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자연상수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무리수}} {{공대생}} == 개요 == 말 그대로 [[자연]] [[상수]]다 자연적인것을 수학적으로 분석할때 거의 항상 나오는 상수로써 영어로는 {{수학|''e''|크기=160}}라고 쓴다 == 상세 == 무리수이기때문에 십진법으로 딱 떨어지지않고 근삿값만 구할수있는데 {{수학|''e''}}=2.71828182.... 이며 그냥 문제풀땐 2.71로 계산하거나 계산하지않고 e를 붙혀서 표현한다 구하는 방법은 테일러 전개해서 무한히 더하면 된다 자연 상수를 밑으로 하는 로그를 자연 로그라한다. [[원주율]] 다음으로 접하는 무리수중하나이며 파이,0,허수 단위 i,1 과함깨 수학적으로 중요한 상수중 하나이다 고등학교 과정에선 통계에서 정규분포곡선의 식에서 처음 등장하며 대학교에선 공대에선 항상 보여지는 상수중 하나 어느 [[문과|미개 집단]]에서는 모른다는 이과의 전유물이다. 수학책에서는 '자연대수란 {{색|blue|1에 수렴하는 값}}을 {{색|red|무한히 제곱}}한 값' 정도로 설명이 되어 있을거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자면 x→∞ ; (1+({{수직분수|x}}))<sup>x</sup> 혹은 x→0 ; (1+x)<sup>({{수직분수|x}})</sup> 이 되며, 보통은 간단하게 e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사실 어떤 개념인지 이해만 한다면 초딩도 어떤 식으로 계산하는지는 이해할 수 있다. (1+({{색|blue|{{수직분수|10}}}})){{색|red|{{위첨자|10}}}}={{색|blue|1.1}}{{색|red|{{위첨자|10}}}}≒2.5937424601<br> (1+({{색|blue|{{수직분수|100}}}})){{색|red|{{위첨자|100}}}}={{색|blue|1.01}}{{색|red|{{위첨자|100}}}}≒2.704813829<br> (1+({{색|blue|{{수직분수|1000}}}})){{색|red|{{위첨자|1000}}}}={{색|blue|1.001}}{{색|red|{{위첨자|1000}}}}≒2.716923932<br> …<br> (1+({{색|blue|{{수직분수|10}}{{위첨자|30}}}})){{색|red|{{위첨자|10{{위첨자|30}}}}}}≒2.718281828<br> (1+{{색|blue|{{수직분수|∞}}}})){{색|red|{{위첨자|∞}}}}에 수렴하는 값=e=2.718281828........ 그러니까 위의 {{색|blue|1.1, 1.01, 1.001}} 식으로 작아지는 게 {{색|blue|1에 수렴하는 값}}이고 {{색|red|무한히 제곱}}한다는 것은 거듭제곱의 숫자가 똑같이 {{색|red|10, 100, 1000}} 식으로 늘어난다는 뜻이다. 물론 (1+{{수직분수|∞}})){{위첨자|∞}} 자체는 아니고 (1+{{수직분수|∞}})){{위첨자|∞}}에 무한으로 수렴하는 값이다. e는 활용도가 높아 상용로그 log<sub>10</sub>을 <sub>10</sub>을 생략하고 log로 표기하듯 log<sub>e</sub>는 자연로그 ln으로 표기된다. == 정의 == [[파일:w.PNG]] 이 식을 테일러 전개하면 이런식이 나온다 극한식이 아닌 급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런식이 나온다 [[파일:p-1.PNG]] 급수 식을 전개하면 이러한 식이 나오는데 [[파일:15158.PNG]] 무리수이기때문에 항은 무한히 나올태고 다 더할순없으니 적당히 몆번 전개해서 더하면 2.71xxx 가 나온다 == e의 성질 == 1. lim((e{{위첨자|x}}-1){{위첨자|x}})=1 이다. x→0 2. 함수 f(x)=e{{위첨자|x}}를 x에 대해 미분하면 f`(x)=e{{위첨자|x}}으로 f(x)와 f`(x)은 같다. 리미트 엑스가 무한대로 갈때 괄호열고 일 더하기 엑스 괄호닫고 의 괄호열고 일 나누기 엑스 괄호닫고 는 e다. lim x→∞일 때 ((1+x)1÷x)=e 이다. 맞나? ln e=1이다 나머지는 쓰기도 귀찮고 증명도 날라가서 다시하기 싫다. 랜덤 돌리다가 본 사람 있으면 [[추가바람]] ---------------------------------------------------------------- 사실 상용로그 log{{아래첨자|10}}의 10을 생략하고 log로 취급하는 건 (다시 말해서 log(x) = log{{아래첨자|10}}(x) 취급하는 것) 잘못된거다. 로그함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파일:logx.png]] 한 마디로 y = 1/x 의 그래프와 x축 사이, x=1부터 임의의 x(>0)까지의 면적이 log(x)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다들 ln(x)로 알고 있지. 예를 들어서 log(2)는 1/x와 x축 사이의 x=1부터 2까지의 면적이다. 울프람알파에서 tan(x)를 적분하면 -ln(cos(x))가 아니라 -log(cos(x))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tan(x)의 정확한 답이 -log(|cos(x)|)인 이유도 이 정의 때문이다. 로그의 정의 자체가 정의역을 양의 실수로 묶어 놓고 있거든. (구글에서는 log와 ln을 구분하지만 울프람알파에서는 구분하지 않는다) [[파일:ShadedArea.png]] 위의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log(2) = 0.301... 이 아니라 0.69... 임을 알수 있다. 울프람알파에 log(2) 치면 0.69...라고 나오는 게 이 정의 때문. 너네가 알고있는 0.301...이라는 값은 log(2)(=ln(2))를 log(10)(=ln(10))으로 나눈 값이다. 즉, log_10(x) 같은 상용로그는 log(x)/log(10)다. ln을 이용해서 나타내면 log_10(x) = ln(x)/ln(10)가 된다. 여기서 우리는 log_a(x) 같이 베이스가 a인 상용로그가 주어졌을 경우, 베이스 a는 로그의 정의에 의해 반드시 (1을 제외한) 양의 실수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ㄴ 1대100에서 이런 문제가 나왔었다. 발문이 "값이 끝이 있는 것은?"이고 보기로 원주율, 루트2, log100이 주어졌는데 답이 3번이었다.(문제 분위기상 소수점 자릿수가 무한대가 아닌 것을 찾으라는 뜻) 그런데 위 내용에 의하면 이 문제는 답이 존재하지 않는 오류 문제가 된다. 출제자가 문과 출신이었나 보다. 로그함수의 정의에서 지수함수인 exp(x)가 나온다. 로그는 일대일대응 함수이기 때문에 역함수가 존재하는데, 그 역함수가 지수함수의 정의다. 즉, [[파일:defexp.png]] exp(x)의 정의역은 모든 실수다. 그리고 모든 실수 x에 대해 e{{위첨자|x}} := exp(x)로 정의한다. 따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상수 e는 e := exp(1)으로 정의된 것이다. 한 마디로, log(x) = 1일 때의 x값을 e로 정의한 것이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1/x와 x축 사이의 x=1부터 e까지의 면적은 1이라는 것. 그렇다면 왜 e{{위첨자|iπ}} + 1 = 0 이 성립하냐고 물어볼 수도 있는데 이건 복소수 배울 일이 있다면 그 때 가서 배워라. 유튜브 찾아보면 사람들이 설명해놓은 거 많다. 참고로 만약 a가 양의 실수라면, 모든 실수 x에 대해 a{{위첨자|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위첨자|x}} := exp(xlog(a)) = e{{위첨자|(xlog(a))}} (a<0 이라면 a{{위첨자|x}} = ((-1){{위첨자|x}})((|a|){{위첨자|x}})) log_10(x) = log(x)/log(10) = ln(x)/ln(10)에 대한 증명: log_10(x)을 x = 10{{위첨자|(log_10(x))}}라는 식을 만족하는 수라고 정의하자. 먼저, x = 10{{위첨자|(log{{아래첨자|10}}(x))}} > 0 이고 a{{위첨자|x}} := exp(xlog(a))이기 때문에 우리는 Y = log_10(x)라면 x = 10{{위첨자|Y}} = exp(Y * log(10)) = exp(log_10(x) * log(10))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양변에 로그를 씌워 log(x) = log(exp(log_10(x) * log(10))) = log_10(x) * log(10)를 유도하고, 여기서 양변을 다시 log(10)으로 나눠주면 log(x)/log(10) = log_10(x)임이 확인된다. 위의 적분 정의에 따라 log(x) = ln(x)다. QED. 또, 모든 실수 x에 대해 {{수직분수|d|dx}} e{{위첨자|x}} = e{{위첨자||x}}가 성립하는 이유는 1. log(x)가 양의 실수에서만 정의되어있기 때문에 exp(x)는 모든 실수 x에 대해 언제나 양의 실수이고 (즉 ∀x∈ℝ: exp(x) > 0), 2. {{수직분수|d|dx}} e{{위첨자|x}} = exp`(x) = (log{{위첨자|-1}})`(x) = {{수직분수|(log`(log{{위첨자|-1}}(x)))}} = {{수직분수|({{수직분수|(log{{위첨자|{{위첨자|-1}}}}(x))}})}} = log{{위첨자|-1}}(x) = exp(x) = e{{위첨자|x}}이기 때문이다. ("f가 어떤 구간에서 연속적인 일대일대응 함수라 하자. f가 f{{위첨자|-1}}(b)에서 미분 가능하고 f`(f{{위첨자|-1}}(b)) != 0 이라면, f{{위첨자|-1}} 역시 b에서 미분 가능하며 (f{{위첨자|-1}})`(b) = 1/(f`(f{{위첨자|-1}}(b)))가 성립한다"는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 lim{{아래첨자|x}}→∞ ; (1+({{수직분수|x}})){{위첨자|x}} = e인 이유도 어렵지 않게 풀린다. (1+({{수직분수|x}})){{위첨자|x}} = exp(xlog(1+({{수직분수|x}})))가 성립함을 일단 알아두자. x→∞ 이므로 충분히 큰 x는 1+{{수직분수|x}} > 0 이면서 x != 0 를 둘 다 만족하기 때문이다. 또 exp 안에 있는 것만 뽑아서 lim{{아래첨자|x}}→∞ ; xlog(1+({{수직분수|x}})) = lim{{아래첨자|x}}→∞ ; log(1+({{수직분수|x}}))/({{수직분수|x}}) 로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로피탈의 법칙을 쓰면 lim{{아래첨자|x}}→∞ ; log(1+({{수직분수|x}}))/({{수직분수|x}}) = 1 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exp(x)는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 => 연속적이고, lim{{아래첨자|x}}→∞ ; xlog(1+({{수직분수|x}}))가 존재하므로 lim{{아래첨자|x}}→∞ ; (1+({{수직분수|x}})){{위첨자|x}} = lim{{아래첨자|x}}→∞ ; exp(xlog(1+({{수직분수|x}}))) = exp(1) = e가 성립한다. [[분류:수학]]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공대생
(
편집
)
틀:무리수
(
편집
)
틀:색
(
편집
)
틀:수직분수
(
편집
)
틀:수학
(
편집
)
틀:아래 첨자
(
편집
)
틀:아래첨자
(
편집
)
틀:알림 상자
(
편집
)
틀:위 첨자
(
편집
)
틀:위첨자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