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병음

조무위키

imported>Nikuhen님의 2022년 4월 13일 (수) 13:22 판 (→‎규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 문서는 확고히 검증된 진실일 수도 있고 교묘하게 거짓을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얼핏 봐서는 진실인지 거짓인지 구별하기 힘들 정도의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를 읽을 때는 안심하셔도 되니 마음껏 편안하게 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만약 이 내용에 낚여서 피해를 볼 경우 원 작성자를 굴다리로 불러내서 존내 패버릴 것을 추천합니다.
"이 새끼가 어디서 약을 팔아??? 응?? 사실인가??? 시발 모르겠다."
주의. 이 문서는 누군가의 최고존엄을 다룹니다.
드립치는 건 좋지만 추종자 새끼들에게 살해당하는 건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ㄴ 이 틀의 오른쪽에 있는 마오쩌둥이 한어병음을 만들었다.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 병음
나라별 사용
대만
홍콩
마카오
중국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병음(拼音, Pīnyīn), 또는 한어 병음(汉语拼音, Hànyǔ Pīnyīn)은 중국어발음을 표기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라틴 문자(로마자)로 나타낸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처럼,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예전에는 지금의 베트남어처럼 한어 병음으로 중국어를 완전히 표기하여 한자를 대체하려고도 했으나, 결국에는 이에 실패했다. 지금은 후리가나를 사용하듯이 한자의 발음을 나타내는 데에 쓴다. 다만 중화민국에서는 주음부호를 사용한다.

배우는 것 자체는 엄청나게 쉽다. 근데 대륙 놈들이 쓰는 표준 중국어의 한자가 미개해서 그렇지. 개인적으로는 중국의 한어 병음으로 발음을 표기하되, 중화민국에서 쓰는 정체자를 쓰는 게 더 좋은 거 같다. 어차피 대륙 놈들이나 중화민국이나 언어 본질 자체가 칭총창총인 게 좀 거슬린다.

중국에서 간판 같은 것 보면 대부분 한자로 적혀 있다. 중국인들은 한어 병음을 그리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문맹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래도 중국어 사전(원어민용, 비원어민용 모두) 등에 발음을 표기할 때 대부분 한어 병음을 사용하고, 중국인들이 중국어를 입력할 때도 대부분 한어 병음 입력법을 사용하므로 보조 문자 체계로는 잘 쓰이고 있다.

짱깨들은 한어 병음에 강박장애라도 있는지 온라인 게임에서 닉네임으로 한어 병음을 달고 온다. 이런 새끼들은 100% 짱깨라고 보면 된다. 피하자.

입력기[편집]

설명할 필요 없이 그냥 QWERTY 키보드랑 똑같다. 참고로 ü는 v를 누르면 된다. 중국어를 가르칠 때 이걸 안 가르쳐 줘서 중국어를 입력할 때 헤매는 사람들이 있다.

성조는 따로 입력하지 않는다. 성조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소프트웨어에서 제안해 주는 후보들 중 쓰려고 하는 후보를 골라 주면 땡이다.

읽는 방법[편집]

모음은 라틴어식으로(ɑ = 아, e = 에, i = 이, o = 오, u = 우, ü = 위), 자음은 영어식으로 읽으면 된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이 읽는다.

  • Qinɡdɑo 킹다오
  • Xi'ɑn 지안
  • Chenɡdu 쳉두
  • Tiɑnjin 티안진
  • Sichuɑn 시추안
  • Shenyɑnɡ 셴양
  • Tɑiyuɑn 타이유안

성조는 성조 부호의 모양을 따라서 발음하면 된다.

  • ā 아→
  • á 아↗
  • ǎ 아↘↗
  • à 아↘

그리고 A의 소문자는 처럼 쓰면 안 되고 반드시 ɑ처럼 그리스 문자 알파 모양으로 써야 하고 G의 소문자는 처럼 쓰면 안 되고 반드시 ɡ처럼 써야 한다는 법칙이 있다. 이 문서에서도 최대한 이 법칙을 지키고 있다.

바로 위 단락의 진실[편집]

사실 위에 적힌 읽는 방법은 대부분 틀렸다. 일단 q는 ㅋ이 아닌 ㅊ으로 읽고, x는 절대 [ks]나 [z] 발음으로 읽지 않고 그냥 '시'의 ㅅ처럼 읽는다. 또한 e는 단독으로 쓰이면 '에'가 아닌 '으어'처럼 읽고, yu는 '유'보다는 '위'에 가깝다.

그리고 한어 병음의 글자 모양에 관한 규정은 실제로 존재한 적이 없다. 다만 일부 중국인들이 저런 규정이 존재한다고 '믿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심지어 한국의 일부 중문과 교수들도 저런 규정이 있다고 믿고 있는 모양이다(어떤 사람은 자기는 중문과에서 저런 규정을 배웠다고 하더라). 다만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보니까 그냥 , 라고도 쓰기도 한다(물론 잘 쓰는 편은 아니긴 하다).

문자 목록[편집]

한어 병음은 기본적으로 50글자(대문자와 소문자를 다른 글자로 본다면 100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 대문자: A Ā Á Ǎ À B C D E Ē É Ě È F G H I Ī Í Ǐ Ì J K L M N O Ō Ó Ǒ Ò P Q R S T U Ū Ú Ǔ Ù Ü Ǖ Ǘ Ǚ Ǜ W X Y Z
  • 소문자: a ā á ǎ à b c d e ē é ě è f g h i ī í ǐ ì j k l m n o ō ó ǒ ò p q r s t u ū ú ǔ ù ü ǖ ǘ ǚ ǜ w x y z

여기에 감탄사 표기에 간혹 쓰이는 다음 글자들까지 더하면 총 글자 수는 63글자(대문자와 소문자를 다른 글자로 본다면 126글자)가 된다.

  • 대문자: Ê Ê̄ Ế Ê̌ Ề M̄ Ḿ M̌ M̀ N̄ Ń Ň Ǹ
  • 소문자: ê ê̄ ế ê̌ ề m̄ ḿ m̌ m̀ n̄ ń ň ǹ

그래도 베트남어 알파벳(89글자, 대문자와 소문자를 다른 글자로 본다면 178글자)보다는 사용하는 글자 수가 적다.

3성 부호는 뾰족한 것(ˇ, ǎěǐǒǔǚ ǍĚǏǑǓǙ)이고, 둥그런 것(˘, ăĕĭŏŭ ĂĔĬŎŬ)이 아니다. 둥그런 걸로 잘못 입력해 놔서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a와 g도 쓸데없이 국제 음성 기호(IPA)용 ɑ와 ɡ로 바꿔 놔서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둘이 같거나 비슷하게 보이는데 코드 값이 다르다. 일반 a는 U+0061, 일반 g는 U+0067, IPA용 ɑ는 U+0251, IPA용 ɡ는 U+0261).

참고로 위의 기본 글자 50자 중에서 ǖ(그리고 그 대문자인 Ǖ)는 실제 용례를 찾기 굉장히 어렵다. 그 이유는 중국어 문서의 어딘가에 적혀 있다.

기타[편집]

성모 없이 i나 u나 ü로 시작하는 음절은 철자를 y나 w로 시작하게 바꾸는 규칙이 있는데(예: iang → yang, uo → wo, ün → yun), 이건 네가 병음으로 여러 음절을 쭉 이어서 써 보면(특히 성조 부호 없이) 왜 저렇게 만들어 놨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의외로 많은 중국어 교사들이 이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는다(또는 설명하지 못한다).

그 외의 모음(a, e, o)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다른 음절 바로 뒤에 오면 아포스트로피(')를 쓴다(예: fang'an (方案), qi'e (企鹅), Jian'ou (建瓯)).

Chinese Pinyin이라는 글꼴은 일부 중국어 교사들이 쓰레기 병음 텍스트를 양산하게 하는 주범이다.

규칙[편집]

  • e는 에가 아닌 '어'(정확히는 으어에 가깝다.) 라고 읽는다.
  • ü의 발음을 '위'로 설명한다고 'wi'로 읽을 수도 있는데, wi가 아닌 ui라고 읽는 것이 맞다.
  • ü는 y, j, q, x 뒤에 올 경우 u로 바꿔 쓴다. (예: yü > yu, jü > ju, qü > qu, xü > xu)
  • ü가 n, l 뒤에 올 경우 그대로 nü, lü로 적는다.
  • i가 zh, ch, sh, r, z, c, s 뒤에 올 경우 이가 아닌 으로 읽는다.
  • 한어병음에서 에 소리를 내는 알파벳은 'ê'다. 그러나 잘 쓰이진 않는다.
  • zh는 프랑스어의 j처럼 읽지 않으며, z는 영어의 z처럼 읽지 않고 'dz'처럼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