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

조무위키

(제1대 대통령 선거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흰색 배경은 직접 선거. 연회색 배경은 국회의원 선출 간접 선거, 회색 배경은 선거인단 선출 간접 선거, 검은색 배경은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이다.
3.15는 부정선거로 선거 결과가 인정되지 않아 취소선 처리하였다.
제1공화국 1대
1948년
2대
1952년
3대
1956년
3.15
1960년
제2공화국 4대
1960년
제3공화국 5대
1963년
6대
1967년
7대
1971년
제4공화국 8대
1972년
9대
1978년
10대
1979년
11대
1980년
제5공화국 12대
1981년
제6공화국 13대
1987년
14대
1992년
15대
1997년
16대
2002년
17대
2007년
18대
2012년
19대
2017년
20대
2022년
21대
2027년

1948년 7월 20일, 대한민국에서 처음 치러진 대통령 선거.

유력 후보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독촉)의 이승만, 한국독립당(한독당)의 김구, 그리고 무소속에서 안재홍, 서재필 두 명이 나와서 총 4명이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이때는 간선제였기 때문에 국회의원들이 머통령을 뽑았다는 것.

김구가 단독정부의 수립을 거부하면서 무난하게 이승만이 당선되었다. 선거 진행할 때 국회의원 과반이 무소속이었는데, 본래 이 무소속 의원들이 김구를 찍으려고 합의했지만 선거 전날에 김구가 "나 뽑지 마 씨불것들아."라며 이승만으로 표가 넘어갔다고 한다.

부통령으로는 이회영 친동생 이시영이 당선되는데, 6.25 전쟁을 치르는 중에 이승만이 국민방위군 사건으로 5만 명을 골로 보내자 충격 먹고 때려치웠다.

서재필은 미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서재필에게 간 표는 무효로 처리되었다. 어차피 196표 중에서 1표 얻은 거라서 의미는 없지만.

4년 뒤 2대 대선이 다가오자 이 대선에서 당선된 이승만의 취임일을 언제로 봐야할지 논란이 생기기도 했는데, 언제 2대 대선을 치를지 쟁점으로 떠올랐다. 당선일 7월 20일, 취임식 7월 24일, 정부 수립된 8월 15일로 크게 의견이 나뉘었는데 하필 이때 발췌개헌 파동(부산 정치 파동)으로 개싸움까지 있었기에 도저히 7월에 대선을 치르지 못하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결국 8월 15일로 합의하면서 1952년 8월 5일에 2대 대선을 극적으로 진행했다.

부통령 선거[편집]

동시에 같이 진행되었다. 후보는 이시영, 김구, 조만식, 오세창, 장택상, 서상일 6명.

부통령에 당선되기 위해서는 재적 의원 200명 중에서 출석 의원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한다. 부통령 선거에는 197명이 출석하였고 197명의 3분의 2, 즉 132표 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했지만 1차 투표에서 132표 이상의 득표를 얻은 후보가 없어서 2차 투표 끝에 이시영이 당선되었다. 김구는 이시영에게 밀려서 결국 낙선했다.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

구분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유무
1차 투표 - 이승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80 92.31% 1 당선
- 김구 한국독립당 13 6.63% 2 낙선
- 안재홍 무소속 2 1.02% 3 낙선
- 서재필 무소속 1 4 미국 국적자로 무효표 처리


대한민국 제1대 부통령 선거

구분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유무
1차 투표 - 이시영 무소속 113 57.36% 1 2차 투표로 이동
- 김구 한국독립당 65 32.99% 2 2차 투표로 이동
- 조만식 무소속 10 5.08% 3 2차 투표로 이동
- 오세창 무소속 5 2.54% 4 2차 투표로 이동
- 장택상 무소속 3 1.52% 5 2차 투표로 이동
- 서상일 한국민주당 1 0.51% 6 2차 투표로 이동


구분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유무
2차 투표 - 이시영 무소속 133 67.86% 1 당선
- 김구 한국독립당 62 31.63% 2 낙선
- 이구수 국민당 1 0.51% 3 낙선
- 무효표 1 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