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임계 마하수

조무위키

주의. 이 문서는 공머생들이 좋아하는 주제 혹은 공머생 그 자체에 대해 다룹니다.
본 문서가 다루는 내용에 지나치게 탐닉할 경우 필연적으로 여성들과 멀어지게 됩니다.
이는 조무위키가 책임지지 않습니다.

비행체의 속도보다 날개의 공기 흐름 속도가 먼저 마하1이 도달하였을 경우 이 점을 임계 마하수라 한다.

만약 임계 마하수를 넘어가게 되면 이때 부터 충격파가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앞전 부근에서 수직충격파가 생긴다.

수직 충격파가 생기고 충격파의 뒤를 보면 흐름의 속도는 떨어지고 압력과 밀도는 증가함으로 박리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박리가 계속되면 충격파로 인한 실속 즉 "충격실속"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비행기의 날개를 설계할 때 임계 마하수를 크게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