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박천군

조무위키

imported>그렁그렁이님의 2019년 7월 2일 (화) 21:2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대한민국 평안도행정구역

평안북도
자치시 신의주시
자치군 의주군 · 용천군 · 철산군 · 선천군 · 정주군 · 박천군 · 태천군 · 영변군 · 운산군 · 구성군
창성군 · 벽동군 · 삭주군 · 초산군 · 위원군 · 희천군 · 강계군 · 자성군 · 후창군

평안남도
자치시 평양시 · 진남포시
자치군 안주군 · 대동군 · 순천군 · 맹산군 · 양덕군 · 성천군 · 강동군 · 중화군 · 용강군 · 강서군
평원군 · 개천군 · 덕천군 · 영원군
참고 참고: 한국의 행정구역 ·밑줄: 도청소재지
주의! 이 글이 다루는 대상은 존나 미스터리합니다.
씨ㅡ발 뭐가 뭔지 몰?루겟소요. 무섭습니다. ㅠㅠ
☢CAUTION!!☢ 이 문서는 방사능에 오염되었스무니다. ☢CAUTION!!☢
☢이 문서는 도쿄전력이 관리하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피폭된 문서이무니다.☢
☢이 문서 곳곳에서 세슘이 검출되었스무니다. 살아남으려면 빨리 도망쳐 병신아.

청천강바로 북쪽에 있는 행정구역.

역사[편집]

진개고조선 후드려패고 만번한까지 진출했을 때, 만번한의 번한이었던 '번한현(藩汗縣)이 이곳에 있다고 비정된 바가 있으나 자세한 것은 그시대 사람들만 알것이다.

고구려발해에선 정확한 이름은 아니지만 박릉군(博陵郡)이라고 하지 않았을까 추측만 할 뿐이다. 고려이전에는 고덕창(古德昌)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995년 박릉군에서 박주(博州)로 승격, 방어사가 파견되었다. 1010년 거란이 2차로 쳐들어왔을 때 안북도호부사 박섬이 을 버리고 빤쓰런한 탓에 1차로 초토화되었다.

1231년 1차 몽골침공때 몽골군에게 다시 초토화되었고 치소도 바닷가 어디 섬에 30년간 옮겨졌다. 본토로 돌아온 1261년부터 1371년까지 가주의 속주가 되었다.

1413년 박천군이 되어 지군사가 설치되었으나 세종시대엔 599호 1,035명밖에 안되는 작은 군이 되었는데 1459년 군이 너무 쇠퇴했다는 이유로 영변군에 편입되었다가 1464년 독립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1459년 영변에 스까될 때 영변진관에 속해서 병마동첨절제사가 파견되었다.

조선후기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을 때 홍경래가 자기 고향인 가산군 다복동을 근거로 거병하고 거병한지 2틀뒤인 1811년 12월 20일 박천군을 점령했다. 하지만 송림동에서 관군에게 쳐발리고 정주로 후퇴하면서 관군치하로 돌아갔다.

부군면 통폐합 때 안주의 월경지와 가산군의 절반을 흡수하면서 군역이 528.9㎢로 확장되었다.

6.25 전쟁초기, 평양 탈환이후 미군 제24사단에 의해 대한민국에 수복되었으나 운산 - 영변전투이후 순식간에 북괴치하로 다시 넘어왔다. 지금은 핵실험을 위한 우라늄광산이 되었다.

읍면[편집]

舊 박천군 지역[편집]

박천읍[편집]

博川邑

現 북괴령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읍 대부분, 봉성리, 석계리 일부, 중남리, 원남리 일부, 송석리, 덕삼리, 학암리, 봉흥리 일부

면적 91.99㎢ 읍소재지는 미력동.

미력(未力), 남부(南部), 남하(南下), 남호(南湖), 동부(東部), 등산(燈山), 병천(丙川), 봉상(鳳上), 봉하(鳳下), 북부(北部), 사직(社稷), 삼안(三安), 서부(西部), 송덕(松德), 용흥(龍興), 원남(元南), 추호(楸湖)의 17개동을 관할했다.

본래 군내면(郡內面)이라 칭했는데 1914년 부군면 통폐합때 박천면으로 바뀌었다. 1935년, 북면에 속했던 남하동, 사직동, 원남동, 용흥동, 가동면에 속했던 추호동이 본면으로 넘어왔고 1942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남쪽 봉린산, 동북쪽 두모산(頭帽山, 189m)을 중심으로 낮은 구릉이 있으나 읍 서북경계를 따라 대령강이 흐르고 그 지류가 읍 전체를 망상으로 흘러 평야지대를 만들었다. 때문에 쌀, 콩, 조, 옥수수와 같은 다양한 농산물이 재배되었다.

그리고 대령강 상류인 삭주군, 태천군, 창성군에서 벌채된 소나무가 비가 와 강이 부는 날에 박천까지 보내졌는데, 여기까지 보내진 소나무로 건축재나 갱목, 원목가구등을 만들었다고 한다.

송덕동에 박천향교, 둘레가 2.2km였던 박릉토성, 원남동의 아어서원(亞於書院)이 있었고, 어의동의 심곡사(心谷祠), 봉하동의 지천사(遲川祠)와 봉명사(鳳鳴祠), 용흥동의 봉강사(鳳崗祠)등의 사우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송덕동에는 박천성적비(博川聖蹟碑)라고 선좆이 도망중 이곳에 이르렀을 때 행적을 수록한 비석이 주필각(駐蹕閣)에 보관되어있었다. 근데 지금은... 알지? 어쩔 수 없어.

광복직후 동남면의 석화동, 학등동을 흡수했고 북괴수립직후인 1949년 리제가 실시됨에 따라 모든 동이 리로 개편되었고 읍도 면으로 강등먹었다. 그리고 등산리에서 덕중리(德中里), 병천리에서 석우리(石隅里), 학등리에서 장등리(長嶝里), 원남리에서 원진리(元鎭里), 석화리에서 정항리(井項里), 봉하리에서 묵방리(墨房里), 미력리에서 고성리(古城里), 남하리에서 중남리(中南里)가 신설되었고 송덕리가 송사리(松四里), 창덕리(昌德里)로 분리됨에 따라

미력, 고성, 남부, 남하, 중남, 남호, 동부, 등산, 덕중, 병천, 석우, 봉상, 봉하, 묵방, 북부, 사직, 삼안, 서부, 송사, 창덕, 용흥, 원남, 원진, 추호, 석화, 정항, 학등, 장등의 28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인해 박천읍(동부리, 서부리, 남부리, 북부리, 남호리, 고성리 일부), 봉성리(봉하리, 묵방리, 고성리 나머지), 석계리 대부분(정항리, 장등리, 동남면 석화리), 중남리(남하리, 중남리, 사직리), 원남리(원남리, 용흥리, 원진리), 송석리(송사리, 석우리, 병천리, 등산리), 덕삼리(삼안리, 덕중리, 창덕리),봉흥리 일부(봉상리, 미력리, 동남면 일원리)로 개편, 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953년 영변군 독산면 용전리, 수우리를 병합하여 만들어진 수룡리가 원남리로 편입되었다. 1954년 영변군 영변군#소림면 서위리의 일부가 석계리로 편입되었고 봉성리 일부, 봉흥리 일부가 박천읍으로 편입되었다.

덕안면[편집]

德安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박천군 율곡리, 대령리, 청산리, 신평리, 단산리.

면적 38.47㎢. 면 소재지는 동사동.

동사(東四), 구룡(九龍), 하칠(下七), 이봉(二峰), 사륙(四六), 남오(南五), 동팔(東八), 망우(望隅), 북일(北一), 유초(柳草), 서공(西公), 가흥(加興)의 12개동을 관할했다.

본래 덕받이 안쪽에 있다고 하여 덕안면이라 명명되었고 구룡, 하칠, 이봉, 사륙, 남오, 동팔, 동사, 북일, 망우의 9개동을 관할했다. 부군면 통폐합시기 각동의 일부가 인근 동으로 옮겨지는 개판에 가까운 행정개편을 겪었다. 이후 1939년 가남면의 유초동, 서공동, 가흥동이 본면으로 넘어왔다.

묘향산 지맥이 끝나는 면 북동부에 약간의 구릉지대가 있을뿐 전지역이 평지가 되었다. 청천강과 대령강사이에 있는데, 서남단인 망우동일대에서 바다로 들어갔다. 그런데 황하발 황토가 서해에서 퇴적되었다보니 1940년 두 강의 합류지점에 있던 장상도(長上島)가 망우동과 연결되면서 17.8㎢를 갈대밭으로 만들었다. 이후 8.15 광복직전까지 8㎢의 농토가 개간되었다.

또한 1910년대 해창산(海滄山)아래에서 가흥동에 이르는 -자형둑이 만들어지면서 서공, 유초, 구룡, 가흥의 4개동에 펼쳐졌던 2㎢의 황무지가 덕안북평야로 개간되기도 했다.

이렇게 개간되면서 본 면은 서북지역의 주요 곡창지대로 떠오르게 되었지만 북괴치하에서 주체농법으로 좆망.

북일동지역은 흙이 토기를 만드는데 좋아 도자기제조로 유명했고 개간되지 않고 남았던 갈대밭에서 난 갈대를 원료로 한 삿자리 제조가 활발히 이뤄지기도 했다.

그런데 철도가 없다보니 철도를 쓰려면 구룡동 구룡나루에서 배를 타고 신안주로 건너가거나 박천읍까지 가야했다는게 문제였다..

살수대첩직후 고구려가 지금의 사륙동, 하칠동 사이에 있는 대장산(大長山) 서남쪽 기슭에 고성진(古城鎭)을 세웠지만 지금은 있었다는 카더라만 남았다.

북괴수립직후인 1949년 읍면리제를 실시하면서 북일리에서 북상리(北上里), 이봉리에서 동봉리(東峯里), 남오리에서 서오리(西五里)가 신설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인해 율곡리(남오리 + 동사리 + 서오리), 형팔리(북일리 + 이봉리 + 북상리 + 동봉리), 청산리(사륙리 + 하칠리), 신평리(가흥리 + 구룡리 + 서공리 + 유초리), 단산리(동팔리 + 망우리)로 개편, 전지역이 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982년 형팔리가 대령리로 개명되었다.

동남면[편집]

東南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박천읍 일부, 봉흥리 일부, 상양리, 맹중노동자구, 맹하리, 학암리, 평안남도 안주시 송도리

면적 86.21㎢. 면 소재지는 맹중동.

맹중(孟中), 동남(東南), 서송(西松), 동이(東二), 송봉(松峰), 상강(上講), 대양(大楊), 일원(一院), 당상(堂上), 도남(都南), 진석(眞石), 학등(鶴登), 석화(石花), 동하(東下), 남송(南松)의 15개동을 관할했다.

1914년 박천군 동면과 남면을 합하여 만들어졌다.

동북부는 낮은 구릉지대이고 북부에는 봉린산으로 인한 산악지대이다. 청천강이 동남부 경계를 따라 흐르고 대령강이 서북부 경계를 따라 흘러 두 강 유역에 평야가 발달하였다. 그래서 논농사가 활발했다고 한다.

경의선이 면 서남부를, 박천선이 면 서부를 남북으로 지나고 경의북도와 맹북선 2등도로가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교통의 요지였던 덕분에 맹중동은 인근 평야에서 생산되었던 곡물의 집산지, 운산, 북진, 창성, 대유동일대 광산에서 채굴된 광물의 거점역할을 하기도 했다.

고려 문종시기 봉린산에 심원사가 건립되었는데, 단오때는 박천읍민들이 3일간 씨름대회를 벌인 뒤 심원사를 찾아 불공을 올리고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도남동의 설한산(雪寒山)에서 기우제가 치뤄지기도 했다.

북괴 수립직후인 1949년에는 리제가 실시되면서 맹중리에서 맹상리(孟上里), 진석리에서 진암리(眞巖里)가 신설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봉흥리 일부(일원리, 박천면 봉상리, 미력리), 상양리(당상리, 대양리, 상강리), 맹상리(맹상리, 동남리, 동이리), 송도리(서송리, 송봉리, 도남리), 맹하리(맹중리, 동하리, 남송리), 학암리 일부(학등리, 진석리, 진암리), 석계리 일부(석화리, 박천면 정항리, 장등리)로 개편, 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954년 맹상리가 맹중리로 개명되었고 봉흥리 일부가 박천읍으로 편입되었다. 1980년 송도리가 안주시로 편입되었다. 1997년 5월 맹하리 일부가 맹중리로 흡수되었고 맹중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舊 가산군 지역[편집]

고려이전까지 신도군(信都郡), 혹은 고덕현(古德縣)이었다. 960년 습홀(濕忽)에 성을 쌓고 가주(嘉州)로 승격되었으며 995년 방어사가 파견되었다. 1220년 반란이 일어나 무령현(撫寧縣)으로 강등먹었고 1230년 몽골군의 공격때문에 치소를 섬으로 옮겼다. 1260년 섬에서 육지로 돌아와 태주, 박주, 무주, 위주를 속주로 두고 가주의 머튽이 4개속주의 민정을 겸하게 되었다. 이후 박주만 남고 나머지는 독립했으며 1371년 남은 박주까지 독립되었다. 1413년 가산군으로 개명되었다.

홍경래의 난의 주동자였던 홍경래가 본군 다복동을 근거로 1811년 12월 18일 반란을 일으켜 군수 정기(鄭蓍)의 부자를 죽이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박천 송림동에서 관군에게 패해 정주에서 알박기를 시전하면서 관군에게 넘어갔다.

이후 부군면 통폐합때 반토막이 나 일부지역은 박천, 일부는 정구로 편입되었다.

북괴치하에서 군면리 대폐합때 운전군이 되었다.

가산면[편집]

嘉山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운전군 대연리 일부, 가산리, 용봉리.

면적 64.12㎢. 면 소재지는 동문동.

동문(東門), 남신(南新), 대성(大成), 봉서(鳳西), 봉소(鳳巢), 신사(新沙), 용탄(龍灘)의 7개동을 관할했다.

고려이전까지 신도군(信都郡)이라 불렸다.

적유산맥의 여파로 인해 산세가 험준하고 평야가 협소하며, 중앙의 봉두산을 필두로 하여 면 대부분이 200m언저리의 구릉지대로 구성되있었다. 서남쪽 경계에 장수탄강이 심한 곡류를 만들며 남류하고, 그 근처와 동북부에 있는 삼가저수지에 약간의 충적평야가 만들어졌다.

이런 환경때문에 쌀보다는 조, 수수, 옥수수, 감자, 콘, 목화가 주로 생각되었고 평북지역 산악지대답게 목재, 목탄, 장작, 그리고 삼베, 명주가 생산되었고 소, 닭, 돼지가 사육되었다고 한다. 또한 대성동과 신사동에는 소량의 흑연, 이 채굴되었다고 한다.

동문동에는 봉두산성(鳳頭山城), 혹은 내성(內城)이라고 불렸던 고려시대의 습홀성(濕忽城)이 있는데 석축둘레가 약 299.3m이고, 성 안에 우물 99개와 못 2개가 있었다고 한다.

봉두산에는 고려 문종시기 건립된 천황사(天皇寺), 동문동에는 가산향교와 충렬사, 효성산에는 성좌(星座)에 제를 올렸다는 효성대(曉星臺)가 있었다.

북괴 수립직후인 1949년 모든 동이 리로 바뀌었고 남신리에서 지장리(紙場里), 대성리에서 내의리(來儀里), 봉서리에서 평지리(坪地里)가 신설되어 동문, 남신, 지장, 대성, 내의, 봉서, 평지, 봉소, 신사, 용탄의 10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때 대연리 일부(내의리 + 대성리 + 청룡면 소삼리), 가산리(지장리 + 동문리 + 남신리 + 봉소리), 용봉리(봉서리 + 신사리 + 평지리 + 용탄리)로 개편되어 대연리로 넘어간 내의, 대성리는 박천군에 나머지 가산리와 용봉리는 운전군에 편입되었다. 그런데 1954년 대연리가 운전군으로 편입되면서 전면지역이 운전군에 편입되었다.

서면[편집]

西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운전군 금계리, 송학리, 학산리.

면적 31.73㎢. 면소재지는 송담동.

송담(松潭), 와현(瓦峴), 성산(聖山), 근장(芹場), 하양(河陽), 용진(龍津), 운포(雲浦), 금계(金鷄)의 8개동을 관할했다.

본래 가산군 서면이었다. 동북쪽 가산면과의 경계에 황학산, 서쪽 정주군과의 경계에 칠악산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100m내외의 구릉지대가 형성되었다. 장수탄강이 면중앙을 북에서 동남방향으로 곡류를 이루며 흘러 대령강으로 들어가고 대령강이 동,남부경계를 따라 흘러 수리시설이 좋은 넓은 평야가 전개되었다.

금계동에 육영서원, 황학산에 윤관장군을 모신 조양사, 황하산의 금계사, 칠악산의 선혈사와 백운암등이 있었지만... 알지? 어쩔 수 없어.

북괴수립직후인 1949년 리제를 실시하면서 송담리에서 송죽리(松竹里), 와현리가 반토막나 학현리(鶴峴里), 와곡리(瓦谷里), 하양리에서 곡하리(曲河里)가 신설되어

송담, 송죽, 학현, 와곡, 성산, 근장, 하양, 곡하, 용진, 운포, 금계의 11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때 학산리(운포리 + 하양리 + 곡하리 + 용진리), 송학리(송담리 + 송죽리 + 근장리 + 성산리), 금계리(금계리 + 와곡리 + 학현리)로 개편되어 운전군에 편입되었다.

1954년 학산리와 송학리가 각 일부를 주고받았고 학산리는 금계리의 일부를 흡수했다.

양가면[편집]

兩嘉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운전군 운전읍, 보석리 일부, 구련리, 서삼리, 봉덕리, 동삼리.

면적 63.31㎢. 면 소재지는 영미동.

영미(嶺美), 연지(蓮池), 구정(九井), 연담(蓮潭), 봉산(鳳山), 자하(紫霞), 덕달(德達), 선사(善士), 덕인(德仁), 심태(深台), 서동(瑞東), 어의(於義), 보석(寶石)의 13개동을 관할했다.

1935년 박천군 가남면과 가동면을 합하면서 만들어졌다.

북동부는 옥녀봉을 중심으로 구릉지대를 이루고, 대령강이 남계를 따라 서남류하며 그 지류가 면 전체에 흘러 하천변에 평야지대가 만들어졌다. 영미동지역에 영미역이 있었다.

북괴 수립직후인 1949년 리제를 실시하면서 영미리에서 미림리(美林里) + 유동리(柳洞里), 보석리에서 지석리(支石里), 심대리에서 심현리(深峴里), 선사리에서 동문리(東門里)가 신설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때 보석리(보석리 + 어의리 + 지석리), 구련리(연담리 + 연지리 + 구정리), 영미리(서동리 + 미림리 + 영미리 + 유동리), 서삼리(심현리 + 덕인리 + 심대리), 봉덕리(봉산리 + 덕달리), 동삼리(자하리 + 선사리 + 동문리)로 개편되어 전지역이 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954년 전지역이 운전군으로 이관되었는데 1954년 보석리의 일부와 영미리가 운전읍으로 개편되었다.

용계면[편집]

龍溪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정주시 오룡동 일부, 운전군 청정리 일부, 삼광리.

면적 90.58㎢. 면 소재지는 오룡동.

오룡(五龍), 원산(元山), 하단(下端), 은봉(隱鳳), 삼광(三光), 인봉(仁峰), 고창(古倉)의 7개동을 관할했다.

본래 가산군 서북면이었는데 부군면 통폐합때 박천에 통폐합되면서 정주군 마산면 춘산동일부가 원산동(元山洞)으로 편입되었는데, 우너산동이 정주군 마산면 청정동에 통폐합되면서 사라졌다.

동남단 목우산[1] 이외에 높은 산은 없지만 300m내외의 잔구성 산지로 사방이 둘러싸인 산간지대라 장수탄강이 남류하면서 생기는 평야말고는 평지가 거의없다. 주민들 대부분이 화전민으로 살았다.

조, 옥수수, 수수, 콩, 팥등의 잡곡이 생산되었고 목탄, 황밤이 생산되었으며 고창동의 운모광에서 광물이 채굴되었다. 원산동에선 유기공업(놋쇠그릇)이 발달하여 납천이유기로 불리던 놋그릇이 생산되었다.

은봉동, 하단동과 정주군 덕언면과의 경계를 이루는 장수탄강을 막으면서 생긴 동인저수지가 경치가 아름답다고 이름났다고 한다.

북괴 수립직후인 1949년 리제를 실시하면서 삼광리에서 삼원리(三院里), 고창리에서 상감리(上甘里), 오룡리에서 은창리(隱滄里)와 원하리가 각각신설되어

오룡, 은창, 원하, 원산, 하단, 은봉, 삼광, 삼원, 인봉, 고창, 상감의 11개리로 개편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때 은봉리(은봉리 + 원하리), 오룡리(인봉리 + 은창리 + 오룡리), 삼광리(삼광리 + 삼원리 + 고창리 + 상감리)로 개편되어 전역이 운전군에 편입되었다. 원산리는 종범했다...

은봉리는 1954년 청정리(정주군 마산면 청정리 + 두무리 + 청남리 + 청산리 + 춘산리)와 오룡리에 반토막나서 분리편입되었고 결국 폐지되었다.

오룡리는 1954년 은봉리의 절반을 흡수, 일부지역을 삼광리에 내주고 정주군으로 옮겨졌는데 1994년 정주군 고안면에서 신설되었던 연봉리(舊 고안면 연봉리 + 두봉리)를 흡수하고 동으로 승격되었다.

청룡면[편집]

靑龍面

現 북괴령 평안북도 운전군 북일리, 박천군 삼봉리, 청룡리, 대연리 일부, 삼화리

면적 62.57㎢. 면 소재지는 응봉동.

응봉(鷹峰), 위령(威靈), 노전(蘆田), 운흥(雲興), 봉지(鳳之), 광성(光星), 인덕(仁德), 만수(萬壽), 대화(大化), 장신(長新), 일화(一和), 은룡(隱龍)의 12개동을 관할했다.

1935년 북면의 창신동, 일화동, 은룡동이 편입되었다.

동쪽에 원수봉(元帥峰, 160m), 남쪽에 청룡산, 중앙에 응봉산(鷹鳳山, 201m), 토함산(吐含山, 253m)이 있어 대부분이 산간지대지만 험준하진 않다. 계지천이 면 북부를 서북에서 동남으로 흘러 인덕동에서 대령강과 합류, 대령강이 동쪽 경계를 따라 남류해 하천주변에 평지가 형성되었다.

노전동, 운흥동에서 운모, 위령동과 노전동에서 약간의 흑연이 채굴되었다.

만수동, 인덕동사이에있는 원수봉은 대령강과 접해서 경치가 뛰어나며 홍경래가 반란을 일으키기 이전 훈련장으로 사용했던 곳이라고 한다. 또한 홍경래, 우군칙이 결연한 청룡사가 본면 대화동에 있었다.

북괴 수립직후인 1949년 대화리에서 소삼리(小三里), 만수리에서 자신리(慈信里)가 신설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때 삼봉리(봉지리 + 인덕리 + 응봉리), 청룡리(만수리 + 자신리 + 대화리), 대연리 일부(소삼리 + 가산면 내의리 + 대성리), 삼화리(장신리 + 일화리 + 은룡리), 북일리(광성리 + 노전리 + 위령리 + 운흥리)로 개편, 북일리는 운전군, 나머지는 박천군에 편입되었다.

1954년 박천군으로 편입된 삼봉, 청룡, 삼화의 3개리가 운전군으로 넘어왔지만 4년뒤 원상복귀되었다.

그외[편집]

이곳에서 전해내려오는 민담들이 졸잼이다.

  1. 소를 방목했던 곳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정월대보름에 이 산에서 달이 뜨는 포지션을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쳤다는 전설이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