표)

정주영(통일국민당) 16.3%(3,880,067표)

제15대 (1997)[편집]

실시일자 1997.12.18

김대중 당선

주요 후보[편집]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40.3%(10,326,275표)

이회창(한나라당) 38.7%(9,935,718표)

이인제(국민신당) 19.2%(4,925,591표)

제16대 (2002)[편집]

실시일자 2002.12.19

노무현 당선

주요 후보[편집]

노무현(새천년민주당) 48.9%(12,014,277표)

이회창(한나라당) 46.6%(11,443,297표)

권영길(민주노동당) 3.9%(957,148표)

제17대 (2007)[편집]

실시일자 2007.12.19

이명박 당선

주요 후보[편집]

이명박(한나라당) 48.7%(11,492,389표)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 26.1%(6,174,681표)

이회창(무소속) 15.1%(3,559,963표)

제18대 (2012)[편집]

실시일자 2012.12.19

닭ㄹ혜 당ㅅ...

작성자가 도 모르게 사라졌습니다.

읍읍!!

박근혜 당선

주요 후보[편집]

박근혜(새누리당) 51.6%(15,773,128표)

문재인(민주통합당) 48.0%(14,692,632표)

제19대 (2017)[편집]

실시 일자 2017.05.09

문재아ㅇ..

작성자가 야심한 달밤에 드럼통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읍읍!!

문재인 당선

주요 후보[편집]

문재인(더불어민주당) 41.1%(13,423,800표)

홍준표(자유한국당) 24.0%(7,852,849표)

안철수(국민의당) 21.4%(6,998,342표)

제20대 (2022)[편집]

실시 일자 2022.03.09


정의가 구현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사실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정의를 존나 드물게도 구현한 보람찬 사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의는 반드시 승리한다!

윤석열 당선

주요 후보[편집]

이재명(더불어민주당) 47.83%(16,147,738표)

윤석열(국민의힘) 48.56%(16,394,815표)

역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 제6공화국의 총선은 소선거구제비례대표제를 실시한다.

제13대 (1988)[편집]

실시일자 1988.04.26

투표율 75.8%

정원 299석(지역구 224석+비례대표 75석)

주요 정당[편집]

민주정의당 125석(지역 87+비례 38), 6,670,494표(34%)

평화민주당 70석(지역 54+비례 16), 3,783,279표(19.3%)

통일민주당 59석(지역 46+비례 13), 4,680,175표(23.8%)

신민주공화당 35석(지역 27+비례 8), 3,062,506표(15.8%)

제14대 (1992)[편집]

실시일자 1992.03.24

투표율 71.9%

정원 299석(지역구 237석+비례대표 62석)

주요 정당[편집]

민주자유당 149석(지역 116+비례 33), 7,923,718표(38.5%)

민주당 97석(지역 75+비례 22), 6,004,578표(29.2%)

통일국민당 31석(지역 24+비례 7), 3,574,419표(17.4%)

제15대 (1996)[편집]

실시일자 1996.04.11

투표율 63.9%

정원 299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6석)

주요 정당[편집]

신한국당 139석(지역 121+비례 18), 6,783,730표(34.5%)

새정치국민회의 79석(지역 66+비례 13), 4,971,961표(25.3%)

자유민주연합 50석(지역 41+비례 9), 3,178,474표(16.2%)

제16대 (2000)[편집]

실시일자 2000.04.13

투표율 57.2%

정원 273석(지역구 227석+비례대표 46석)

주요 정당[편집]

한나라당 133석(지역 112+비례 21), 7,365,359표(39%)

새천년민주당 115석(지역 96+비례 19), 6,780,625표(35.9%)

자유민주연합 17석(지역 12+비례 5), 1,859,331표(9.8%)

제17대 (2004)[편집]

실시일자 2004.04.15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전국구) 선거 분리

투표율 60.6%

정원 299석(지역구 243석+비례대표 56석)

주요 정당[편집]

열린우리당 152석(지역 129+비례 23), 8,145,814표(38.3%)

한나라당 121석(지역 100+비례 21), 7,613,660표(35.8%)

민주노동당 10석(지역 2+비례 8), 2,774,061표(13%)

새천년민주당 9석(지역 5+비례 4), 1,510,178표(7.1%)

자유민주연합 4석(지역 4), 600,462표(2.8%)

제18대 (2008)[편집]

실시일자 2008.04.09

투표율 46.1%

정원 299석(지역구 245석+비례대표 54석)

주요 정당[편집]

한나라당 153석(지역 131+비례 22), 6,421,727표(37.5%)

통합민주당 81석(지역 66+비례 15), 4,313,645표(25.2%)

자유선진당 18석(지역 14+비례 4), 1,173,463표(6.8%)

친박연대 14석(지역 6+비례 8), 2,258,750표(13.2%)

제19대 (2012)[편집]

실시일자 2012.04.11

재외국민이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됨

투표율 54.2%

정원 300석(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

주요 정당[편집]

새누리당 152석(지역 127+비례 25), 9,129,226표(42.8%)

민주통합당 127석(지역 106+비례 21), 7,775,737표(36.5%)

통합진보당 13석(지역 7+비례 6), 2,198,082표(10.3%)

자유선진당 5석(지역 3+비례 2), 689,843표(3.2%)

제20대 (2016)[편집]

실시일자 2016.04.13

투표율 58.0%

정원 300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

주요 정당[편집]

더불어민주당 123석(지역 110+비례 13), 6,069,744표(25.5%)

새누리당 122석(지역 105+비례 17), 7,960,272표(33.5%)

국민의당 38석(지역 25+비례 13), 6,355,572표(26.7%)

정의당 6석(지역 2+비례 4), 1,719,891표(7.2%)

제21대 (2020)[편집]

실시일자 2020.04.15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투표율 66.2%

정원 300석(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

비례대표 정당은 기울임체 표기

주요 정당[편집]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180석의 가호를 받고 있습니다. 지금은 169석이지만 여전히 이 들이 어 지켜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대상을 비판하면 공산당원들과 깨시민, 조선족 댓글알바, 대깨문들에게 친일파, 토착왜구, 틀딱충, 박사모, 일베충, 국힘의원 등으로 몰려 적폐청산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응 180석이야~^^"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180석(더민주 지역 163+더시민 비례 17), 9,307,112표(33.4%)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103석(통합당 지역 84+한국당 비례 19), 9,441,520표(33.8%)

정의당 6석(지역 1+비례 5), 2,697,956표(9.7%)

국민의당 3석(비례 3), 1,896,719표(6.8%)

열린민주당 3석(비례 3), 1,512,763표(5.4%)

제22대 (2024 예정)[편집]

실시예정일자 2024.04.10

투표율 -%

정원 300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