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강왕
조무위키
신라의 국왕 목록 | ||||
박씨 왕조 | 석씨 왕조 | 박씨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혁거세 거서간 박혁거세 (기원전 57년~4년) |
남해 차차웅 박남해 (4년~24년) |
유리 이사금 박유리 (24년~57년) |
탈해 석탈해 (57년~80년) |
파사 박파사 (80년~112년) |
박씨 왕조 | 석씨 왕조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지마 이사금 박지마 (112년~134년) |
일성 이사금 박일성 (134년~154년) |
아달라 이사금 박아달라 (154년~184년) |
벌휴 이사금 석벌휴 (184년~196년) |
내해 이사금 석내해 (196년~230년) |
석씨 왕조 | 김씨 왕조 | 석씨 왕조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조분 이사금 석조분 (230년~247년) |
첨해 이사금 석첨해 (247년~261년) |
미추 이사금 김미추 (261년~284년) |
유례 이사금 석유례 (284년~298년) |
기림 이사금 석기림 (298년~310년) |
석씨 왕조 | 김씨 왕조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흘해 이사금 석흘해 (310년~356년) |
내물 마립간 김내물 (356년~402년) |
실성 마립간 김실성 (402년~417년) |
눌지 마립간 김눌지 (417년~458년) |
자비 마립간 김자비 (458년~479년) |
김씨 왕조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소지 마립간 김소지 (479년~500년) |
지증왕 김지대로 (500년~514년) |
법흥왕 김원종 (514년~540년) |
진흥왕 김삼맥종 (540년~576년) |
진지왕 김사륜 (576년~579년) |
김씨 왕조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진평왕 김백정 (579년~632년) |
선덕여왕 김덕만 (632년~647년) |
진덕여왕 김승만 (647년~654년) |
무열왕 김춘추 (654년~661년) |
문무왕 김법민 (661년~681년) |
김씨 왕조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신문왕 김정명 (681년~692년) |
효소왕 김이홍 (692년~702년) |
성덕왕 김흥광 (702년~737년) |
효성왕 김승경 (737년~742년) |
경덕왕 김헌영 (742년~765년) |
김씨 왕조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혜공왕 김건운 (765년~780년) |
선덕왕 김양상 (780년~785년) |
원성왕 김경신 (785년~798년) |
소성왕 김준옹 (798년~800년) |
애장왕 김중희 (800년~809년) |
김씨 왕조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헌덕왕 김언승 (809년~826년) |
흥덕왕 김경휘 (826년~836년) |
희강왕 김제륭 (836년~838년) |
민애왕 김명 (838년~839년) |
신무왕 김우징 (839년) |
김씨 왕조 |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문성왕 김경응 (839년~857년) |
헌안왕 김의정 (857년~861년) |
경문왕 김응렴 (861년~875년) |
헌강왕 김정 (875년~886년) |
정강왕 김황 (886년~887년) |
김씨 왕조 | 박씨 왕조 |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진성여왕 김만 (887년~897년) |
효공왕 김요 (897년~912년) |
신덕왕 박경휘 (912년~917년) |
경명왕 박승영 (917년~924년) |
경애왕 박위응 (924년~927년) |
김씨 왕조 | ||||
제56대 | ||||
경순왕 김부 (927년~935년) |
이 문서는 금수저에 대해 다룹니다. 이 분은 1년에 은행이자로만 버는 돈이 1인당 PPP (PPP per capita)가 넘을 정도의 금수저를 가진 사람을 다룹니다. 그냥 이 분을 주인님으로 삼고 노예가 되어 열심히 후장이나 빠시기 바랍니다. |
이 문서는 성군(聖君)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세금 헌터 머똥령들이 본받아야 할 개념 군주에 대해 다룹니다. 우리 똥수저 백성들의 편이니 모두 폐하에게 경배합시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은 정치를 존나게 잘하거나 정잘알입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은 매우 휼륭하게 정치를 잘합니다. 너무 유능하기 때문에 죽을 때까지 정치할 수 있습니다. |
이 문서는 역사 속의 인물을 다룹니다. 여기서 말하는 대상은 역사 속의 네임드 급 인물들입니다. 이 틀은 고인이 된 대상에게 사용하십시오. |
신라 제49대 국왕
헌강대왕 | 憲康大王왕가 경주 김씨 시호 헌강대왕(憲康大王) 휘 정(晸) 부모 부왕 경문왕
모후 문의왕후형제자매 남동생 김황
여동생 김만왕후 의명부인 자녀 서자 김요
왕녀 의성왕후, 계아태후
개요[편집]
경문왕의 장남이자 49대 국왕.
정강왕의 형이자 진성여왕의 오빠로 신라 말 삼남매 계승의 첫번째 인물이다. 아들이 있긴 했는데 서출이어서 신라의 병신같은 골품제 때문에 왕좌에 못 올랐다. 물론 헌강왕의 워낙 일찍 뒤져서 그때 올라봤자 한국사상 최연소 군주 커리어를 찍은 허수아비왕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딸이 둘다 왕가[1]인 신덕왕과 경순왕과 결혼했다. 근친혼 ㄱㅆㅅㅌㅊ
중흥군주[편집]
다 망해가던 신라에 몇 안되는 개념 박힌 군주였다. 이놈도 진골 근친혼으로 태어난걸 고려하면 몇 안되는 ㅅㅌㅊ 군주였다.
삼국사기 헌강왕 본가에 따르면, 헌강왕 6년에 월상루에 올라가서 민가를 쳐다보며 "요즘 백성들은 기와로 지붕덮고 숯으로 밥한다던데 진짜냐?"라고 물어보자 시중 민공[2]이 "게이 즉위하고 나서 오랜만에 태평성대니 임금님 덕이노"라고 답하자, "아 니들 덕이지 내가 뭘 했니 ㅎ" 라고 허세를 부렸다는 기록이 있다.
“ |
어느날 왕은 월상루에 올라가 민가를 바라보면서 시중 민공에게 묻기를, "내가 듣건대 지금 민간에서는 짚이 아닌 기와로 지붕을 덮고, 나무가 아닌 (연기가 나지 않는) 숯으로 밥을 짓는다 하니 과연 그러한가?" |
” |
이 일화를 두고 사학자들은 "헌강왕이 정치를 존나 잘해서 중흥을 이끌었다"라는 의견과 "헌강왕이 정치를 잘한건 맞는데 무역으로 서라벌만 풍요로워진거 아니냐"라는 의견이 있다. 후자가 더 신빙성 있는 의견인게, 헌강왕 죽고 3년만에 "지방에서 세금이 올라오지 않아 조정이 곤궁해졌다"고 삼국사기 진성왕 본기에 기록되어있다.
사망, 그리고 계승[편집]
22살, 혹은 26살에 죽었다. 물론 10대에 즉위해서 제위기간은 10년은 넘는다.
상술했듯이 유일한 아들은 김요는 서출이어서 남동생인 김황이 제위를 계승했는데, 그가 바로 정강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