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조노 카오리
조무위키
국내 개봉일 기준 한달 이내에 영화 문서에 스포일러틀 없이 스포일러를 작성하는 이용자는 반달로 규정해 무기한 차단됩니다. 또한, 한달 이후에도 틀 없이 스포일러를 지속적으로 작성하는 이용자 역시 반달로 규정해 차단됩니다.
틀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스크롤을 내리셨습니까?
이 문서는 고인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의 대상은 세상을 떠났습니다. |
이 문서는 너를 울게 만듭니다. 이 문서는 너를 울릴 수 있는 감성팔이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서를 읽기 전에 눈물부터 쏟으시길 바랍니다. 아 잠깐 눈물 좀 닦고 ㅠㅠ 이 문서를 보고 광광 우럮따 8ㅅ8 |
파일:테레사.JPG | 이 문서는 성녀(聖女)를 다룹니다. 이 문서는 고귀하고 이상적인 여자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성녀를 향해 욕설이나 비방이나 저질스러운 단어를 쓰지 맙시다. |
이 문서는 교묘하게 거짓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얼핏 봐서는 진실인지 거짓인지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정교한 거짓말로 가득 차 있습니다. 만약 이곳에 언급된 정보를 맹신하여 현실에서 온갖 손해를 보더라도 조무위키에서는 일절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새끼가 어디서 약을 팔아?" |
주의! 이 새끼는 구라를 존나 잘 깝니다. 이 문서는 구라를 아무 거리낌 없이 밥먹듯이 까는 병신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 새끼들을 보게 된다면 즉시 아갈창을 위아래로 분리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
설명[편집]
4월은 너의 거짓말의 여주인공
성우는 타네다 리사가 맡았다. 헬조선 성우는 이용신이 맡음.
어린시절 남주(아리마 코우세이)의 피아노공연을 보고 감명받아 같이 연주하고 싶다며 바이올린니스트로 전직했다
하지만 불치병에 걸려 시한부인생을 선고받고 자신의 남은 인생은 후회없이 보내자고 생각.
자신의 동경의 대상이자 좋아하는 아리마에게 접근한다
아리마의 친구인 와타리를 좋아한다는 거짓말로... (이 애니제목이 4월은 '너의 거짓말'인 이유이다)
병원 앞 정류장에서 정차하거나 4화 콩쿠르를 마치고 갑자기 쓰러지거나
2쿨들어서부터는 혈색과 머리색이 하얘지는등 사망플레그가 등장하고
결국 마지막회에서 수술중 사망하게된다
사망후 카오리가 남긴 편지를 통해 카오리가 좋아한 사람이 아리마 자신이란 사실을 알게된다
엔딩장면보고 광광우럿따 8ㅅ8 특히 벚꽃필무렵에보면 후유증이 2배!! ㄴ그냥 정주행 다시해도 후유증 2배 씹감동2배다 씨발ㅠㅠㅠ 마지막화에 아리마 머리속에서 같이 합주하다가 사라지는 모습 존나 슬프다. 연출 ㅆㅅㅌㅊ. 존나 커엽다
아리마 코세이에게 쓴 편지 혹은 유언[편집]
이 문서는 너를 울게 만듭니다. 이 문서는 너를 울릴 수 있는 감성팔이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서를 읽기 전에 눈물부터 쏟으시길 바랍니다. 아 잠깐 눈물 좀 닦고 ㅠㅠ 이 문서를 보고 광광 우럮따 8ㅅ8 |
이 문서는 너를 울게 만듭니다. 이 문서는 너를 울릴 수 있는 감성팔이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서를 읽기 전에 눈물부터 쏟으시길 바랍니다. 아 잠깐 눈물 좀 닦고 ㅠㅠ 이 문서를 보고 광광 우럮따 8ㅅ8 |
“ |
아리마 코세이님 _ '미야조노 카오리' "아리마 코우세이 귀하 아까까지 같이 있던 사람에게 편지를 쓰자니 기분이 이상하네요. 당신은 정말 너무해요. 당신을 처음으로 본 건 5살 때 같은 중학교란 사실을 알고 기뻐서 날아갈 것 같았습니다. 어릴 때 수술을 한 후 정기적으로 병원을 다니고 있었지만 어느 날 밤 병원의 대기실에서 부모님이 울고 계신 것을 보고 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그때였죠. 천국에 가서까지 후회하고 싶지 않아서 하고 싶은대로 하기 시작했습니다. 미야조노 카오리가 와타리 료타군을 좋아한다는, 거짓말을 했습니다. 그 거짓말은 제 앞에 아리마 코세이군을 데려와 줬습니다! 와타리군 에게 미안하다고 전해줘. 제 비겁한 거짓말이 데려온 당신은 상상했던 것과는 달랐습니다. 다리에서 뛰어내린 강은 차갑고 기분 좋았지? 잊을 수 없는 풍경이 이렇게 사소한 것들이라니 이상하지? 리셋 같은건 싫어. 아리마 코세이 군. 당신을 좋아합니다. 카눌레, 다 못먹어서 미안해. 고마워. -PS. 제 보물을 편지와 같이 보냅니다. 필요 없으면 찢어 버려주세요.
|
” |
— 미야조노 카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