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추노마크

조무위키

틀:죽여줘

이걸 만든 새끼는 진짜 병신 새끼입니다!
겠습니다.
이 새끼들은 자기가 만든 것으로부터 직접 고통 받게 해야 합니다!
하지 마!
하지 말라면 제발 좀 하지 마
하지 말라는데 꼭 더 하는 놈들이 있어요 ㅉㅉ
우리 모두의 죽창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나 행동, 사상에 대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우리들이 반드시 죽창을 들어 찔러야 하는 특정 대상, 해결책은 오로지 죽창뿐인 인물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죽창 앞에선 너도 한 방 나도 한 방 죽창... 주욱창을 가져와라...
주의! 정말 극혐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정신적 또는 시각적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받지 않으려면 살포시 뒤로가기를 눌러 주십시오.
이를 무시하고 문서를 보아서 피해를 입더라도 조무위키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정말 이 없습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은 그 어떤 실드나 개선, 구제도 불가능한, 쉽게 말해서 노답입니다.
만약 어디선가 이런 비슷한 것을 보신다면 조용히 피해 가시길 권합니다.
이를 무시하다 정신병이나 트라우마가 생기더라도 조무위키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개요[편집]

아이폰을 제외한 대부분의 휴대폰에 최소 하나씩은 박혀 있는 통신사의 로고이다.

추노마크의 예[편집]

한국[편집]

이쪽은 하드웨어는 기본이고 상단바, 멀티태스킹 창, 부팅화면에 박는다.

단, 갤럭시 S7과 G5 이후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소프트웨어에만 박으며, 보급형은 자급제로 출시된 폰 빼고는 여전히 배터리커버에다가 박는다.

물론 아이폰은 전 세계 공통으로 박지 않는다.

SKT[편집]

  • 다른 통신사와 달리 팬텍 베가 시리즈 기기 전면에 T 로고가 박혀 있고, 젤리빈까지는 안테나 표시에도 박아놓았다.
  • 배터리 커버에는 2015년 이후부터 band LTE라고 박혀 있다. 이는 갤럭시 노트4 S-LTE 일부 물량도 해당.(갤럭시 폴더 3G는 T 로고 그대로 쓰는 중, 아임백 제외)
  • 부팅 화면은 band LTE라고 뜬다. 3G 기기는 갤럭시 S3 3G에 썼던 부팅화면을 계속 우려내고 있다. 이는 피쳐폰에도 해당.

KT[편집]

  • 개병신같은 QOOK & SHOW 로고를 쓰다가 2013년까지는 가장 간결한 O 로고만 박았으며, 요즘은 kt 로고만 박고 있다.
  • 부팅화면은 kt 밑에 자잘한 글씨가 뜬다.
  • 2015년 쯤 멀티태스킹에 붙은 올레네비가 좆망하면서 멀티태스킹에 통신사 앱 붙이는 짓거리를 때려치웠다.

LG U+[편집]

  • 갤럭시 S6에서는 4배 더 빠르게 병신같아지겠다는 뜻이 담긴 U+ Lte 8 X4를 뒤에다가 박았다.
  • 갤럭시 노트5부터는 애미가 뒤진 헬지라는 뜻이 담긴 U+ LTE ME를 쳐박고 있다가 지금은 병신같은 면상 로고에 LG U+를 박고 있다.
  • 언제부턴가 샘숭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에서도 병신같은 헬지 면상 로고를 부팅화면에서 봐야 한다.
  • 멀티태스킹 창에 통신사 앱이 떡칠되어 있다. 다만 G4는 마시멜로를 먹일 시 U+ Box를 비활성화시키면 사라진다.

일본[편집]

☢경고! 이 문서는 후쿠시마 방사능에 오염되었스무니다.☢

일본의 통신사인 NTT도코모의 추노마크가 삼성로고 대신 박힌 갤럭시 S4
일본의 통신사인 NTT도코모의 추노마크가 삼성로고 대신 박힌 갤럭시 S4 아크틱 블루. 참고로 아크틱 블루가 갤럭시 S4에 원래부터 있었던 색상이다. 헬조선에서는 갤럭시 S4 LTE-A 전용색상으로 출시했다. 글로벌판과 갤포아 사용자는 웃는다.

도코모에서 만든 갤럭시 S 배터리인 것처럼 보이지만 일본에서 팔리는 삼성 정품 배터리 맞다. 일본 모델명은 SC02B.
일본판 삼성 갤럭시 S 배터리. 일본에서의 갤럭시 S 모델명은 SC02B.

일본은 제조사 로고 따위는 뒤로 꺼지라 하고 그 자리에 통신사로고를 박아놓고 있으며, 배터리에도 제조사 로고 따위는 개나 줘버리고 통신사 이름을 쳐넣고 있다.

애초에 일본은 통신사의 슈퍼 갑 위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반도체 1위 기업인 삼성조차도 폰 조립해주는 기업으로 바꿔버린다.

LG U+도 캔유는 일본 감성 운운하면서 기획, 디자인, 완성까지 지들이 다 하며, 팬택은 조립만 해준다. 한국판 지즈원(짱깨에서 생산했지만 LG U+로 출시된 카시오 폰이고 지즈원 헬조선판이었던 502S의 후속이므로 사실상 캔유 스마트폰이다.)은 제조사 로고 뒤로 보내고 앞면에다가 U+ Lte를 박아놓았다. 역시 내선일체.

더욱 심각한 건 휴대폰 모델명을 지들이 정해놓은 규칙대로 바꿔버리고 앉아있고, AS도 통신사에서 다 처리한다. 다만 삼성은 AS도 직접 처리하고 통신사 모델명과 제조사 모델명을 같이 표기하지만, 제조사 모델명 따위는 쓸모가 없다.

심지어 도코모는 홈 화면조차도 지들이 만든 병신같은 최적화를 자랑하는 도코모 전용 UI를 넣고 램도 더 쳐먹게 한다.

다만 갤럭시 S6 이후의 삼성 휴대폰은 앞면은 깨끗하고, 뒷면은 Galaxy만 박혀 있다.

ㄴ 도코모판은 뒤에 통신사 로고와 Galaxy, 지들만의 nfc 로고(다른 나라에서는 N 그려진 거 쓰는데 일본만의 딴 거 씀)와 qi 로고 박혀있고 앞에는 갤7 헬조선, 짱깨판마냥 홈버튼만 있다.

또한 역시나 아이폰에는 적용되지않아 현재는 갤럭시 도코모판에나 이런걸 볼수있다.

미국[편집]

사실 추노마크의 원조는 미국이다. 상단바 추노마크는 AT & T가 원조이며, 홈 버튼 추노는 버라이즌이 원조이다.

버라이즌(홈버튼)[편집]

빻! 빻! 빻! 빻!!!

이 문서는 외모나 인성이, 혹은 둘다 씹창난 개좆같이 빻은 대상을 다룹니다. 물론 모두 당신을 닮았으니 크게 실망하진 마십시오.
판사님 마늘 빻는 소리입니다.


버라이즌판 갤럭시 노트2. 홈 버튼의 추노마크 때문에 스티커가 잘 팔렸다고 한다.

버라이즌은 홈버튼에 통신사 로고를 박았다.

위 사진과 같이 통신사 로고가 박힌 노트2가 얼마나 병신같은지 비교해보고 싶다면 너가 쓰고 있거나 공기계로 가지고 있는 노트2를 비교해봐라.

이 병신짓을 헬조선이 따라했다.

AT & T(상단바)[편집]

AT & T는 진저 시절부터 상단바에다가 지들 로고를 박았고, 진저 시절까지는 물리 키를 구글 표준 주장하면서 무조건 메뉴 - 홈 - 뒤로 - 검색으로 통일시켰다. 헬조선에서도 미국 것이 우월하다는 사상 못 버리는지 상단바에 추노마크를 박고 있다.

이 사진은 한국에서는 홈 버튼이 있었던 갤럭시 노트가 천조국으로 건너오면서 버튼이 늘어나고 터치식으로 바뀐 모습이다.

게다가 한국에서도 레퍼런스 폰에 추노마크를 안 박지만, 천조국에서는 추노마크를 넣었다.

중국[편집]

사실 3G, 4G 구분하는 로고를 박는 짓은 짱깨가 먼저 했다. 역시 중국 문물이 좋다는 마인드 아니랄까 봐 헬조선에서도 적극적으로 따라하고 있다.

없는 경우[편집]

  • 아이폰
  • 아이패드
  • LG U+로 출시되는 화웨이폰(X3, Y6 제외)
  • 자급제폰
  • 모든 제조사의 글로벌 표준 모델
  • 넥서스(일본 도코모판 갤럭시 넥서스, 미국 버라이즌과 스프린트판 갤럭시 넥서스, 미국 버라이즌과 AT & T판 넥서스 6 제외)
  • 구글 픽셀
  • 갤럭시 S7 이후의 삼성 플래그십 폰(하드웨어만 없음, 미국 제외)
  • Good Lock이 설치된 마시멜로 버전의 안드로이드가 깔린 모든 삼성 스마트폰(부팅화면과 하드웨어 추노마크 제외. 애초에 Good Lock은 시스템 UI 자체를 갈아엎기 때문에 상단바가 레퍼런스처럼 바뀌고, 잠금화면과 멀티태스킹 창도 바뀐다.)
  • 커롬질을 한 폰(통신사 영향이 없는 제조사 순정 기반이나 AOSP 기반으로 개발된 커롬 한정, 일부 폰은 하드웨어 제외.)
  • 다른 통신사 유심을 꽂은 폰(상단바 추노마크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