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카복실산

조무위키

이 문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일반적인 뇌를 가지고도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에 대해 다룹니다. 두뇌를 풀가동해도 아마 이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 문서는 과학지식이나 공돌이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는 여러 사례와 분석에 의해 과학적 지식으로 입증된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항목과 관련된 종자는 매드 사이언티스트임이 틀림없습니다.
카복실산은(는) 과학입니다.
유기화합물-카복실산
포화지방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4, 26, 28, 30, 31, 32, 33, 34, 35, 36
불포화지방산 누군가가 추가바람.
아미노산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라이신, 류신, 아이소류신, 메싸이오닌, 발린, 세린, 트레오닌, 셀레노메싸이오닌, 시스테인, 셀레노시스테인, 알라닌, 페닐알라닌, 아스파트산, 아스파라진, 트립토판, 아르지닌, 히스티딘, 피롤라이신, 프롤린, GABA, 시트룰린, 오르니틴, 타우린.
유기산 구연산, 옥살산, 폼산, 아세트산, 말산, 나이아신, 옥살로아세트산, 살리실산, 젖산, 피루브산, 글루타르산, 말론산, 석신산, 요산, 주석산, 탄산, 비타민 C, 비타민 B5


유기화합물의 종류[편집]

Carboxylic Acid. 일반식 RCOOH. 액성은 대부분 산성이다. 이쪽 계열의 화합물은 죄다 '-산(酸)'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 실제 액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들도 있긴 하지만.

다른 탄화수소와는 달리 크고 아름다운 규모의 화합물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아세트산, 아미노산, 지방산.

주로 알코올의 산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며, 생명 활동의 핵이기도 하다.


주의. 이 문서는 심각하게 노잼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노잼 드립이 있는 문서입니다. 그리고 정보도 안 주는 쓰레기통 행이 어울리는 문서입니다.

자동차로 만든 산이라 카더라.

지방산[편집]

포화지방산[편집]

이중결합이 없는 사슬 형태의 지방산. 알코올에서 알코올기(-OH)를 카복실기(-C(=O)OH)로 치환한 꼴.

보통은 펜탄산(C5) 이하는 short-chain fatty acid로 분류하는데, 헥산산(C6)부터 글리세롤과 지방 결합을 하기 때문. 또한 short-chain fatty acid은 증발될 수가 있어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불포화지방산[편집]

오메가 명명법(Omega Nomenclature)에 의해 카복실기의 반대쪽 끝에서 세어 몇 번째에 이중결합이 있는지에 따라 오메가-3, 오메가-6, 오메가-7, 오메가-9, 그 외로 나눌 수 있다 .

오메가-3[편집]

그 그 어디에 많이 들어있더라..??


아미노산[편집]

카르복시기(-COOH)와 아민기(-NHn)가 붙어있는 꼴.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카르복시 기와 아민 기가 만나서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며 이것이 바로 단백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