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로마 제국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정무관 ===== 로마 정무관 서열 * 호민관(Tribune) -> 재무관(Quaestor) -> 조영관(Aediles) -> 법무관(Praetor) -> 집정관(Consul) 이와같은 서열은 귀족과 평민의 신분투쟁 과정에서 완성된 것이다. 호민관은 본래 평민을 대변하는 관직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정무관 서열 속에 들어와버렸다. 귀족들 입장에서는 호민관을 그냥 말단 관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호민관 당선인들도 대부분 원로원에 싸바싸바 하다가 자기도 원로원으로 입갤하는 걸 원했기에 형식적으로 평민의 대표지만 별 하는 것도 없는 직위로 변해버렸다. 하지만 그라쿠스 형제는 원로원 입갤을 포기해버리고 그동안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던 호민관의 권한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직위의 클라스를 높여버렸다. 어차피 호민관은 선출직에 임기제한도 없는터라 평민의 지지만 얻으면 다시 할 수 있는 구조였고 그라쿠스 형제는 그 맹점을 파고들어 로마의 정치적 지도를 확 뒤집어버렸다. 이들의 활약 이후 귀족이고 평민이고 호민관이 엄청난 권한을 가진 관직임을 인식하게 되었고, 결국 평민이 정치적으로 규합되면서 평민의 대표 호민관 vs 귀족층의 원로원 구도가 자리잡게 된다. 결국 아우구스투스는 이 호민관 권한을 이용하여 일인 독재 체제를 완성시킨다. 재무관은 재무를 담당하는 관직이고, 조영관은 공공사업이나 축제, 경기 등을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법무관은 말그대로 본래는 법무를 담당하는 관직이다. 법무관부터는 고위 정무관으로 인식되었다. 군대 지휘권(Imperium)이 부여되었기 때문. 물론 이런 고위 정무관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빽이 있어야했다. 그래서 결국 귀족들이 대부분 다 해먹는다. 로마가 얼마나 귀족 중심의 사회인지 잘 보여주는 대목. 그리고 고위 정무관 중 하나로 감찰관(Censor)라는 관직도 있긴 한데, 상설 관직은 아니였고 약간 명예직 같은 관직이였다. 그렇다고 할일은 없는건 아니였고, 인구조사 겸 재산조사(Census)를 하거나 풍기단속하는 역할을 맡았다. 사실 법무관이랑 감찰관은 탄생부터 귀족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신분투쟁 과정에서 귀족들이 평민들에게 권한을 양보하는 대신, 귀족들은 새로운 직책을 만들면서 그것을 독차지 했기 때문. 그 새로운 직책이 바로 법무관과 감찰관이었다. 하지만 이 또한 신분투쟁 과정을 계속 거치면서 결국 평민들에게 개방되게 된다. 예외적으로, 독재관(Dictator)라는 관직이 있다. 국가 비상사태시 집정관 중 한명에게 6개월 임기의 독재관을 임명하여, 사실상 모든 권한을 부여하였다. 나중에는 술라나 카이사르 같은 정치군인들 때문에 '종신 독재관'으로 변질되기도 하였다. 사실 종신 독재관이 나오는 순간 로마 공화정은 끝났다고 보면 된다. 조영관부터는 호위병사(Lictor)들을 끌고 다닐수 있었다. 이들은 도끼 비슷한 거(Fasces : 하나된 힘을 상징하여 나무막대기 여러개를 묶고 위쪽에 도끼날을 매담) 들고다니면서 자신의 위세를 과시하고 다녔다. 독재관은 24명, 집정관은 12명, 법무관은 6명을 이끌고 다녔다. 참고로 파시즘(Fascism)이라는 말이 이 Fasces에서 유래되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