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비 타원함수
조무위키
01 문서ㄴㄴ 수학과 관련된 것ㅇㄹ 다룹니다. 01 문서ㄴㄴ 수학과 관련된 무언7ㅏ0ㅔ 대해서 다루ㄴㄴ 문서입니다. ㄱㅂ식 수학일 수도 전공 수학일 수도 있고, 혹ㅇㄴ 수학과 관련된 역사속의 인물일지도 모ㄹㅂ니다. 01 문서ㄹㄹ 읽다7ㅏ 수학뽕0ㅔ 빠져버려도 본 위키ㄴㄴ 책임지지 않ㅅㅂ니다. 1 + 1 = 귀요미>_< |
파일:장잉의손.jpg | 장잉정신이 돋보이는 글입니다. 얼마나 할 짓이 없었으면 이런 일을 했을까 하며 부탁을 랄랄치는 글입니다. 너 이새끼 화이팅 |
이 문서는 과학지식이나 공돌이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는 여러 사례와 분석에 의해 과학적 지식으로 입증된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항목과 관련된 종자는 매드 사이언티스트임이 틀림없습니다. 야코비 타원함수은(는) 과학입니다. |
파일:지식이늘었다.gif | 이 문서는 유용한 정보가 담긴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디시위키답지 않게 정말로 유용하거나 자세한 정보를 가득 담고 있습니다. 지식이 늘었다! |
미분방정식 (dydφ)² = (1 - y²)(1 - my²)을 풀자 그럼
φ = ∫0ydu√(1 - u²)(1 - mu²)
이런 식이 나옴.
그럼 이 식을 y에 관하여 쓴 y = sn φ에서 sn φ을 야코비 타원함수라 하고 엄밀히 표기할 땐 sn (φ|m) 이라고 씀.
그 다음 y = sin ϕ로 쓴 뒤 저 적분에다 u = sin θ로 치환적분을 하여
φ = ∫0ϕdθ√1 - m sin² θ
로 놓으면서 세 가지 야코비 함수
sn (φ|m) = sin ϕ (= y) cn (φ|m) = cos ϕ (= √1 - y²) dn (φ|m) = √1 - m sin² ϕ (= √1 - my²)
를 정의할 수 있다. 참고로 tan는 dn이 아니고 sc (= sncn)에 해당함 ㅇㅇ
위 글상자 2개의 정의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지 ㅇ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 Am (φ|m) = ϕ
이 놈도 정의하는데 그 이유는 야코비 함수 적분할 때 이놈이 2종 타원적분하고 묶인채로 주구장창 나온다 ㅇㅇ 이걸 통해 야코비 함수들을 표현하면
- sn (φ|m) = sin∘Am (φ|m)
- cn (φ|m) = cos∘Am (φ|m)
- dn (φ|m) = √1 - m sin²∘Am (φ|m)
이렇게 된다. 여기서 ∘는 함수 합성 기호를 뜻한다.
그리고 삼각함수 제곱한거를 더하면 1이 되듯이
cn² + sn² = 1 dn² + m sn² = 1 dn² - m cn² = 1 - m
얘들도 비슷한 공식을 가지고 있음.
그리고 타원함수가 분수로 나타날땐
- 갑을 (φ|m) = 갑n (φ|m)을n (φ|m)
- n병 (φ|m) = 1병n (φ|m)
이렇게 표기한다. 예를들면 cd = cndn 이런식
미분공식[편집]
저기 있는 적분을 φ에 대해 미분하면
1 = dϕdφ1√1 - m sin² ϕ = dϕdφ 1dn (φ|m)이고 정리하면
dϕdφ = dn (φ|m)임 ㅇㅇ
이것을 써서 sn cn dn을 ddφ로 미분하고 난 뒤 아까 얻은 dϕdφ을 대입하면
ddφ sn (φ|m) = cn·dn (φ|m) ddφ cn (φ|m) = -sn·dn (φ|m) ddφ dn (φ|m) = -m sn·cn (φ|m)
하고
- ddφ Am (φ|m) = dn (φ|m)
이 나옴 ㅇㅇ
참고로 cn·dn (φ|m)은 cn (φ|m) × dn (φ|m)를 줄여서 쓴 거임
아 그리고 저 미분공식을 제곱하고 미분방정식 꼴로 표현하면
y = sn (φ|m)➡️(dydφ)² = (1 - y²)(1 - my²) y = cn (φ|m)➡️(dydφ)² = (1 - y²)(1 - m + my²) y = dn (φ|m)➡️(dydφ)² = (1 - y²)(m - 1 + y²)
으로 쓸 수 있음
그리고 이 식을 미분하여 2계 편미방은
y = sn (φ|m)➡️d²ydφ² = - (1 + m)y + 2my³ y = cn (φ|m)➡️d²ydφ² = (2m - 1)y - 2my³ y = dn (φ|m)➡️d²ydφ² = (2 - m)y - 2y³
임을 알 수 있다.
정의역이 허수면 어떻게 되냐?[편집]
cn에 대한 미분방정식인
y = cn (x|m)➡️(dydx)² = (1 - y²)(1 - m + my²) (변수를 x로 잠시 바꿈)
에다 x = iφ를 대입하여
y = cn (iφ|m)
➡️(dydiφ)² = (1 - y²)(1 - m + my²)
➡️(dydφ)² = (y² - 1)(1 - m + my²) (허수단위 꺼내고 양변에 -1 곱함)
➡️(1y²dydφ)² = y² - 1y²ㆍ1 - m + my²y² (양변을 y⁴로 나눔)
➡️(ddφ 1y)² = (1 - 1y²)(m + 1 - my²) 으로 바꿀 수 있음
그럼 이 방정식 해가
1y = cn (φ + φ0|1 - m)으로 나오는데 여기서 φ = 0을 대입하면 cn(iㆍ0|m)=cn(0|m)=1임에 따라 1 = cn (φ0|1 - m)이니 φ0 = 0임
따라서 cn (iφ|m) = nc (φ|1 - m)이고 이 식을 sn cn dn 제곱관계식에다 넣어 sn dn도 유도하고 정리하면
sn (iφ|m) = i sc (φ|1 - m) cn (iφ|m) = nc (φ|1 - m) dn (iφ|m) = dc (φ|1 - m)
임을 알 수 있음.
주기 구하기[편집]
그럼 이 함수 주기를 구해보자
저 적분에서 ϕ 자리에다 ϕ + π를 넣으면
∫0ϕ + πdθ√1 - m sin² θ
= ∫πϕ + πdθ√1 - m sin² θ + ∫0πdθ√1 - m sin² θ
= ∫0ϕdθ√1 - m sin² θ + 2∫0π/2dθ√1 - m sin² θ
= φ + 2K(m)을 얻음 ㅇㅇ 이걸 아까 타원함수에다 넣고 정리하면
sn (φ + 2K(m)|m) = -sn (φ|m) cn (φ + 2K(m)|m) = -cn (φ|m) dn (φ + 2K(m)|m) = dn (φ|m)
임을 알 수 있음. 여기서 K(m)은 제1 종 완전 타원적분 함수임
그리고 φ + 2iK(1 - m) = iㆍ[-iφ + 2K(1 - m)]으로 놓고 아까 구한 허수 관계식을 사용하면
sn (φ + 2iK(1 - m)|m) = sn (φ|m) cn (φ + 2iK(1 - m)|m) = -cn (φ|m) dn (φ + 2iK(1 - m)|m) = -dn (φ|m)
인것도 알 수 있음 ㅇㅇ
m이 분수, 음수일 때[편집]
분수일 때[편집]
y = dn (φ|1m)의 방정식을 쓰면
(dydφ)² = (1 - y²)(1m - 1 + y²)
= 1m(1 - y²)(1 - m + my²) 이고 이는 cn에 대한 미분방정식 이므로
y = cn (φ + φ0√m|m) 을 얻음
그 다음 아까 한 것 처럼 φ=0을 대입해 보면 여기서도 φ0=0이어야 하므로 dn (φ|1m) = cn (φ√m|m)임을 알 수 있음
이제 이걸 제곱항등식을 써서 sn cn것도 구하고 정리하면
sn (φ|1m) = √m sn (φ√m|m) cn (φ|1m) = dn (φ√m|m) dn (φ|1m) = cn (φ√m|m)
임 ㅇㅇ
음수일 때[편집]
y = dn (φ|-m)의 방정식을 쓰면
(dydφ)² = (1 - y²)(-m - 1 + y²)
= (y² - 1)(-y² + 1 + m)임
이제 이걸 아까 허수일 때 처럼 양변을 y⁴으로 나누면
(ddφ1y)² = (1 - 1y²)(-1 + 1 + my²)
= (1 + m)(1 - 1y²)(-11 + m + 1y²)
= (1 + m)(1 - 1y²)(m1 + m -1 + 1y²)이므로
1y = dn (√1 + m(φ + φ0)|m1 + m)이 나옴 ㅇ
여기서도 φ=0을 대입해 확인하면 φ0=0이니 dn (φ|-m) = nd (√1 + mφ|m1 + m)임을 알 수 있음 ㅇ
이제 제곱항등식으로 sn cn것도 구하면
sn (φ|-m) = 1√1 + m sd (√1 + mφ|m1 + m) cn (φ|-m) = cd (√1 + mφ|m1 + m) dn (φ|-m) = nd (√1 + mφ|m1 + m)
임을 알 수 있음 ㅇ
4분주기만큼 평행이동하면?[편집]
실수주기
sn (φ ± K(m)|m) = ±cd (φ|m) cn (φ ± K(m)|m) = ∓√1 - m sd (φ|m) dn (φ ± K(m)|m) = √1 - m nd (φ|m)
허수주기
sn (φ ± iK(1 - m)|m) = ns (φ|m)√m cn (φ ± iK(1 - m)|m) = ∓i√m ds (φ|m) dn (φ ± iK(1 - m)|m) = ∓i cs (φ|m)
둘 다 복호동순이다.
증명은 아래 합공식에 K(m) 넣으면 된다.
합 공식[편집]
위험!
이 문서는 내용이(가) 너무 길어서 읽다 보면 너는 죽게 됩니다. 삼가 고(故) 너의 띵복을 오른손으로 비비고~ 왼손으로 비비고~ 아무튼 야무지게 빕니다.
주의. 이 문단에선 m을 생략했습니다. 내용이 존나 길어서 sn (φ|m)을 sn φ나 sn (φ) 따위로 표기하니 머가리가 터질 너님의 띵복을 액션빔 |
주의. 이 문서는 너무 난해합니다. 이 문서는 내용이 길거나 어렵거나, 병신 같이 싸지른 문서라서 정상인마저도 이해하기 어려운 문서입니다. |
존나 작은 c에 대해 미분을
ddxf(x) ≒ f(x + c) - f(x)c로 근사할 수 있으니 이 식을 변형하여
f(x + c) ≒ f(x) + cddxf(x)로도 쓸 수 있음 ㅇ
이에 따라 야코비함수 미분공식을 써서 존나 작은 β에 대해
┏sn (α + β) ≒ sn (α) + β × cn·dn (α)
┃cn (α + β) ≒ cn (α) - β × sn·dn (α)
┗dn (α + β) ≒ dn (α) - β × m sn·cn (α)
이렇게 쓸 수 있고 이를 충분히 큰 β에 대해 일반화 시킬 때 이 식 좌변이 대칭식 형태이고 또 야코비함수 제곱항등식을 만족시킴을 고려해
(1) M(α, β) sn (α + β) = sn α cn·dn β + cn·dn α sn β
(2) M(α, β) cn (α + β) = C(α, β) cn α cn β - ¹/C(α, β) sn·dn α sn·dn β
(3) M(α, β) dn (α + β) = D(α, β) dn α dn β - m/D(α, β) sn·cn α sn·cn β
으로 쓸 수 있음 ㅇㅇ
참고로 M, C, D는 알파하고 베타 교환해도 똑같은 값이고 이들은 1 + m sn α sn β × (나머지 항)을 만족한다.
이제 (2)² + (1)²과 (3)² + m × (1)²을 계산하자.
(2)² + (1)²을 계산하면
M²(α, β) =
= [M(α, β) cn (α + β)]² + [M(α, β) sn (α + β)]²
= C²(α, β) cn² α cn² β + sn² α cn²·dn² β + cn²·dn² α sn² β + ¹/C²(α, β) sn²·dn² α sn²·dn² β
= (cn² α + sn² α dn² β)(cn² β + dn² α sn² β) + (C²(α, β) - 1) cn² α cn² β + (¹/C² - 1)(α, β) sn²·dn² α sn²·dn² β
= (1 - m sn² α sn² β)² + 나머지항1이고
(3)² + m × (1)²을 계산하면
M²(α, β)
= [M(α, β) dn (α + β)]² + m[M(α, β) sn (α + β)]²
= D²(α, β) dn² α dn² β + m sn² α cn²·dn² β + m cn²·dn² α sn² β + m²/D²(α, β) sn²·cn² α sn²·cn² β
= (dn² α + m sn² α cn² β)(dn² β + m cn² α sn² β) + (D²(α, β) - 1) dn² α dn² β + (m²/D² - 1)(α, β) sn²·cn² α sn²·cn² β
= (1 - m sn² α sn² β)² + 나머지항2이다.
그 다음 M(α, β) = (1 - m sn² α sn² β)
그럼
∂∂α
= ∂∂α sn α cn·dn β + cn·dn α sn β1 - m sn² α sn² β
= cn·dn α cn·dn β - sn·(dn² + m cn²) α sn β1 - m sn² α sn² β + 2m sn·cn·dn α sn² β · sn α cn·dn β - cn·dn α sn β(1 - m sn² α sn² β)² (첫째는 분자, 둘째는 분모 미분)
= cn·dn α cn·dn β - sn·(dn² + m cn²) α sn β1 - m sn² α sn² β + 2m sn²·cn·dn α sn²·cn·dn β - sn·cn²·dn² α sn²·sn β(1 - m sn² α sn² β)² (같은 색으로 칠한 것 끼리 묶고 더하면 됨)
= cn·dn α cn·dn β (1 - m sn² α sn² β) + 2m sn² α sn² β(1 - m sn² α sn² β)² - sn α sn β (1 - m sn² α sn² β)(dn² + m cn²) α + 2m cn²·dn² α sn² β(1 - m sn² α sn² β)²
= (1 + m sn² α sn² β) cn·dn α cn·dn β - (dn² α dn² β + m cn² α cn² β) sn α sn β(1 - m sn² α sn² β)² (인수분해를 하자)
= cn α cn β - sn·dn α sn·dn β1 - m sn² α sn² βㆍdn α dn β - m sn·cn α sn·cn β1 - m sn² α sn² β이 나온다.
여기서 아까전에 나왔던 나머지항도 없앨 겸
이에 따라
sn (α + β|m) = sn (α|m) cn·dn (β|m) + cn·dn (α|m) sn (β|m)1 - m sn² (α|m) sn² (β|m) cn (α + β|m) = cn (α|m) cn (β|m) - sn·dn (α|m) sn·dn (β|m)1 - m sn² (α|m) sn² (β|m) dn (α + β|m) = dn (α|m) dn (β|m) - m sn·cn (α|m) sn·cn (β|m)1 - m sn² (α|m) sn² (β|m)
임을 알 수 있음 ㅇㅇ
2배각 공식[편집]
주2! 2 문서는 콩에 관한 것을 다룹니다. 지나친 드립은 노잼2 되니 豆 번만 칩시다. 지나친 드립은 노잼2 되니 豆 번만 칩시다. 어? 왜 豆 번 써져요? 어? 왜 豆 번 써져요? 야 쓰레기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주마!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야 쓰레기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주마!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
주2! 2 문서는 콩에 관한 것을 다룹니다. 지나친 드립은 노잼2 되니 豆 번만 칩시다. 지나친 드립은 노잼2 되니 豆 번만 칩시다. 어? 왜 豆 번 써져요? 어? 왜 豆 번 써져요? 야 쓰레기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주마!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야 쓰레기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주마!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
이 문서가 가리키는 대상은 해결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고역 같던 일이 해결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완전 상쾌합니다!!! |
ㄴ 아까 한거에 비하면
cndn 덧셈공식에다 α=β=φ를 대입하면
dn 2φ = dn² φ - m sn²·cn² φ1 - m sn⁴ φ
cn 2φ = cn² φ - sn²·dn² φ1 - m sn⁴ φ
이잖음
dn은 1을 더하고 cn은 1에서 빼면
dn: 1 + dn 2φ
= [1 - m sn²·sn² φ] + [dn² φ - m sn²·cn² φ]1 - m sn⁴ φ (같은 색 더하자)
= 1 - m sn²·1 φ + dn² φ1 - m sn⁴ φ
= 2 dn² φ1 - m sn⁴ φ
cn: 1 - cn 2φ
= [1 - m sn⁴ φ] - [cn² φ - sn²·dn² φ]1 - m sn⁴ φ
= sn² φ - m sn⁴ φ + sn²·dn² φ1 - m sn⁴ φ
= 2 sn²·dn² φ1 - m sn⁴ φ
이니 1-cn을 1+dn으로 나누면
sn² φ = 1 - cn 2φ1 + dn 2φ을 얻음 ㅇㅇ
이제 제곱항등식으로 cn, dn 것도 구하면
sn² (φ|m) = 1 - cn (2φ|m)1 + dn (2φ|m) cn² (φ|m) = (dn + cn) (2φ|m)1 + dn (2φ|m) dn² (φ|m) = 1 - m + (dn + m cn) (2φ|m)1 + dn (2φ|m)
을 얻음 ㅇㅇ
적분 공식[편집]
∫dφ 갑n·을n·f(병n) (φ|m) 꼴일 때[편집]
이건 간단히 병n = x로 치환하여
∫dφ sn·dn·f(cn) (φ|m) = - ∫x = cn (φ|m)dx f(x) ∫dφ cn·dn·f(sn) (φ|m) = ∫x = sn (φ|m)dx f(x) ∫dφ sn·cn·f(dn) (φ|m) = - ∫x = dn (φ|m)dxm f(x)
이렇게 하면 된다.
∫dφ 갑n·f(을n, 병n) (φ|m) 꼴일 때[편집]
ㄴ참고로 갑n·f(을n, 병n) (φ|m) = 갑n (φ|m)×f(을n (φ|m), 병n (φ|m))을 뜻한다.
먼저 cn일 경우에는 ∫dφ cn·f(sn, dn) (φ|m)을 풀기 위해
√m sn (φ|m) = sin θ, dn (φ|m) = cos θ로 치환을 하자.
그럼 √m cn·dn (φ|m) dφdθ = cos θ
➡️√m cn (φ|m) dφdθ = 1이므로
dφ cn (φ|m) = dθ√m로 치환할 수 있음 ㅇㅇ
이에 따라 위 적분은
∫dφ cn·f(sn, dn) (φ|m) = ∫dθ√m f(sin θ√m, cos θ)
으로 바뀌고 이제 이 적분을 푼 뒤 치환한 변수를 도로 원상복귀 시키면 됨 ㅇ
f(x, y) = 1인 경우를 예로 들면
∫dφ cn (φ|m)
= 1√m∫dθ (1) (치환적분)
= θ√m + 적분상수 (적분계산)
= Asin [√m sn (φ|m)]√m + 적분상수 (원상복귀)
이와 같은 과정으로 하면 된다 ㅇㅇ
2. 그 다음 sn에 대한거 ∫dφ sn·f(cn, dn) (φ|m)을 풀기 위해 아까와는 좀 다르게
√m cn (φ|m) = √1 - m sinh η, dn (φ|m) = √1 - m cosh η로 치환을 하고
-√m sn·dn (φ|m) dφdη = √1 - m cosh η
➡️-√m sn (φ|m) dφdη = 1 이니
미분형식은 dφ sn (φ|m) = - dη√m로 치환하면 위 적분은
∫dφ sn·f(cn, dn) (φ|m) = - ∫dη√m f(√1 - m sinh η√m, √1 - m cosh η) 으로 바뀌니까 이거 풀고 다시 원상복귀 ㄱㄱ
3. 마지막으로 dn에 관한 거 ∫dφ dn·f(sn, cn) (φ|m)을 풀 때는
Am (φ|m) = θ 으로 치환하면
dn (φ|m) dφ = dθ이므로 위 적분은
∫dφ dn·f(sn, cn) (φ|m) = ∫dθ f(sin θ, cos θ) 으로 바뀌니 이거 풀고 다시 원상복귀 하면됨 ㅇ
따라서
∫dφ sn·f(cn, dn) (φ|m) = - ∫η = Asinh [√m1 - m cn (φ|m)]dη√m f(√1 - m sinh η√m, √1 - m cosh η) ∫dφ cn·f(sn, dn) (φ|m) = ∫θ = Asin [√m sn (φ|m)]dθ√m f(sin θ√m, cos θ) ∫dφ dn·f(sn, cn) (φ|m) = ∫θ = Am (φ|m)dθ f(sin θ, cos θ)
이렇게 치환해서 삼각함수 적분하면 된다 ㅇㅇ
f가 유리함수이기만 하면 적분 ㅆㄱㄴ이다 ㅇㄱㄹㅇ
특별한 경우[편집]
sn cn dn을 각각 적분한 거
∫dφ sn (φ|m) = - Asinh [√m1 - m cn (φ|m)]√m + 적분상수 ∫dφ cn (φ|m) = Asin [√m sn (φ|m)]√m + 적분상수 ∫dφ dn (φ|m) = Am (φ|m) + 적분상수
세제곱꼴
∫dφ sn³ (φ|m) = cn·dn (φ|m)2m - (1 + 1m)Asinh [√m1 - m cn (φ|m)]2√m + 적분상수 ∫dφ cn·sn² (φ|m) = 1√mAsin [√m sn (φ|m)] - sn·dn (φ|m)2m + 적분상수 ∫dφ dn·sn² (φ|m) = Am (φ|m) - sn·cn (φ|m)2 + 적분상수
역수꼴일 때
∫dφ ns (φ|m) = - Atanh∘cd (φ|m) + 적분상수 ∫dφ nc (φ|m) = Atanh [√1 - m sd (φ|m)]√1 - m + 적분상수 ∫dφ nd (φ|m) = Am (φ|m) - Atan m sn·cn (φ|m)√1 - m + dn² (φ|m)√1 - m + 적분상수
등등
이 외의 경우[편집]
- ∫dφ dn² (φ|m) = E∘Am (φ|m) + 적분상수
- ∫dφ sn² (φ|m) = φ - E∘Am (φ|m)m + 적분상수
- 2(1 + n)∫dφ[1 + n sn² (φ|m)]² = (2 + n + m1 + nm + n)∫dφ1 + n sn² (φ|m) + nm + n[n sn·cn·dn (φ|m)1 + n sn² (φ|m) + E∘Am (φ|m)] - φ ㄴ블랙홀 궤도 계산할 때 쓴다.
등등
풀이[편집]
∫dφ dn² (φ|m)에서 Am (φ|m) = ϕ로 치환하여
dφ dn (φ|m) = dϕ, dn (φ|m) = √1 - m sin² ϕ으로 바꾸면
∫dφ dn² (φ|m)
= ∫dϕ √1 - m sin² ϕ
= E(ϕ) + 적분상수
= E∘Am (φ|m) + 적분상수
이렇게 풀리고 sn² 같은 것들은 제곱항등식을 통해 상수, dn에 관한 식으로 변형해서 풀면 됨 ㅇㅇ
특수각[편집]
기본[편집]
이 문서가 설명하는 게임은 존나 쉽거나 보통입니다. 이 게임의 난이도는 쉽거나 보통이어서 아무리 너의 컨트롤이 씹창이거나 머가리가 멍청하더라도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이런 게임을 설치하였을 경우 초딩이거나 병신이 아닌 이상 올 클리어는 가능합니다. 그러니 빨리 클리어하세요! |
φ = 0일 때
sn (0|m) = 0 cn (0|m) = 1 dn (0|m) = 1
φ = K(m)일 때
sn (K(m)|m) = 1 cn (K(m)|m) = 0 dn (K(m)|m) = √1 - m
φ = K(m)2ⁿ꼴일 땐 2배각 공식을 거듭해서 구하면 된다.
예를 들면 φ=K(m)2일 때는
sn (K(m)2|m) = 1√1 + √1 - m cn (K(m)2|m) = √√1 - m1 + √1 - m dn (K(m)2|m) = 4 √1 - m
이다.
φ = K(m)3일 때[편집]
위험!
이 문서는 유도 과정이(가) 너무 길어서 읽다 보면 너는 죽게 됩니다. 삼가 고(故) 너의 띵복을 오른손으로 비비고~ 왼손으로 비비고~ 아무튼 야무지게 빕니다.
주의. 이 문서는 너무 난해합니다. 이 문서는 내용이 길거나 어렵거나, 병신 같이 싸지른 문서라서 정상인마저도 이해하기 어려운 문서입니다. |
먼저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
┏sn (K(m)3|m) = s, sn (2K(m)3|m) = s2
┃cn (K(m)3|m) = c, cn (2K(m)3|m) = c2
┗dn (K(m)3|m) = d, dn (2K(m)3|m) = d2
로 놓고 cn 합공식에 α = K(m)3이랑 β = 2K(m)3을 대입하자
그럼 방정식 0 = cn (K(m)|m) = cc2 - sds2d21 - ms²s2²
➡️0 = cc2 - sds2d2을 얻음 ㅇ
그 다음 s2c2d2를 scd에 대한 식으로 바꾸기 위해 합공식에 α = β = K(m)3를 넣어 얻은
┏s2 = 2scd1 - ms⁴
┃c2 = c² - s²d²1 - ms⁴
┗d2 = d² - ms²c²1 - ms⁴
이 놈들을 위 방정식에다 대입하면
0 = cc2 - sds2d2
= c·c² - s²d²1 - ms⁴ - sd·2scd1 - ms⁴·d² - ms²c²1 - ms⁴
이렇게 바꿀수 있다.
그리고 양변에다 (1 - ms⁴)²c를 곱하고 위 식을 계산하면
0 = (c² - s²d²)(1 - ms⁴) - 2s²d²(d² - ms²c²)
= [(1 - s²) + (ms⁴ - ms⁴) - s²d²](1 - ms⁴) - 2s²d²(d² - ms²c²) (파란색 = 1 - ms⁴, 보라색 = -s²d²이고 보라색을 옆쪽 -s²d²와 합치자)
= [(1 - ms⁴) - 2s²d²](1 - ms⁴) - 2s²d²(d² - ms²c²) (-2s²d²를 묶어주자)
= (1 - ms⁴)² - 2s²d²[(1 - ms⁴) + (d² - ms²c²)] (초록색 더해주자)
= (1 - ms⁴)² - 2s²d²(1 - ms² + d²) (1 - ms² = d²)
= (1 - ms⁴)² - 4s²d⁴이고 여기서 우변을 이항하면
(1 - ms⁴)² = 4s²d⁴임을 알 수 있고 여기에다 루트를 적용하면
1 - ms⁴ = ±2sd²가 나온다.
여기서 잠깐 부호가 뭐가 되야 하는지 알기 위해 m = 0을 넣어보면 K(0) = 90° 임에 따라
s = sn (90°3|0) = sin 30° = 12이고
d² = 1 - 0·s² = 1이니 부호가 양수이다.
고로 아까 식에다 루트를 하면 1 - ms⁴ = 2sd²가 나오게 되고 이놈을 정리하면
4차방정식 ms⁴ - 2ms³ + 2s - 1 = 0을 얻는다.
이제 이 식에다 s = x - 1x + 1을 넣고 (x + 1)⁴을 곱하면
0 = m(x - 1)⁴ - 2m(x - 1)³(x + 1) + 2(x - 1)(x + 1)³ - (x + 1)⁴
= m(x⁴ - 4x³ + 6x² - 4x + 1) - 2m(x⁴ - 2x³ + 2x - 1) + 2(x⁴ + 2x³ - 2x - 1) - (x⁴ + 4x³ + 6x² + 4x + 1) (취소선 친건 사라짐)
= (1 - m)(x⁴ - 6x² - 81 + m1 - mx - 3)을 얻는다
그리고 이 식을 1 - m으로 나눈 다음 이 식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바꾸기 위해 식을 변형하면
x⁴ - 6x² + 9 = 81 + m1 - mx + 12
➡️x⁴ + 2(2y - 3)x² + (2y - 3)² = 4[yx² + 21 + m1 - mx + (y² - 3y + 3)]을 얻고
우변도 완전제곱식으로 만들기 위해 2차방정식 짝수판별식 중근조건을 적용하면
0 = D = (1 + m1 - m)² - y·(y² - 3y + 3)
= [(1 + m1 - m)² - 1] - (y³ - 3y² + 3y - 1)
= 4m(1 - m)² - (y - 1)³ 이런 식이 나오고 이 식을 풀면 y값
y = 1 + g = (1 + m)²(1 - g + g²)(1 - m)² (∛4m(1 - m)² = g로 표기함)을 구할 수 있다.
이러면 위 식은
(x² + 2y - 3)² = 4(√yx + 1 + m(1 - m)√y)²
➡️(x² + 2g - 1)² = 4(√1 + gx + √1 - g + g²)²
로 바뀌고 여기에 루트를 적용하면
x² + 2g - 1 = ±2(√1 + gx + √1 - g + g²)가 나온다.
이놈도 아까처럼 m = 0을 넣자. 그럼 s = 12이므로 x = 3일테고 g = 0이니 이것들을 집어넣어 확인하면 양수부호가 나와야 한다.
고로 위 식은
x² + 2g - 1 = 2√1 + gx + 2√1 - g + g²
으로 쓰이고 정리하면
x² - 2√1 + gx - (1 - 2g + 2√1 - g + g²) = 0
으로 나오며 이것을 2차방정식 근의공식에다 넣으면
x = √1 + g + √2 - g + 2√1 - g + g²(m = 0일때 x = 3이 되야 하니까)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s = x - 1x + 1을 s² + c² = 1, d² + ms² = 1에 대입해 나머지 값들을 구하자.
먼저 c는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c² = 1 - s²
= 1 - (x - 1x + 1)²
= (x + 1)² - (x - 1)²(x + 1)²
= 4x(x + 1)²
➡️c = 2√xx + 1
다음은 d를 구할 건데 이건 좀 어렵다.
먼저 x를 제곱해보면
x² = (√1 + g + √2 - g + 2√1 - g + g²)²
= (1 + g) + (2 - g + 2√1 - g + g²) + 2√1 + g·√2 - g + 2√1 - g + g²
= 3 + 2(√1 - g + g² + √1 + g√2 - g + 2√1 - g + g²)
이고 여기서
z = √1 - g + g² + √1 + g√2 - g + 2√1 - g + g²
로 놓아
x² = 3 + 2z
으로 쓰자.
그 다음 z를 제곱하면 아래와 같다 ㅇ
z² = (√1 - g + g² + √1 + g√2 - g + 2√1 - g + g²)²
= (1 - g + g²) + (1 + g)(2 - g + 2√1 - g + g²) + 2√1 - g + g²·√1 + g√2 - g + 2√1 - g + g²
= (1 - g + g²) + (2 + g - g²) + 2√(1 - g + g²)(1 + g) (√1 + g + √2 - g + 2√1 - g + g²)
= 3 + 2√1 + g³x
= 3 + 2x1 + m1 - m
➡️2(1 + m)x = (1 - m)(z² - 3)
이 식들을 가지고 (x + 1)²d²를 계산하면
(x + 1)²d²
= (x + 1)²(1 - ms²)
= (x + 1)² - m(x - 1)²
= (x² + 2x + 1) - m(x² - 2x + 1)
= (1 - m)(x² + 1) + 2(1 + m)x
= (1 - m)(2z + 4) + (1 - m)(z² - 3)
= (1 - m)(z² + 2z + 1)
= (1 - m)(z + 1)² 이므로
d = √1 - mz + 1x + 1
= √1 - m2z + 22(x + 1)
= √1 - m(x² - 3) + 22(x + 1)
= √1 - mx² - 12(x + 1)
= √1 - mx - 12
임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sn (K(m)3|m) = x - 1x + 1 cn (K(m)3|m) = 2√xx + 1 dn (K(m)3|m) = √1 - m x - 12 ※ 여기서 g = 3 √4m(1 - m)², x = √1 + g + √2 - g + 2√1 - g + g²이다.
이다.
그 다음 합공식에 α = K(m)하고 β = -K(m)3을 넣으면
sn (2K(m)3|m) = cn (2K(m)3|m) = 2x + 1 dn (2K(m)3|m) = 2x - 1
임을 알 수 있다.
φ = nK(m)5일때[편집]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대상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미완성된 문서입니다. 하루빨리 완성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직 이 대상은 완성이 못 되었기 때문에 평가하기에 이릅니다. 섣부른 판단과 수정은 금물입니다. |
☠☣경고! 당신은 죽을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는 당신을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뚜방뚜방 란•란•루ㅡ! |
이 틀은 肉에 대해 다룹니다! |
6차방정식 4mu⁶ + 8mu⁵ + 2(1 - m)²u - (1 - m)² = 0을 풀어야 한다.
급수 표현[편집]
이 내용 이해하려면 복소해석학 알아야 한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대상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미완성된 문서입니다. 하루빨리 완성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직 이 대상은 완성이 못 되었기 때문에 평가하기에 이릅니다. 섣부른 판단과 수정은 금물입니다. |
여담[편집]
다른 표현으론 m=k²일 때 sn (φ;k)로 표기하기도 한다.
괄호가 3개 붙은 (dydφ)² = (1 - y²)(1 - m + my²)(1 - n + ny²)에다 y = √1 - n u√1 - nu²을 넣으면 cn 함수의 미방으로 바꿀수 있다.
주의! 이 문서는 변태 새끼에 대해서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대상은 존나 변태 새끼입니다.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은 병신입니다. 그냥 개좆병신 그 자체입니다. |
섹코비 타원 함수 아니다. ㅄ들아.
관련 문서[편집]
- 함수
- 삼각함수 - 이 함수가 삼각함수 확장한 거다
- 타원적분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함수
- 영문위백 야코비 타원함수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