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망디의 한국인
조무위키
이 문서는 귀찮아서 덜 썼거나 귀차니즘과 관련된 것에 대해 다루... 으으... 기차나.. |
이 문서는 나무식 윾 분류 : 나무위키 쿰척쿰척 l 노잼 l 오타쿠 l 쓸데없이 큰 틀이 있는 문서 l 논란중인 문서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 문서는 [1] 점괄호(...)가 쳐져 있지만 실제로는 틀에 점괄호를 넣으면 망했어요. |
ㄴ 쓴새끼가 귀찮아서 나무위키에서 다 퍼옴
주의! 이 글이 다루는 대상은 존나 미스터리합니다. 씨ㅡ발 뭐가 뭔지 몰?루겟소요. 무섭습니다. ㅠㅠ |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이 존나 불쌍합니다...ㅠㅠ 광광 우럭따 8ㅅ8 |
개요[편집]
노르망디의 한국인은 일제 강점기에일본군에 징집되었다가 소련군에 포로로 잡힌 후,다시 소련군에 소속됐다가 독일군의 포로가 되어 나치독일군 병사가 되었다가 미군에게 포로가 된 것으로 알려져있는 사람으로 양경종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그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어 왔으며,2005년에 제작·방송된 SBS스페셜 <노르망디의 코리안> 에서 실존여부를 확인하기위해 나섰지만 실존여부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양경종의 실존 여부 논란[편집]
양경종 소문을 토대로 2005년에 제작 ·방송된 SBS스페셜 <노르망디의 코리안> 에서는 할힌골 전투당시 조선인 포로 기록,독소전쟁에 참전한 고려인 기록,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 독일군 동방부대 관련 기록을 아무리 수소문해도 그런 사람의 흔적을 확인할수 없었는 데다가 소련 군대로 복무하다가 부획되고서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 독일군 동방부대에 편입된 병사들은 소련 측이 중대한 반역자로 규정했으므로,미합중국·영국·소련 간 비밀협약에 의해 전후 소련으로 강제로 절처히 송환돼 강제수용소에서 비참하게 생활했다. SBS 제작진은 알지 못하는,'노르망디의 코리안'이 미합중국으로 건너갔다는 소문과 그 사람이 '양경종'이란 이름으로 노스웨스턴 대학 주변에서 은거하다 죽었다는 소문은 허구라고 표명했다.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편집]
양경종설 진위와 무관하게 '노르망디의 코리안'이라는 주제의 매력은 다양한 픽션(fiction)의 동기가 됐다.
소설
■ 장웅진(2005). 《노르망디의 조선인》 .피와눈물.
■ 이재익(2011). 《아버지의 길》. .황소북스.
■ 김병인(2011). 《디데이》 .열람원.
영화
■ 《마이웨이》 (2011).강제규 감독,장동건,오다기리 조 주연.
연극
■ 《D-day》(2009).장태준 작/연출(2009 11.7~11.12 공연).제작:극단 SRT.장소:상명 아트홀2관
■ 《6월26일》(2014). 《D-day》(2009)에서 제목 변경돼 공연.장태준 작/연출(2014 6.17~6.29 공연).제작:창작집단 쵸크 24,소울씨어터.장소:두드림 소극장
행로는?[편집]
이들이 누구이며,또한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는데 이들의 최후에 대해 앰브로스 등은 "아마 한국으로 돌아가서 한국전쟁을 치렀을 것이다"라고 하고 있으며 어떤 사람들은 다시 소련으로 끌려가 처형당했다고 주장한다. 소설가 조정래의 소설 <오 하느님>이 이 주장을 따른다.굴라그의 신화중 하나인데 공산권 붕괴후 공개된 소련 문서에 따르면 이런 대량처형은 일종의 신화였고 대부분 노동력을 위해 굴라그로 이송되었다.그중 협력사실이 경미한 전직 포로들은 다시 군에 들어가는것이 허가되었고 대부분 노동부대나 굴라그 경비병으로 차출되었다.처형된 비율은 의외로 적고 실제 전범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맞는 비율이다.또 어떤 이들은 그들이 미국에 남아 여생을 지냈다고 추측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다싶이 허구라고 표명했다.북토피아에서 전자책으로 출간된 장웅진의 <노르망디의 조선인>이라는 소설이 이 주장을 따른다.
그 어느 것도 제대로 알 수가 없다.
일단은 실제로 이런 사람들이 5~10명정도 있었던 것으로 추청된다. [이페이지]를 보면 조선인 출신으로 추정되는 4명의 사진이있다. 그 밖에도 투르크계 병사들의 사진도 보인다, 사실 연합군은 소련군 전향 포로와 러시아 혁명 이전부터 망명한 코사크계,백계 러시아인들을 소련에 다시 넘긴 사례도 있었다.특히 동방대대 포로들의 경우에는 동유럽에서 소련군 전향 포로에 대해서 2가지 사례가 모두 공존한다고 보면 된다.
어찌보면 역사의 거대한 물결에서 기구한 삶을 산 사람들이라 할 수 있겠다.비슷한 사례로 일본군에서중국군(팔로군),북한군을 거쳐 다시 한국군에 복무한 할아버지도 있다. 그리고 이것도 굽시니스트가 월드 오브 탱크에 낸 웹툰에서 묘사되었다.
결론[편집]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노르망디에서 연합군 포로가 된 아시아인은 있었다.그러나 이 사진의 사람이 양경종이라는 사람이라는 증거는 없다. 라고 간략하게 결론지을수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