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단지사건
조무위키
당시 경기도 광주군(現 성남시의 구성남)에서 벌어진 사건.
오늘날의 성남을 만들어낸 사건이다.
배경[편집]
1960년대 서울은 일자리를 찾으려는 지방 사람들과 전쟁 당시 월남한 실향민들 때문에 인구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주택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주민 대부분은 시골 동네에서 올라왔기 때문에 주머니 사정이 안 좋았고 이에 따라 한국전쟁 때 확장된 빈민촌이 더욱 커지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빈민촌의 상당수는 무허가, 불법 토지 점유 상태라서 박정희 정부는 정리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판자촌 사람들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광주 대단지를 건설하게 된다.
사건[편집]
문제는 사람들을 이주시켜놓고는 아무런 기반 시설, 심지어 집도 없이 그냥 맨 땅에 갖다 놨다는 것이다. 생각해봐라 21세기에 짓는 혁신 도시, 세종시도 아파트만 달랑 짓고 기반 시설 없다고 욕먹는 판국인데 70년대엔 오죽했겠나.
1971년 7월 7일 땅값 고지서가 날라왔는데... 이주할 때 약속된 땅값보다 40배 많은 금액을 청구했다. 가뜩이나 서울시가 책임 없이 지어서 일자리, 수도, 전기 시설 같은 것이 부재하여 분노가 쌓였던 주민들이 이때부터 폭발해서 다발적인 시위를 했으며 입주자들은 1971년 7월 17일 대책 위원회를 출범했고, 7월 19일에는 유지 대회가 열려 33명의 대표들이 선출되었다. 이때 대책위원회는 정부에 대책을 요구했으며 정부는 서울시장과 면담을 알선했다.
그리고 8월 3일 세금 고지서가 집집마다 날아들며 주민들의 분노를 폭발시켰다. 8월 10일 오전 10시에 서울 시장이 면담하는 날에는 6만 명이 넘는 인파가 성남출장소 앞에 집결하여 세금 감면, 공업·상업지대 설치, 구호 산업 등을 요구했으며 이때 서울 시장과의 면담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면담 예정일이었던 8월 10일, 서울 시장이 약속되어 있던 면담 시간보다 30분 정도 늦는 바람에 분노가 폭발한 군중들은 봉기하여 주변 지역을 초토화시키기 시작했다.[1]
정부는 전투 순경 700명을 급하게 배치했지만 700명의 순경들이 분노할 대로 분노한 6만 명의 주민들을 이겨낼 수 없었고, 군중들은 경찰서, 관청 등 정부 건물에 불을 지르고 시내버스를 탈취해서 서울로 갔다. 이 사건을 들은 정부는 내무부 장관과 경기도지사를 현장으로 파견해 시위대의 요구를 모두 들어준다고 약속했고, 8월 12일에는 서울 시장이 TV, 라디오를 통해 사과와 주민들의 요구를 대폭 들어준다는 약속과 함께 서울시 광주 출장소를 성남시로 승격해주다는 약속과 함께 이 사건이 끝이 났다.
이후[편집]
서울시는 구 성남이 무슨 요구를 해도 거의 들어주고 있다. 서울시 + 정부 세금으로. 그래서 서울 지하철 8호선이 구성남 지역으로 다니고 있다.
그리고 정부의 신도시 정책 또한 아파트 위주로 바뀌게 된다.
성남의 도로 상태가 안 좋은 이유다. 산기슭에 지형을 생각 안 하고 도로를 뚫어서 그렇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원미동 사람들이 시대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훗날 외룡을 중심으로 한 경기동부연합[2]이 이 사건을 기점으로 생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