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다이쇼 덴노

조무위키

파일:원시인.gif 이 문서는 문과가 작성했거나, 또는 문과에 대해 다룹니다.
무슨 생각으로 작성한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주의. 이 문서는 중증 파오후 일뽕이 작성하였으며 일뽕 그 자체를 다루무니다.
이 글에는 아마테라스 츠쿠요미의 은총과 씹덕의 향기가 가득하무니다.
이 글은 친일성향을 띠는 방사성 물질인 세슘이 존나 함유됐으무니다.
만약 당신이 제정신인 갓한민국의 애국자라면 이 글이 매우 역겨울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라무니다.
○○짱 카와이하다능... 쿰척쿰척
이 문서는 참새몰이 인형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는 지 할 일은 안 하고 욕심덩어리로 배때기가 가득 찬 인물이나 부질없이 참새나 모는 허수아비에 대해 다룹니다.
하루종일 우뚝 서 있는 성난 허수아비 아저씨~~
일본 역대 덴노
122대 메이지 덴노 123대 다이쇼 덴노 124대 쇼와 덴노
일본 123대 덴노
시호
다이쇼 천황/대정천황
大正天皇
재위기간 1912년 7월 30일 ~ 1926년 12월 25일
궁호 하루노미야(明宮)
요시히토(嘉仁)
성별 남성
출생일 1879년 8월 31일
사망일 1926년 12월 25일
황후 데이메이 황태후(貞明皇太后)
능호 다마능(多摩陵)
연호 다이쇼(大正/대정)
황거 황거(皇居)

개요[편집]

일본의 천황임. 15년간 재위함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재위하였으며 어렸을 적부터 병신같았으며, 1921년 이후 1926년 사망시까지 이 병신 기질이 두드려져 황태자 히로히토가 대신 섭정하였다.

같은 아싸로서 동질감을 느낀 탓인지 대한제국의 영친왕 이은과 친해 한국어를 배운 적이 있다고 전해진다.

당대에도 개무시를 당해 일본인 아니 전세계인들로부터 '존재감이 없는 천황'으로 불리는 등 등신취급을 받았다.

어려서부터 병에 자주 걸릴 정도로 허약했다는데, 건강이 너무 좋지 않았던 나머지 학교에서도 유급이 자주 있었고, 대학은 결국 중퇴를 하였다고 한다.

그의 이런 허약한 힘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대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불리우는 일본제국 최고의 민주주의 호황기임과 동시에 경제/문화의 호황기였다. 그래서 현재도 다이쇼 로망이라는 형태로 당시의 향수를 담은 작품들이 다수 나오는 중이다.

못생겨서 뽀샵질이나 하는 아부지와 달리 인상은 사람 좋게 생겼다. 게다가 아들이란 새끼는 전범이라 오히려 이 양반이 묻히는 감이 많다.

즉위 및 치세[편집]

선황인 메이지 천황의 후임으로 즉위하였다. 근데 건강이 좋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1황자였던 히로히토(裕仁)가 실질적 정무를 맏았다.

1912년, 다이쇼(大正/대정) 연호를 개원한다.

1912년 8월 1일, 노동자 단체인 우애회(友愛会)가 결성된다.

12월, 가쓰라 다로(桂太郎)가 15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가쓰라 다로가 총리에 취임한 동시에 입헌정우회의 국회의원이었던 오자키 유키오(尾崎行雄)와 이누카이 쓰요시(犬養毅)를 중심으로 파벌정치 타파 및 호헌운동을 펼친다(제1차 헌정옹호운동/第一次憲政擁護運動). 결국 이듬해 2월에 가쓰라 내각이 총사퇴를 한다. 동시에 야마모토 곤노효에(山本権兵衛)가 16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14년 4월,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가 17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14년 4월 30일, 도쿄부에서 다이쇼 천황 즉위를 축하하는 의미로 박람회를 주최한다(도쿄대정박람회/東京大正博覧会).

1914년 7월 28일,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으며 일본은 영일동맹에 의거하여 참전하였다. 그러나 유럽에서 멀었기에 큰 역할을 하지는 못 하였다. 그래서 태평양의 독일령 식민지들을 점령하는 일을 처리했다.

1915년 1월 18일, 중화민국에 21개조 요구(二十一条項)를 한다. 당시 중국은 이를 그대로 들어주었으며, 이에 반발한 중국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5.4 운동이 벌어진다.

1916년,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가 민본주의를 주장한다.

1916년 10월,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가 18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17년 11월 2일, 일본이 중국 만주 및 내몽골 동부의 권익을 인정받는 조약인 이시이・렌싱 협약(石井・ランシング協定)이 체결된다.

1918년 7월 22일, 공업화로 인한 쌀 생산량 감소 및 시베리아 출병을 위한 군량미 확보, 이후 이어지는 도매업자들의 담합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여 일본 내에서 소동이 일어난다(쌀 소동/米騒動) 이후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선을 상대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劃)을 수립한다.

1918년 8월, 데라우치 총리가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였으나 별 효과를 거두지 못 하였다.

1918년 9월, 시베리아 출병의 실패 및 쌀 소동으로 인한 경제침체등으로 인하여 데라우치 총리가 사임하였고, 동시에 하라 다카시(原敬)가 19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하라 총리 재임기간은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시작되어 사상의 자유가 상당수 허용되었고, 이와 동시에 1차대전 특수로 인한 경제호황 및 민생안정이 대공황 이전까지 이루어진다.

1918년 12월 6일, 대학령(大学令)을 선포하여 대학교를 설립을 허가한다. 이듬해에는 국립종합대학령(国立総合大学令)을 선포하여 제국대학을 설립한다.

1919년 3월 1일, 조선에서 3.1 운동이 벌어지며 일본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이후 문화통치로 식민지배정책을 전환한다.

1919년 11월 24일, 일본 내 페미니스트 단체인 신부인협회(新婦人協会)가 결성된다. 이후 페미니즘 운동이 시작된다.

1920년 1월 10일, 국제연맹(LON)이 설립됨과 동시에 일본은 창립국으로 가입한다.

1920년 3월, 러시아 붉은군대가 니콜라옙스크 나 아무레(Никола́евск-на-Аму́ре)에 위치한 일본공사관을 불태운다(니항사건/尼港事件).

1920년 5월 2일, 우애회(友愛会)가 일본에서 최초로 노동절 시위를 개최한다.

1920년 11월 1일, 메이지 신궁(明治神宮)이 진좌(완공)된다.

1921년 11월 2일, 워싱턴 회담이 개최되어 일본 역시 참가한다. 이후 해군 군축조약, 중국에 관한 9개국 조약[1], 태평양 방면의 섬인 속지와 섬인 영지에 관한 4개국 조약[2]을 체결함과 동시에 영일동맹이 해소된다.

1921년 11월 4일, 철도성 직원이었던 나카오카 곤이치(中岡艮一)에 의해 총리였던 하라 다카시가 살해당한다(하라 다카시 암살사건/原敬暗殺事件). 동시에 다카하시 고레키요(高橋是清)가 20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그리고 이 즈음에 일본과 일본령 조선에 H1N1(스페인 독감)이 퍼지기 시작한다. 이때 조선도 큰 피해를 입어서 10만 가까이가 감염되었다고 한다.

1922년 6월, 가토 도모사부로(加藤友三郎)가 21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22년 7월 15일, 일본공산당이 창당된다.

1922년 9월 1일, 관동대지진(関東大震災)이 벌어져 약 10만명이 사망하며, 지진의 발생 원인이 조선인 탓이라는 개소리가 일본에 퍼진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간토에서 조선인 약 6천명이 무고하게 학살당한다.

1923년 9월 2일, 야마모토 곤노효에(山本権兵衛)가 22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23년 9월 3일과 9월 16일, 대지진의 혼란을 이용하여 사회주의자들을 색출하였고(가메이도 사건/亀戸事件 및 아마카스 사건/甘粕事件), 1923년 12월 17일, 히로히토 황태자 내외가 암살을 당할 뻔 한다(도라노몬 사건/虎ノ門事件). 그리고 이 사건으로 인하여 이듬해, 야마모토 내각이 총사퇴를 한다.

1923년 12월 20일, 방송용사설무선전화규칙(放送用私設無線電話規則)이 선포되어 최초의 방송국이 설립된다.

1924년 1월, 기요우라 게이고(清浦奎吾)가 23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그러나 그는 귀족들을 중심으로 정치를 하였기에 이에 반발하여 헌정운동이 발생한다(제2차 헌정옹호운동/第二次憲政擁護運動). 결국 1924년 6월, 기요우라가 사퇴하고 가토 다카아키(加藤高明)가 24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그리고 그의 재임기에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절정에 이른다.

1925년 1월 20일, 일소기본조약(日ソ基本条約)을 체결하여 소련을 국가로 승인함과 동시에 혁명 이후 단절되었던 소련과의 외교관계를 회복한다.

1925년 3월 22일, 동경방송국(東京放送局)이 건립되어 일본 최초의 라디오 방송이 시작된다.

1925년 5월 5일, 보통선거법(普通選挙法)이 선포되어 25세 이상의 남성들은 전부 투표권을 가지게 되었다. 동년 동월 22일에는 사회주의 운동가들을 잡아내기 위해서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을 실행시킨다.

1926년 1월, 와카쓰키 레이지로(若槻禮次郞)가 25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다.

1926년 6월 10일, 조선에서 6.10 만세운동이 일어난다. 당연히 일본은 철저하게 탄압한다.

1926년 8월 6일, 일본방송협회(日本放送協会/현 NHK)가 설립된다.

이후 1926년 12월 25일에 붕어한다. 다이쇼가 죽으면서 일본 내의 군부가 조금씩 미쳐돌아가기 시작하는데...

연호[편집]

연호 이름 사용 시기 년수 개원 이유
다이쇼(大正/대정) 1912년 7월 30일 1926년 12월 25일 15년 다이쇼 천황 즉위로 개원

관련 문서[편집]

둘러보기[편집]



일본 덴노 목록
취소선은 실존여부가 불확실한 인물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진무
(기원전 660년~기원전 585년)
스이제이
(기원전 581년~기원전 549년)
안네이
(기원전 549년~기원전 511년)
이토쿠
(기원전 510년~기원전 476년)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고쇼
(기원전 475년~기원전 393년)
고안
(기원전 392년~기원전 291년)
고레이
(기원전 290년~기원전 215년)
고겐
(기원전 214년~기원전 158년)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가이카
(기원전 157년~기원전 98년)
스진
(기원전 97년~기원전 30년)
스이닌
(기원전 29년~70년)
게이코
(71년~130년)
제13대 제14대 섭정/제15대 제16대
세이무
(131년~191년)
주아이
(192년~200년)
진구
(201년~269년)
오진
(270년~310년)
닌토쿠
(313년~399년)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리추
(400년~405년)
한제이
(406년~410년)
인교
(411년~453년)
안코
(453년~456년)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유랴쿠
(456년~479년)
세이네이
(480년~484년)
겐조
(485년~487년)
닌켄
(488년~498년)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부레쓰
(498년~506년)
게이타이
(507년~531년)
안칸
(531년~535년)
센카
(535년~539년)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긴메이
(539년~571년)
비다쓰
(572년~585년)
요메이
(585년~587년)
스슌
(587년~592년)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스이코
(592년~628년)
조메이
(629년~641년)
고교쿠
(642년~645년)
고토쿠
(645년~654년)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사이메이
(655년~661년)
덴지
(661년~672년)
고분
(672년)
덴무
(672년~686년)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지토
(686년~697년)
몬무
(697년~707년)
겐메이
(707년~715년)
겐쇼
(715년~724년)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쇼무
(724년~749년)
고켄
(749년~758년)
준닌
(758년~764년)
쇼토쿠
(764년~770년)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고닌
(770년~781년)
간무
(781년~806년)
헤이제이
(806년~809년)
사가
(809년~823년)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준나
(823년~833년)
닌묘
(833년~850년)
몬토쿠
(850년~858년)
세이와
(858년~876년)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요제이
(876년~884년)
고코
(884년~887년)
우다
(887년~897년)
다이고
(897년~930년)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스자쿠
(930년~946년)
무라카미
(946년~967년)
레이제이
(967년~969년)
엔유
(969년~984년)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가잔
(984년~986년)
이치조
(986년~1011년)
산조
(1011년~1016년)
고이치조
(1016년~1036년)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고스자쿠
(1036년~1045년)
고레이제이
(1045년~1068년)
고산조
(1068년~1073년)
시라카와
(1073년~1087년)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호리카와
(1087년~1107년)
도바
(1107년~1123년)
스토쿠
(1123년~1142년)
고노에
(1142년~1155년)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고시라카와
(1155년~1158년)
니조
(1158년~1165년)
로쿠조
(1165년~1168년)
다카쿠라
(1168년~1180년)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안토쿠
(1180년~1185년)
고토바
(1183년/1185년~1198년)
쓰치미카도
(1198년~1210년)
준토쿠
(1210년~1221년)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주쿄
(1221년)
고호리카와
(1221년~1232년)
시조
(1232년~1242년)
고사가
(1242년~1246년)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고후카쿠사
(1246년~1260년)
가메야마
(1260년~1274년)
고우다
(1274년~1287년)
후시미
(1287년~1298년)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고후시미
(1298년~1301년)
고니조
(1301년~1308년)
하나조노
(1308년~1318년)
고다이고
(1318년~1339년)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고무라카미
(1339년~1368년)
조케이
(1368년~1383년)
고카메야마
(1383년~1392년)
고코마쓰
(1392년~1412년)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쇼코
(1412년~1428년)
고하나조노
(1428년~1464년)
고쓰치미카도
(1464년~1500년)
고카시와바라
(1500년~1526년)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고나라
(1526년~1557년)
오기마치
(1557년~1586년)
고요제이
(1586년~1611년)
고미즈노오
(1611년~1629년)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메이쇼
(1629년~1643년)
고코묘
(1643년~1654년)
고사이
(1655년~1663년)
레이겐
(1663년~1687년)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6대
히가시야마
(1687년~1709년)
나카미카도
(1709년~1735년)
사쿠라마치
(1735년~1747년)
모모조노
(1747년~1762년)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고사쿠라마치
(1762년~1771년)
고모모조노
(1771년~1779년)
고카쿠
(1780년~1817년)
닌코
(1817년~1846년)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고메이
(1846년~1867년)
메이지
(1867년~1912년)
다이쇼
(1912년~1926년)
쇼와
(1926년~1989년)
제125대 제126대 - -
아키히토
(1989년~2019년)
나루히토
(2019년~)
- -

각주

  1. 중국의 주권,독립,영토적,행정적 통합성을 존중
    중국에 안정된 정권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함
    중국 내 상공업 기회를 균등화
    특권이나 특별이익을 배제
  2. 섬인 속지나 섬인 영지와 관련해 조약국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거나 조약국이 아닌 국가로부터 침략의 위협이 있는 경우에 조약국이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