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R9 380X

조무위키

이 문서는 고인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의 대상은 세상을 떠났습니다.
파일:T92.gif 🔥 실례합니다만, 지금 불타고 계십니다. 🔥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 또는 이 문서의 작성자는 괜히 혼자 불타고 있습니다.
주의!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망했습니다.
이 문서와 상관있는 분들은 벌써 망했거나 곧 망합니다.
벌써 망해서 더럽게 재미없거나 매우 혐오스러운 내용을 담습니다.
이 문서와 관련되어 인생 망치기 싫으면 뒤로가기를 눌러 주세요!

AMD에서 2015년 11월 말경 출시한 그래픽카드 이다

스펙[편집]

코드명(GCN버전) SP(CU) 코어클럭 메모리 버스 메모리 클럭(대역폭) VRAM TMU/ROPs TDP MSRP
Antigua XT(GCN 1.2) 2048(32) 980MHz 256Bit GDDR5 5700MHz(182GB/s) 4GB 128/32 190W $229(한화 20만원 후반~30만원 초반)

발매 전 설레발[편집]

R9 285나 R9 380에 쓰인 Tonga의 풀칩으로 라데온 300시리즈 중 유일하게 전작의 사골이 아닌 제품이라 암등이새끼들의 기대가 특히 높았다. 그래서 그런지 비이성적인 성능추측이 난무했는데 GTX780을 때려잡고 구칠따리에 근접하니마니 하는 놈들도 있었음. 뭐 그래도 설레발의 통수를 거하게 쳐맞고 이성적인 판단을 할 줄 아는 암등이새끼들도 꽤 늘어나서 저런 극단적인 팬보이 이외에는 R9 280X의 성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아져서 출시전에 그렇게 시끄럽진 않았던걸로 기억함.

특징[편집]

성능은 전작 R9 280X와 엎뒤치락하는 수준이고 엔비디아 GTX770과 별차이없는 성능으로 밝혀지면서 GTX780급이니 구칠따리를 위협하니 설레발쳤던 새끼들은 이불킥을 하게되었다. 그런데 이게 동생인 R9 380과 비교해서도 성능차이가 크지 않아서(약 7%정도 좋은 수준)위치가 상당히 애매한 편이다. 전성비는 전작대비 약간의 개선이 가해져 R9 280X대비 약 20W적은 전력소모를 보이고 있다. 물론 동급의 엔비디아와 비교해서는 전성비가 쓰레기 수준임에는 틀림없지만 최악은 면한 정도가 되곘다. 가격은 $229로 예상보다 낮게 나와서 많은 사람들이 환호했지만.....

발매후 반응[편집]

메모리 대역폭에 있어서는 R9 280X보다 분명한 열세라서 고해상도에서는 오히려 280X보다 못나오는 항목도 있어서 까였지만 280X보다 잘나오는 항목(특히 최신겜에선)도 다수 존재해 성능 면에서는 그럭저럭 평타쳤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문제는 가격이였다. $229로 언뜻 생각해보면 가성비가 꽤 좋게 나왔다고 여겨질수도 있겠지만 이와 동시에 R9 380 4GB의 가격인하도 함께 이루어져 24만원대로 내려가게 되었고 R9 380보다 약 7%정도 좋은 R9 380X는 가격이 31만원 수준에 초기가격이 형성되면서 출시하자마자 R9 380한테 가성비 측면에서 팀킬을 당하고 말았으며 악질 암등이새끼들조차도 이거사느니 R9 380을 사라고 할 정도로 평가가 좋지 못하게 되었다.

제조사별 품질 차이 논란[편집]

우리나라에는 기가바이트와 사파이어만 R9 380X를 유통했는데 이 두 제조사간에 품질차이가 극명하다는 논란이 일었다. 사파이어 같은경우 정숙하고 오버클럭도 잘 들어가는 반면 기가바이트는 상대적으로 시끄럽고 오버수율도 극악이라는 유저의 리뷰가 올라오면서 논란이 되었다. 그런데 어차피 사는놈들이 거의 없는수준이라 공론화되지도 못하고 묻혀버렸음 ㅋㅋㅋ

차세대 제품(파스칼,폴라리스) 발표 후[편집]

RX 480의 출시로 인하여 관짝행이 확정되었다. 암등이새끼들이 그렇게 원하던 Tonga 풀칩은 출시이후 한번도 이렇다할 임팩트도 주지 못한 채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고인의 명복을 액션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