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외래어 표기법

조무위키

경고! 이 문서에 문법나치가 등판했습니다!!!
이 문서는 국문학자도 아닌 좆도 없는 문과 새끼가 문법으로 꼰대질을 하고 있습니다!!!
정작 자기 자신들 말대로라면 세종대왕님이 만드신 훈민정음을 그대로 써야 맞습니다.
문법나치의 꼰대질 씹선비질로 인해 좆노잼이 되고 있는 문서입니다.
주의! 정말 극혐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정신적 또는 시각적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받지 않으려면 살포시 뒤로가기를 눌러 주십시오.
이를 무시하고 문서를 보아서 피해를 입더라도 조무위키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은 너무나도 쓰레기 같습니다.
이 쓰레기는 쓰레기보다 더 쓰레기 같아서 쓰레기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입니다.
이 문서 보고 쓰레기 생각한 당신, 당장 쓰레기한테 사과해.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정말 이 없습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은 그 어떤 실드나 개선, 구제도 불가능한, 쉽게 말해서 노답입니다.
만약 어디선가 이런 비슷한 것을 보신다면 조용히 피해 가시길 권합니다.
이를 무시하다 정신병이나 트라우마가 생기더라도 조무위키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한국어 문체의 종류
존댓말 하소서체 하오체 합쇼체 해요체
반말 하게체 해라체 해체
구어체 음성적 잉여표현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문어체 간결체 강건체 건조체 만연체 우유체 화려체
비표준어 국한문​혼용체 국한문​병용체 한영​혼용체 한영​병용체 개조식 발음대로 쓰기 읍니다
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국문법 맞춤법 모아쓰기 띄어쓰기 가로쓰기 세로쓰기
문체:일반 문체/신조어 문체

개요[편집]

제각각인 외래어 표기를 통일하기 위해 표기 규칙을 지정했다. 또, 한글만으론 외래어를 정확히 표기할 방법이 없어서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무리 억지를 쓴다 해도 강제성을 지닐 순 없으므로, 권위있다는 분들이 열심히 정해준 규칙인데 드럽게 안 지켜진다.

기업에서도 상표명이랍시고 안 지키는 일이 다반사다. ex) 윈도우, 쉐보레 그리고 주의해야 할 것 she(셰), swe(쉐)는 완전히 다르다. 쉐는 '수에'를 빠르게 말한 발음이므로 쉐보레는 '수에보레'로 발음되어 원음인 '셰'하고는 거리가 멀다.

"그래도 이 표기[1]을 깔 수 없다."는 사견을 붙이면 발화(표기)의 자유와 소통의 경제성을 모두 추구하는 건 당연히 어렵다. 한국어의 단점 같은 게 아니라 '레고 같은 성격'이 드러나는 특징으로 봐야한다.

일본어 표기법 같은 경우에는 씹덕들이 극혐하는 요소들 중 하나다. 사실 별 이유는 아니고 그냥 캐릭터 이름 어감이 이상해지기 때문. 만화책이나 애니의 인명 표기를 '통용 표기'가 아니라 외래어 표기법대로 할 경우, 번역을 잘해놔도 그거 하나 때문에 오만 욕 다 처먹는 걸 볼 수 있다. 다른 언어는 '이 표기법이 맞음' 하면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기는 것에 비해 이 새끼들은 원어 발음 존중이라는 드립까지 가져오면서 발악을 한다. 역시 씹덕은 과학

꺼무위키에는 문서마다 이걸 들먹이며 각주를 한두 개 넣고 다니는 외스퍼거들이 존재한다.

한국어는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느냐 아니냐에 따라 조사가 이/가, 을/를, 으로/로 등으로 확연히 달라지게 되므로 외래어 표기법과 실생활 사용에서의 괴리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

참고로 외래어 표기법은 어디까지나 한국어 화자들이 한국어로 소통할 때 사용하는 규정이지, 외국어를 익히거나 구사할 때 사용하는 게 아니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건 따르지 않건) 어차피 한글로는 외국어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기 때문에 외국어를 익히거나 구사할 때는 한글 표기에 의존하는 게 아니다.

여담으로 북한에도 한글 표기 규정이 따로 있다. 명칭은 '외국말적기법'이다.

대표적인 무시 사례[편집]

이거 지적하는 애들이 흔히 잘못 생각하는 것 같은데, 한국어 사회 통용 발음에 익숙해져서 섀/셰를 쉐로 적는 작자들도 정말로 [swe] 발음이 옳다고는 생각 안 한다. 그 작자들은 '쉐'가 [ʃe]를 표기한다고, 발음이 아닌 문자를 착각하는 거다. 그리고 당연히 발음도 셰에 가깝다. 후치경음의 반 원순성은 무시해도 원어민은 잘만 알아듣는다.
이 착각이 비롯한 '쉬' 발음과 같이 설명하자면
ㅟ 단모음 발음하는 사람이 사라지고 [우이]로 발음하기 때문에, ㅟ를 [ㆌ]로 이중모음화해 발음해도 대부분 알아듣는다. 그니까 'she'를 '쉬'로 표기하고 위화감을 못 느낀다. 그러나 쉬가 swi인지 she인지 구별하려고 she를 시로 적는 것이다.
이 sh 의 잘못된 치환을 shake에 낑겨넣으니 '쉐이크'로 적고 '슈에이크'로 발음하는 거다. [ʃe] 발음이 셰랑 슈에 중간모음 쯤이니 발음상으론 크게 틀리지 않아 표기를 고수할 뿐이다. 그런데 셰가 더 정확하긴 하다. 쉐로 적을 수 있는 발음은 swe. 즉 '수에'만을 쉐로 적을 수 있다.
쉐 같은 표기를 고치기 위해 확실히 일러줘야 할 것은 한국어 표준 발음이지 외국어 발음 교육이 아니다. 그리고 외국어 발음에도 셰랑 수에(쉐)는 완전 다르므로 틀리다.
근데 또 당장 '수에' 로 발음해보라 하면 잘한다. 그냥 인식과 습관 탓이다.
짱깨말 xue는 쉐로 적는 게 원칙이라고 한다.
장음
영어의 경우 철자만 보고 표기하는 듯하다. "ow"라 되어 있을 때 이런 현상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보/보우(bow), 폴로/팔로우(follow), 레인보/레인보우(rainbow), 섀도/쉐도우(shadow), 위도/위도우(widow), 윈도/윈도우(window), 옐로/옐로우(yellow) 등이 있다. 물론 앞의 것이 정답. 물론 윈도우는 상표명이라 그냥 윈도우라 쓴다.
ㅈ, ㅉ, ㅊ 뒤의 [j]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ㅑ, ㅒ, ㅕ, ㅖ, ㅛ, ㅠ) 표기
한국어에서 ㅈ, ㅉ, ㅊ은 이미 구개음화된 발음([j]의 성질이 내포된 발음)이다. 그래서 한국어에서 '자'와 '쟈', '차'와 '챠' 등은 발음상으로 변별되지 않고 [자], [차] 등으로만 발음된다. 다시 말해서 '쟈', '챠' 등으로 적어도 '자', '차' 등으로 적을 때보다 딱히 원음에 더 가까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언어 불문하고 '쟈', '챠' 등의 조합은 안 쓴다.
즉 져지, 츄리닝, 츄러스 같은 것들은 다 틀리는 표기다. 올바른 표기는 저지, 추리닝, 추로스.
조선 때까지만 해도 쟈, 져, 쵸, 츄 등으로 적힌 것들은 현대 한국어에서 모두 자, 저, 초, 추 등으로 바뀌었다. 현재 한국어에서 철자상으로 ㅈ, ㅉ, ㅊ 뒤에 [j]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이 쓰이는 경우는 한국어의 문법적 요소(형태소들의 결합)를 명시하기 위한 경우로 국한된다. 예를 들어 '다쳤다'(← 다치- + -었- + -다), '그렇죠'(← 그렇- + -지 + -요) 등이 있다. 외국어·외래어 한글 표기에는 처음부터 한국어의 문법적 요소가 개입하지 않으므로(단순히 음가를 옮기는 것이므로) '쟈', '챠' 등이 쓰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스페인어
스페인어에서 z는 ㅅ으로 표기해야 하는데 영어 때문인지 잘 지켜지지 않는다. 수아레즈, 페레즈, 베니테즈가 아니라 수아레스, 페레스, 베니테스가 맞다.
네덜란드어
어두에 오는 v는 ㅍ으로 표기해야 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다. 사람 이름에 붙는 van은 '판'이라고 써야하는데 '반'이라고 쓰는 사람이 더 많다.

규정에 문제가 있는 사례[편집]

다만 외래어 표기법에 문제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기는 하다.

스페인어
스페인어 표기법은 표기 세칙이 개판이다. 국립국어원도 표기법 본문에 명시돼 있지 않은 비밀 규정들을 몰래 추가해서 표기 용례들에 적용시키고 있을 정도다.
특히 nc, nj, nq가 개판인데 예를 들면 Reconquista가 레콘키스타냐 레콩키스타냐 논란이 일자 비밀 규정이 생겼다.
그리고 x를 ㅅ 또는 ㄱㅅ으로만 적게 해 놔서 x가 [s]나 [ks]로 발음되지 않는 Oaxaca도 '오악사카'로 적어야 한다.
베트남어
인명을 무조건 죄다 한 단어로 붙여 쓰게 해 놔서 한글 표기만 보고서는 어디까지가 성씨고 어디까지가 미들 네임이고 어디까지가 개인 이름인지 알 수 없게 만들어 놨다. 예를 들어 Nguyễn Xuân Phúc은 성씨가 Nguyễn이고 미들 네임이 Xuân이고 개인 이름이 Phúc인데, 한글 표기 시에는 이걸 '응우옌쑤언푹'으로 죄다 붙여 쓰게 해 놔서 성씨와 미들 네임과 개인 이름의 경계를 알 수 없게 만들어 놨다.
짱깨어
실제 중국어 발음보다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Wade–Giles, 한어 병음 이전에 널리 쓰였던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이하 WG)을 따라간 경우들이 있다.
  • 한어 병음 yan/-ian과 yuan/-üan에서 a의 발음은 [ɛ]인데, yan/-ian은 실제 발음을 반영해서 '옌'으로 적도록 해 놨지만 yuan/-üan은 '위안'으로 적도록 해 놨다. 이건 yan/-ian과 yuan/-üan을 WG에서 각각 yen/-ien과 yüan/-üan으로 적는 것의 영향이다.
  • 한어 병음 you를 '여우'나 '요우'가 아니라 '유'로 적도록 해 놨다. 이건 you를 WG에서 yu로 적는 것의 영향이다(참고로 한어 병음 yu는 WG에서 yü로 적는다).
    • ou를 '어우'로 적도록 했으므로, you에 대해서는 '요우'(나 '유')보다는 '여우'가 더 합리적일 것이다.
그리고 1911년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 한자 독음으로 적고, 그 이후 인물은 중국어 발음에 따라 적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신해혁명 이전과 이후에 동시에 있었던 인물은 어케 되냐 이거다. 그러면 어느 시대에 더 비중있는 인물이었느냐를 보고 판단하면 대부분은 해결이 되지만 예외가 여전히 남아있다. 위안스카이와 푸이가 그 사례다. 둘 다 청나라 때 고위 관직을 한탕 해 먹었고 중화민국 때도 고위 관직을 해먹은 인물이라 어디에 비중을 둬야 할 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푸이는 인생 90%를 신해혁명 이후에 보냈지만 그 이전에 차지했던 마지막 황제라는 타이틀의 비중이 너무 커서 문제가 된다. 이런 경우에는 한국어 한자 독음과 중국어 발음에 따른 한글 표기를 혼용하게 되어 문제가 생긴다.
ㄴ푸이는 선통제라 하면 되지 않냐?
덴마크어
상술하듯 외래어 표기법이 원어 발음 가이드는 아니다보니 큰 문제는 아니지만, 덴마크어는 딱 노르웨이어 알콜중독 버전이라 영어처럼 표기랑 발음 괴리가 좆되는 언어인데 영어와는 달리 씹마이너 특수외국어인 탓에 실제 발음은 싹 무시하고 스웨덴어랑 노르웨이어처럼 표기법대로만 적도록 하고 있다. 덴마크어 배울거면 무조건 리스닝 병행해라. 글로만 배우면 발음이 좆되버린다.

외래어 표기법 관련 논쟁에서 하지 않는 게 좋은 주장[편집]

아래와 같은 주장들은 설득력이 떨어지거나 논파당하기 쉽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게 좋다.

  • 한글 표기가 중복된다, 원어 복원이 안 된다
당장 영어 f와 p도 모두 ㅍ으로 적는 등, 원어에서 다른 발음/철자라도 한글 표기가 같아지는 경우는 많다. 그래서 이 이유는 1순위가 될 수 없다.
  • 나한테는 이렇게 들리니까 이렇게 써야 한다
청취 감각은 사람의 사고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똑같은 소리도 사람의 사고에 따라 '그란도 시즌'으로 들리기도 하고 '하나 둘 셋이야'로 들리기도 한다. 예전에 영어권에서는 똑같은 소리를 듣고 Yanny냐 Laurel이냐로 논쟁이 벌어진 적도 있다.
그리고 이런 식이라면 누군가가 작정하고 어그로를 끌어도(예: 나한테는 [n] 발음이 ㅅ으로 들리니까 ㅅ으로 적어야 한다) 반박을 못 하게 된다. 그것도 '나한테는 이렇게 들리니까 이렇게 써야 한다'기 때문이다.
  • 특정 언어에서 어떠어떠한 발음/철자 차이가 중요하다 (또는 그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 줘야 한다)
해당 언어를 구사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그런 차이를 신경 써야 하는 건 맞는데, 그건 대다수의 한국어 화자들한테는 중요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한국어 화자는 다른 언어를 알아야 할 또는 구사해야 할 의무가 없다. 한글 표기 관련해서 논쟁하는 사람들이 흔히 이 점을 간과한다.
바로 아래의 '원어 발음과 다르다, 원어민이 못 알아듣는다, 다른 언어를 익힐 때 헷갈린다'도 참고.
  • 원어 발음과 다르다, 원어민이 못 알아듣는다, 다른 언어를 익힐 때 헷갈린다
한국어의 한글로는 다른 언어의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다.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건 따르지 않건, 한글로 표기하는 시점에서 필연적으로 원어 발음과 차이가 생기게 된다. 한 언어의 발음을 다른 언어의 표기 체계에 따라 적을 때 정확한 발음 전사는 어차피 불가능한 것으로, 비슷하게밖에 전사되지 않는다. 즉 한글 표기는 다른 언어의 '발음 기호'가 될 수 없다. 다른 언어를 익히거나 구사할 때는 (한글 표기와는 무관하게) 해당 언어의 정확한 발음을 따로 익혀서 그에 맞게 발음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어 화자가 한글 표기를 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한국어 화자들 사이에서의 의사소통을 위해서이며, 한글 표기를 보는 모든 한국어 화자들이 다른 언어를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게 아니다. 예를 들어 에마뉘엘 마크롱이라는 한글 표기를 보는 모든 한국어 화자들이 프랑스어를 알아야 하는 건 아니지 않은가? 다른 언어의 한글 표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다른 언어의 한글 표기를 보는 모든 한국어 화자들이 해당 언어를 알아야 하는 건 아니다. 한글 표기는 한국어 화자들끼리만 잘 알아보고 잘 알아들으면 그만이다. 원어민이 못 알아듣는지 또는 다른 언어 익힐 때 헷갈리는지 등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 너 그 언어 모르면서 뭐라 하지 마라
이건 스스로 자기 자신의 발언권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런 식으로 말하면 상대방이 '너 그 언어 그렇게 잘 알면 한글 표기 가지고 뭐라 할 이유가 없다. 따지고 보면 해당 언어를 잘 아는 사람은 그 언어를 한글로 표기하지 않아도 알아볼 수 있는(다시 말해서 한글 표기가 딱히 필요하지도 않은) 사람이다. 그리고 어차피 한글로 다른 언어의 발음을 정확히 적는 건 불가능하다. 그러니까 그 언어를 그렇게도 잘 아는 너 같은 놈이 어차피 부정확할 수밖에 없는 한글 표기에 대해 왈가왈부할 이유가 없다.' 이런 식으로 반격하면 끝이다. 이러면 한글 표기와 관련된 모든 비판이나 문제 제기 등을 원천적으로 묵살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그 언어를 아는 소수는 이미 정확한 원음을 알고 있으며 딱히 한글 표기가 필요하지 않고(애당초 한글로 다른 언어의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기도 하고), 그 언어를 모르는 대다수는 (위에서 '에마뉘엘 마크롱'을 예시로 들며 얘기했듯이) 애당초 해당 언어에서의 원음이 뭔지 신경 쓰지 않으며 그걸 알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다른 언어 학습자는 한글 표기에 의존하는 게 아니다. 즉 어떤 경우에도 '정확한 발음'을 위해 한글 표기가 동원돼야 할 이유가 없다.
까 놓고 말해서 외래어 표기법을 해당 언어 발음 전문가 전혀 없이 정하는 게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이 엉망으로 정해졌을 때 고통받는 건 그 언어를 아는 소수지 모르는 대다수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아는 소수가 모르는 대다수를 잘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며, 자기가 잘 안다고 해서 모르는 사람을 윽박지를 수 있는 상황이 전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니까 만약 어떤 언어의 한글 표기로 인해 논쟁이 생기면 자신이 그 언어를 아무리 잘 안다 하더라도 저런 말이나 태도는 피하는 게 좋다.

각주

  1. 혹은 그가 필요한 언어, 한국어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