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철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금속: 철== {{주기율표}} [[鐵]] 순우리말로 쇠라고 한다. 빅뱅으로 탄생한 수소 원자가 항성 핵융합 반응으로 도달할 수 있는 마지막 원소로서 별의 잔해라고 할 수 있는 원소다. [[우리은하]]에 존재하는 보통 물질(바리온) 중 철의 비율이 0.109%인데 수소와 헬륨이 98%를 차지한다는 걸 생각하면 우주에서도 풍부하다. 철을 넘어서는 원소들은 [[초신성]]까지 진화한 별이나 밀집성의 충돌, [[블랙홀]]의 강착 원반이나 제트에서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런 극단적인 상태까지 진화할 수 있을 정도로 질량이 무거운 항성이 드물어서 매우 희귀하다. 수소에서 시작한 핵융합 반응은 주계열 영년시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2배를 넘었을 때만 최후의 반응인 규소 핵융합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규소 핵융합 반응(규소 연소 반응)은 이전의 반응과 달리 발열 반응이 미약해서 무지막지한 항성의 자체 질량이 가하는 중력 붕괴에 대항할 에너지를 충분히 생산하지 못해서 길어봐야 하루 정도만 지속되고, 항성의 핵 내부도 28~35억 켈빈에 달하는 극고온 상태라 광붕괴(핵이 고에너지 감마선을 흡수해 들뜬 상태가 되면서 양성자나 중성자를 방출하는 현상) 반응이 일어나 니켈-56의 핵융합을 방해하기까지 한다. 이 때문에 니켈-56 핵융합은 거의 진행되지 못하고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게 되며 니켈-56은 코발트-56을 거쳐 철-56으로 붕괴한다. 핵자 구조 매커니즘에서는 질량 대비 결합에너지가 가장 커서 핵융합과 핵분열을 시키려면 오히려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줘야 한다.(흡열 반응) 결합에너지 자체가 가장 큰 원소는 [[니켈]]-62이지만 철 원자는 니켈 원자보다 양성자의 비율이 더 많아서(양성자는 중성자보다 0.14% 가볍다) 질량 대비로는 철이 1등이다. 지구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들 중 가장 흔한 원소들을 묶어서 부르는 클라크 수 4위에 들어갈 정도로 워낙 흔하다 보니까(지구 전체로 보면 32%로 가장 많지만 비중이 커서 핵으로 많이 가라앉았다) [[종이]]보다 더 싸다. 1kg당 800원 정도 한다. 시세 변동에 따라 어느 정도 오차는 있을 수 있다. 문제는 종이가 1kg당 1200원 정도 한다는 거. 똑같은 강철이라도 1900년대 초반에 제조된 것과 21세기에 제조된 것의 품질 차이는 무척 커서 [[타이타닉]]이 현재 기술을 적용한 강철로 건조했다면 버틸 수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잔해에서 샘플을 채취해 검사했더니 철의 탄성을 높여주는 성분인 망간과 한 번 생긴 균열을 확산시키는 황의 비율이 6.8:1이어서 당대에는 최고급이었지만 똥철이었다. 강철 제조 기술이 더 발달한 현재의 강철은 망간과 황의 비율이 200:1이다. === 철 제련법 === [[철광석]](Fe{{아래첨자|2}}O{{아래첨자|3}})과 [[코크스]](C), [[산소]](O{{아래첨자|2}})가 필요하다. 먼저 코크스와 산소를 이용해 불완전 연소를 일으킨다. (2C+O{{아래첨자|2}}→2CO) 그러면 일산화탄소(CO)가 생성될 것이다. 일산화탄소(3CO)로 철광석(Fe{{아래첨자|2}}O{{아래첨자|3}})을 환원시키면 순수 철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Fe{{아래첨자|2}}O{{아래첨자|3}}+3CO→2Fe+3CO{{아래첨자|2}}) ==종류== === [[철분]] === 모든 식물과 동물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것.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양은 생물이 별로 서식하지 않는데 그 원인이 먹이사슬의 최하위를 차지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요한 철 원소가 거의 없기 때문. === [[무쇠]] === 다른 말로는 주철, 선철이라고 부른다. 탄소량이 강철보다 더 많아서(2.0%~6.67%) 강도나 경도는 더 높은 대신 인성이 없어서 충격을 받으면 쉽게 깨진다. 거푸집에 쇳물을 부어서 굳혀서 생산하는 주조 방식에 어울리는 성질이 있어서 가마솥 같은 일상용품을 만드는 데 많이 쓰인다. === [[강철]] === [[탄소]] 함유량이 0.035%에서 1.7%인 철을 말한다. 탄소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열처리를 통해 강도와 경도가 올라가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메진 성질이 생겨서 충격에 오히려 취약해진다. (유리처럼 깨진다) 그래서 구조재로 쓰는 강철의 탄소량은 0.04~0.6%고 칼이나 공구 날에 쓰는 강철은 0.6~1%다. [[산업혁명]] 이전에 강철을 만들려면 연철에 탄소를 추가로 주입해서(침탄) 만들었는데 몇날 며칠이고 고온에서 가열해서 탄소를 침투시켜야 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고 생산량도 적었다. 이 때문에 야금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고대에는 철질 운석을 채집해 녹여서 강철을 만들기도 했다. 대표적인 유물이 [[투탕카멘]]의 관에서 발굴된 철제 단검으로 이 검을 X선 검사한 결과 11%의 니켈이 들어있어 운철로 만들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산업 혁명 이전에 만든 철제 검의 니켈 함유량은 많아봐야 4%를 못 넘었다) 그러디가 19세기 중반에 전로가 발명되면서 강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흔히 철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전부 강철이고 그만큼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쓰인다. === [[고철]] === 오래된 철, 낡은 기계도 흔히 고철이라 한다. 아재들 사이에선 고물이라고 통칭한다. 주로 녹슨 쇠가 많으며 더이상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녹여서 재활용 해야하는 쇠를 일컫는다. === 연철 === 탄소 함량이 매우 적고(0.05%~0.25%) 불순물(슬래그라고 한다. 1~2%)이 많은 철이다. 강철 제조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떤 산업 혁명 초기에는 주철을 대신해 철도 레일에도 쓰였으나(주철로 만든 레일이 기차의 무게를 못 견디고 깨져버렸기 때문) 강철을 찍어내는 현대에는 강철에게 자리를 다 뺏겨서 수요가 없다. === 황철 === 황과 철을 스까부은거. === 똥철 === {{똥}} {{쓰레기}} 누가 이런걸 씀? 못된똥 당시 짱개국이 만든 특산품들중 하나다. === 그 외 === * [[원순철]](?) * [[이순철]] * [[차지철]] * [[황철]] ==철과 관련된 [[초능력]]== * [[염철력]] == 개념: 철 == {{노예}} 흙수저라면 대부분 어린시절 탑재하게 되는것 허튼 짓을 하지않고,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고 번영하게 하기위해 감수해야할 일을 감수하라는 말을 하라는 뜻 감수해야할 일로는 수당없는 야근, 상사의 부당한 명령에 복종같은 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부조리한 현실을 바꾸기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철들지못한 사람이며 승진을 위해 상사의 부당한 명령을 따르는 사람은 철든 사람이다. 한국의 철든 사람은 부양과 번역의 책임을 다하기위해 지배적인 권력의 규율에 순응하는 인간이다 고로 군대에 갔다오면 철이 든다라는 민담은 노예적 의미를 정확하게 포착하고있다. ← 하는일도 없이 애미애비등골빼먹는 야붕이가 자기합리화하는거같은데 하여튼........ ㄴ ㅋㅋㅋㅋ 맞는 말이긴 한대 쓴 새키가 개백수 같아서 반감이 되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분류: 화학]]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노예
(
편집
)
틀:똥
(
편집
)
틀:색
(
편집
)
틀:쓰레기
(
편집
)
틀:아래 첨자
(
편집
)
틀:아래첨자
(
편집
)
틀:알림 상자
(
편집
)
틀:주기율표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