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호
조무위키
동아시아에서 왕이 죽은후에 지어주는 명칭이다. 시호와는 별개다.
일단 시호와는 달리 묘호는 천자 전용이라 제후국에서는 쓸 수 없었지만 고구려는 논란이 있지만 태조대왕을 태조라고 지칭했고, 신라에서도 태조와 태종 및 열조라는 묘호를 썼고(성한왕, 무열왕, 원성왕) 외왕내제를 하던 고려는 원간섭기를 제외하면 썼으며, 조선은 모든 왕에다 묘호를 붙였다.
중국[편집]
묘호의 본고장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까지만 하더라도 붙이는 기준이 매우 엄근진했다. 모든 황제에게 묘호를 붙이기 시작한 건 당나라 이후다.
한나라에서 묘호를 받은 사례로는 창업군주인 태조(고제)[1], 태종(문제), 세종(무제), 중종(선제), 세조(광무제), 현종(명제), 숙종(장제) 등이 있다. 심지어 아버지와 함께 문경지치를 이끌었으며 오초칠국의 난을 제압한 경제도 묘호가 없었다...
기준[편집]
- 무덤위치: 무덤위치로 이름이 정해짐. 대표적으로 민중원에 묻혔던 민중왕이 있다.
- 생전 행보: 조/종 자돌림은 대부분 이쪽이다. 그중 '인'자 돌림은 정치를 좆으로 해놔서 이름을 막붙이고 싶은데, 그래도 왕이니까라며 붙인 것이다.
ㄴㄴ 인종이 뭘 정치를 좆으로 했어
ㄴ 광해군, 연산군은 묘호도 아니며 시호도 아니다. 단지 군호일 뿐이다.
- ↑ 흔히 한 고조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