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장중첩중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진지}} {{의학}} ==개요== 장이 말려들어가는 것. 장충동 왕 족발보쌈이 아니다. 대부분 [[소장]]에서 [[대장]]로 넘어갈 때 갑자기 굵어지므로 소장의 맨 아랫부분인 회장은 대장의 앞에 위치한 맹장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가 가장 많다. ==원인== 대부분 생후 6개월부터 2세 사이의 소아에서 80% 정도 발생한다. 건강하고 살이 찐 영·유아에서 갑자기 발생한다. 확실한 원인을 알수 없는 장중첩증이 95%인데 이는 영ㆍ유아 회장 말단의 두께의 차가 크거나, 이 부위의 임파절 조직이 두꺼워져 있는 경우도 있으며, 장염, 식이의 변화 및 장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서 장의 운동이 증가되어 일어나기도 한다. 약 5% 정도가 국소 해부학적인 원인으로 Meckel 게실, 낭종성 중복회장, 용종, 림프종, 출혈성 질환에 의한 혈종 등에 의해 생긴다. 재발성의 장중첩증은 5~8% 정도이며, 나이가 많은 경우에 재발 비율이 더 높다고 한다. ==증상== 복통, 구토, 점액성 혈변, 복부 종괴 등이 있다. ==치료법== *공기 및 조영 정복술: 장 중첩증의 치료에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항문을 통하여 공기나 조영제를 넣어 장관 내 압력을 증가시켜 중첩된 장을 풀어 주는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투시 촬영으로 확인하여 진행한다. 90% 정도의 성공률로 높으며 기질적인 원인이 없거나 장 천공, 장 괴사 등의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 시행한다. *수술: 첫 번째 단계로 중첩된 장을 손으로 밀어서 빼낸다. 장이 상하지 않았으면 이 방법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해결되지만 외과 의사가 장이 많이 상하였다고 판단하거나 도수 정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장을 절제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절반 이상에서는 개복 후 도수정복술로 가능하며, 기질적 원인이 있거나 장 천공, 장 괴사가 진행된 경우, 혹은 손으로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중첩된 장을 절제하게 된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알림 상자
(
편집
)
틀:의학
(
편집
)
틀:진지
(
편집
)
틀:진지주의
(
편집
)
틀:크기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