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야마토급 전함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팩트로 승부하자 일뽕 버러지들아 === 아이오와급의 16인치 슈퍼헤비쉘, 그러니까 SHS 탄을 쓸 경우 관통력이다. 18.288m에서 509mm 22,860m에서 441mm 27,432m에서 380mm 32,004m에서 329mm 그리고 이건 야마토급 관통력(18인치) 20,000m에서 494 / 566mm 30,000m에서 360 / 416mm(문헌마다 차이가 나더라) 에엥? 어디가 관통력이 압도적이라는 거냐? 마지막으로 장갑재. VH장갑은 균질압연이 아니야. 1910년대 수준의 표면강화장갑이지. 미국 B클래스 장갑 대비 84%밖에 안되는 퀄리티라더라.(http://www.navweaps.com/index_nathan/metalprpsept2009.htm) 410에 0.84곱하면 345정도인데 345미리면 측면장갑은 31km까지 다 뚫린다는걸 의미한다. 물론 32km부터는 측면장갑은 안 뚫리고 상부장갑이 뚫리지. 다만 감안해야할건 위의 관통력 수치는 수직, 수평 장갑에 대한 경험식값으로 decapping plate와 경사장갑을 갖춘 아이오와와 야마토의 집중 방호구획에 대한 실제 관통력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만 포탄의 재질이라던가 포탄, 캡의 형상설계 차이를 봤을때 아이오와측이 이 변동에 대해 훨씬 유리할거라고 본다. 둘 다 주포에 장갑이 뚫리는데 한 쪽은 레이더로 사거리가 훨씬 길고 악천후에도 영향없고 속도도 5노트나 빠루지만 다른 한 쪽은 믿을 게 포탄 충진량밖에 없는 상황이다. 누가 이기겠냐? 그리고 확인사살. 몇몇 어린이들이 야마토의 15m대형 측거의를 예로들어 사통이 아이오와의 것보다 뛰어나다고 주장하는데 장거리에서는 아이오와의 Mk.38 director에 달린 Mk.8레이더가 야마토의 측거의보다 정보(방위, 거리) 획득이 더 빠르고 정확하다. 게다가 전파가 수면, 지면을 향해 편향되는 특성상 radar horizon이 visual horizon보다 더 멀다. 그리고 사격제원 컴퓨터도 비교가 안되는게 야마토의 98식 사격반은 94식에서 개선된 물건이긴 하지만 아이오와의 Mk.1A보다 여전히 성능이 떨어졌다. 전자는 7명이상이 매달려서 열심히 크랭크를 돌려 정보를 입력해줘야되지만 Mk.1A는 1명이 조작하고 풍향, 풍속같은 정보만 제외한 대부분의 정보는 Mk.38 director를 통해서 자동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산출된 사격 제원은 야마토 호텔의 경우엔 포탑으로 전송되고 포탑내 조작인원이 직접 번거롭게 조작하지만 아이오와는 포탑내 조작인원의 개입 없이 포탑을 원격으로 바로 조준시키는 편리한 RPC(Remote Power Control)가 있었다. 또한 야마토와 아이오와는 물에 떠다니는 배라는 특성상 함선의 요동을 감안해서 사격통제를 해야하는데 이쪽도 아이오와가 우위. 아이오와는 요동이 있으면 Mk.1A와 같은 방을 쓰는 Mk.6 stable element가 자이로를 이용해서 흔들림을 감지하고 폐쇄회로 피드백으로 포신을 안정화시킨다. 밖에서 보면 배는 흔들려도 포신은 가만히 있는 모양이 되며 포신은 계속 조준한 목표물을 향해 각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 피드백 보정은 Mk.38 director의 조준기에도 이뤄지는건 덤. 하지만 야마토는 이런 장비가 없었다. 포신을 고정시키고 함선의 자세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때만 사격회로가 닫히도록 되있었기에 변침중 사격은 택도 없고 그대로 직진하거나 정지한 상태라해도 자세가 맞을때까지 대기타야했다. 거기다 98식 방위반의 조준장치 요동 보정은 수병이 직접 수동으로 해야했다. 아이오와도 이 방식으로 쏠 수는 있는데 이건 언제까지나 포신 안정화장치가 고장나거나 흔들림이 너무 심해서 포신의 움직임이 함선의 요동을 따라잡지 못할때 쓰는 차선책이이었다. 보통은 mk.6 stable element를 continuous aiming 모드로 놓고 사격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위에 언급한 변침중 사격 뿐만 아니라 시간당 발포횟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이오와는 언제든지 방아쇠를 바로 당기면 격발이 가능했지만 야마토는 참을성 있게 두 바늘의 위치가 맞을때까지 기다렸다 방아쇠를 당겨야했다. 장전을 아무리 빨리 마쳐도 함의 자세가 맞을때까지 기다려야하기때문에 실질적인 투발 횟수가 떨어질수밖에. 이럼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에서 일본인으로 보이는 어린이가 아이오와가 32km에서 구축함 노와키를 협차시킨걸 두고 아이오와의 사통이 삐꾸라고 주장하는, 자기뇌내 디버깅의 필요성을 어필하는 안타까운 장면을 연출한다. 협차라는것은 표적을 탄착군에 넣어놓아서 조준이 정확하게 이루어 진 상황이고 정확하게 조준하고 사격한 상황에서 협차냐 명중이냐는 운이 결정하는 요소이다. 탄착군 넓이나 착탄패턴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정상적인 수치라는 가정하에 무시해도 되는 부분. 아이오와는 카게로급 구축함 노와키를 39000야드, 약 35 km 거리에서 조준사격을 해서 협차라고 인정할만한 탄착군을 형성한 적이 있었는데 이는 영국의 워스파이트가 이탈리아의 줄리오 체자레를 상대로 세운 최장거리 함포 명중 기네스 기록을 무려 10 km 이상 갱신할뻔한 엄청난 퍼포먼스였다. 미국의 사통 성능을 보여줄만한 다른 예로는 1945년 여름에 있던 테스트인데 같은 사통 시스템을 쓰는 노스캐롤라이나가 좌우 회피기동을 수행하는 동시에 표적에 대한 firing solution을 유지했다는것이다. 막말로 현실에서 [[워쉽]] 게임한거나 마찬가지. 종합적으로 보면 실전에서 아이오와가 야마토를 먼저 발견, 사격했을것이고 상당히 높은확률로 협차로 떨어졌을거다. 재수 옴 붙으면 초탄부터 처맞을수도 있고. 협차가 나게되면 야마토는 이를 회피하기 위해 변침을 강요받게 되는데 야마토는 변침 중 정확한 정보의 획득, 조준이 불가능하기때문에 전술적 유연성이 크게 떨어졌다. 반면 아이오와는 수틀리면 이리저리 회피기동하면서 쏘는게 가능했고. 거기다 노와키의 케이스에서도 봤듯이 교전 시작거리는 최소 30km를 넘길것이다. 이 거리라면 16인치 Mk.8 철갑탄으로 유효한 수직타격이 가능하다. 굳이 아이오와랑 비교할것도 없이 더 급이 낮은 사우스다코타나 노스캐롤라이나와 비교해도 야마토가 밀린다. 사우스다코타와 노스캐롤라이나는 사통체계가 아이오와랑 같고 포신 구경장이 5만큼(5*16, 80인치가량) 짧아서 동거리에서 낙각이 더 커서 오히려 아이오와보다 수직 관통력이 좋았다. 결론은 야마토가 미국 전함을 상대로 스펙의 우위를 살리기 매우 힘들다는것. 야마토가 아이오와를 이기려면 졸라 큰 절벽뒤에서 캠핑하다 최대한 가까이서 갑툭튀하는 수 밖에 없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