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철원군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읍면 == [[파일:Cheorwon-map.png|400픽셀]] 이 지도를 따라 완전수복, 부분수복, 미수복으로 나눠서 서술한다. 김화군에서 편입된 지역은 [[김화군]]으로 갈 것. === 신서면 === '''新西面''' 면적 147.79㎢. 면소재지는 도신리. 도신(道新), 대광(大光), 내산(內山), 신현(薪峴), 갈현(葛峴), 덕산(德山), 도밀(道密), 승양(承陽), 마전(馬田), 답곡(沓谷)의 10개리를 관할하는데 이중 마전리와 답곡리에는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다. 1963년 1월 1일 인목면의 미수복지구와 함께 [[연천군]]으로 넘어갔다. 1914년 5개리로 개편되고 1940년 대광면(大光面)으로 개칭되었다가 [[8.15 광복]]이후 다시 신서면이 되었다. 북쪽 중앙에 천덕산(天德山, 477m), 동쪽 경계에 고대산(高臺山, 832m), 지장봉(地藏峰, 877m)등 비교적 높은 산들이 솟아있으며 면중앙을 종류하는 차탄천을 중심으로 답곡천, 마전천유역에 경작지, 취락이 발달되었다. 내산리에 심원사지 부도군(漣川郡 深源寺址 浮屠群)이, 답곡리에 조선 중종시기 무신인 김우서의 묘가 있다. 또한 대광리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라는 팻말이 달린 [[경원선]]의 종착점(휴전선으로부터 9.5km거리)이 있다. === 동송읍 === {{닉값}} '''東松邑''' 면적 128.82㎢ 1954년 11월 17일 어운면 지역을 흡수하였다. 이평(二坪), 오덕(五德), 대위(大位), 장흥(長興), 오지(梧池), 상노(上路), 양지(陽地), 이길(二吉), 관우(觀雨), 하갈(下葛), 강산(江山), 중강(中江)의 12개리를 관할한다. 관우리, 하갈리, 강산리, 중강리는 무주지이다. 1914년 철원읍내의 동쪽이라고 했던 동변면과 송내면(松內面)이 합병되면서 만들어졌다. [[6.25 전쟁]]직후 전방이 되었던 수복한 어운면을 통폐합했다. 1980년 12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철원에서 가장 크고 핫한 동네지만 철원의 현실때문에 이름대로 똥송한 편에 속한다고 한다. === 어운면 === '''於雲面''' 면적 65.19㎢. 면 소재지는 하갈리. 하갈리(下葛里), 양지리(陽地里), 이길리(二吉里), 강산리(江山里), 중강리(中江里)의 5개리를 관할했다. 추가령구조곡내 용암대지에 속해서 전지역이 평야였다. 물론 [[6.25 전쟁]]때 전선이 북상하면서 좆망했는데 [[국군]]은 강산리와 중강리의 일부를 빼면 전지역을 수복했다. 하지만 전방이라 무주지가 되었고 결국 동송읍에 통폐합되었다. 북괴로 넘어간 미수복 강산리, 미수복 중간리는 각각 [[북괴]]치하에서 강산리, 중강리가 되어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 갈말읍 === '''葛末邑''' 면적 면적 173.17㎢. 읍소재지는 신철원리. 신철원(新鐵原), 지포(芝浦), 강포(江浦), 군탄(軍炭), 문혜(文惠), 내대(內垈), 상사(上絲), 지경(地境), 토성(土城), 정연(亭淵), 동막(東幕)의 11개리를 관할한다. [[6.25 전쟁]]으로 인해 옛 철원시가지가 있던 철원읍이 초토화되었고 철원읍보다 남쪽에 있었기 때문에 이지역을 중심으로 철원이 재건되었기 때문에 군청을 비롯한 관공서가 여기에 몰려있다. [[부군면 통폐합]]시기 마을이 이래저래 마개조되었는데 1956년 지금의 11개리로 개편되었다. 1972년 12월 28일 [[평강군]]의 유일한 수복지였던 정연리를 흡수했다. 문화재로는 문혜리의 유명악신도비, 유척기행적비, 정연리의 창랑정, 군탄리의 순담, 육군대장박정희전역비, 익영대, 신철원리의 삼부연폭포, 마그루드장군송덕탑, 토성리의 고인돌이 있다. === 철원읍 === '''鐵原邑''' 면적 99.21㎢. 읍 소재지는 화지리. 본래 철원읍내가 서쪽가에 있었기에 서변면이라고 불렸다. 1778년기준 9개동리를, 1895년 5월 26일기준 16개 동리를 관할했는데 부군면 통폐합때 관전리(관동리 + 궁전리 + 내포리), 내포리(중내선리 + 상포리), 외촌리(하외선리 + 간촌리), 사요리(사방지 + 상미요), 율리리(율지리 + 리현리), 중리, 월하리(월음리 + 하리), 화지리(화전리 + 천황지)로 개편되었고 1931년 4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송읍과의 경계지역인 화지리에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본래 외촌리, 사요리지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었지만 [[6.25 전쟁]]으로 인해 시가지가 완전파괴되고 외촌리, 사요리가 민통선이북에 놓임에 따라 좆망해버렸다. 1954년 북면(유정리, 홍원리), 묘장면(가단리, 대마리, 산명리, 중세리)과 내문면(독검리)의 수복지구를 편입했다. 독검리는 철원에 속한 옛 [[삭녕군]] 중 유일하게 남한의 손아귀로 들어온 지역이다. '''전철''' <s>* [[경원선]] [[백마고지역]]</s> <s>* [[경원선]] [[철원역]]</s> <s>* [[경원선]] [[월정리역]]</s> === 인목면 === '''寅目面''' 면적 73.29㎢. 면 소재지는 도밀리. 도밀리(道密里), 검사리(檢寺里), 승양리(承陽里), 신현리(新峴里), 덕산리(德山里), 갈현리(葛峴里)의 6개리를 관할했다. 본래 비물(非勿)이라 불렸다가 [[고구려]]때 승량현(僧梁縣)이 설치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 동량현(㠉梁縣)으로 개명되어 철성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때 승령현(僧嶺縣)으로 개명되고 1018년 동주(東州)의 속현이 되었다. 예종시기 승령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는데 삭녕현이 속현으로 들어갔다. 그래서 [[삭녕군]]에 속했다가 1914년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이 때 버러지같은 일본 쌔끼들이 삭녕군을 폐지해버렸고 그러면서 삭녕군을 둘로 쪼개서 인목면 부분을 철원군에 붙이고 서쪽은 [[경기도]] [[연천군]]엗 붙여버렸다. 동남쪽은 야월산, 서쪽은 [[추가령단층]], 남쪽은 천덕산등의 산지가 솟아있으며, 그 여맥이 면내에 미치지만 중북부지역은 대체로 평지를 이룬다. 역곡천이 면북부를 서류하다 남쪽으로 곡류하며 하천유역에 대규모 평야가 형성되었다. [[궁예]]때 만들어진 산성이 본면 승양리에 있었고 이름미상의 절터, 고려총, 검사터(檢寺址), 신현리에 이름미상의 절터가 있었다. [[8.15 광복]]이후 [[소련군정]]시기 북부지역에 내복리(內福里), 가탑리(佳塔里), 석현리(石峴里), 송현리(松峴里)가 신설되었다. [[6.25 전쟁]]이후 검사리를 제외한 전지역을 부분수복했는데 수복지역이 모두 신서면에 편입되었다. 북괴로 넘어간 지역은 송현리(미수복 송현리 + 내복리), 갈현리(미수복 덕산리 + 석현리 + 갈현리 + 신현리), 가승리(가탑리 + 승양리)로 개편되었다. === 묘장면 === '''畝長面''' 면적 62.59㎢. 면 소재지는 중세리. 중세리(中細里), 대마리(大馬里), 가단리(加丹里), 산명리(山明里)의 4개리를 관할했다. 중앙부 지구대를 사이에 두고 남쪽은 야월산(夜月山, 487m), 북쪽은 효성산등의 산지가 솟아있다. 이 산들은 용암분출로 형성되었으며 이 산지사이를 역곡천, 산명호에서 발원하는 계류가 동서로 흐른다. [[6.25 전쟁]]이후 산명리와 가단리의 일부를 수복했다. 수복지역은 각각 독검리, 삼사리에 편입된듯 하지만 전방이라 [[GP]]에 근무하는 장병들만 있고 동물밖에 없다. 북괴로 넘어간 지역은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가단리 그대로 남았다. === 북면 === '''北面''' 면적 102.77㎢. 면 소재지는 회산리. 회산리(回山里), 유정리(楡井里), 홍원리(洪元里), 외학리(外鶴里), 보막리(洑幕里), 용학리(龍鶴里)의 6개리를 관할했다. 대부분지역이 철원평야에 속했는데 서남쪽에 효성산, 서북쪽에 고암산이 있었다. 봉래지의 물이 역곡천이 되어 남류하는데 이강을 따라 경작지가 형성되었지만 [[6.25 전쟁]]때 작살났다. 용학리에 이름미상의 절터, 홍원리와 회산리에 있는 [[궁예도성]]의 터, 홍원리에 팔각형오층석등등이 있었다. 공산치하에선 유정리, 용학리가 1, 2리로, 외학리와 보막리가 1, 2, 3리로, 화산리가 1,2,3,4리로 분리되었고 국군은 홍원리와 유정리의 일부를 수복했다. 미수복지역은 회산리(미수복 회산1리 + 미수복 회산2리), 삼사리(미수복 회산3리 + 미수복 회산4리), 외학리(원상복귀), 용학리(원상복귀), 유정리(미수복 유정리에서 원상복귀), 보막리(원상복귀)로 개편되었다. === 내문면 === '''乃文面''' 면적 73.17㎢. 면 소재지는 창동리. 창동리(倉洞里), 독검리(篤儉里), 오동리(梧桐里), 반석리(班石里), 내문리(乃文里), 마방리(馬放里)의 6개리를 관할했다. 추가령구조곡내 용암대지로 동쪽에 효성산(曉聲山, 596m)이 솟아 있다. 임진강의 지류인 역곡천이 면 남부를 서류하며 북쪽에서 흘러내려오는 소지류들이 합류했다. 오동리에 사효각(四孝閣), 반석리에 나한암(羅漢庵), 석불 10체, 마방리에 말무덤이라 불리는 호리병모양의 고분 2기가 있었다. 광복이후 [[소련군정]]에서 오동리, 반석리, 마방리, 내문리가 1, 2리로 분리되었다. 이후 [[6.25 전쟁]]때 [[국군]]이 독검리 일부를 수복, 대한민국은 수복한 독검리 일부를 철원읍에 편입시켰다. [[북괴군]]은 내문리(내문리 + 창동리), 반석리(원상복귀), 오동리(원상복귀), 마방리(원상복귀), 독검리(미수복 독검리)로 개편되었다. === 마장면 === '''馬場面''' 면적 73.46㎢. 면 소재지는 장포리. 장포리(長浦里), 남원리(南院里), 대전리(大田里), 왕피리(往避里), 입석리(立石里), 밀암리(密巖里)의 6개리를 관할했다. 본래 삭녕군에 속했는데 1914년 철원군으로 옮겨졌다. 철원군지역중 유일하게 [[국군]]이 완전수복하는데 실패한 면이다. 마식령산맥의 여맥이 뻗어내려 서북부는 산지를 이루는데, 북쪽은 영영산(靈影山, 583m), 서쪽은 부압산(浮鴨山, 442m), 추가령(楸哥嶺, 425m)등이 솟아 있으며, 그 외 대부분지역은 역곡천일대의 평지에 해당했다. 대전리에 가실현성터, 왕피리에 최사유부처의 묘등이 있었다. 광복이후 왕피리 일부가 남원리에 편입되었고 장포리가 1,2,3,4리, 왕피리, 대전리, 입석리가 1, 2리로, 밀암리가 1, 2, 3리로 개편되었다. [[북괴]]치하에서 입석리(원상복귀), 밀암리(원상복귀), 왕피리(남원리 + 왕피리), 마장읍(장포리), 대전리(원상복귀)로 개편되었다. 1954년 왕피리 일부가 입석리에, 마장읍 일부가 왕피리에 흡수되었다. 1961년 마장읍이 마장리로 강등되었다. 1991년 왕피리가 신진리(新進里)로 개명되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