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페르시아 전쟁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페르시아의 1차 그리스 침공== 그리스 본토가 이오니아 반란을 지원했다는 사실을 안 다리우스 1세는 이들을 응징코자 대규모 함대를 그리스로 파견하였다. 그는 그리스 본토를 굴복시키고자 함대를 편성하였는데, 먼저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 왕국을 정복하고자 하였다. 마케도니아 왕국을 정벌하기 위해 편성된 함대는 다리우스 1세의 사위인 마르도니우스의 지휘를 받았다. 기원전 492년, 그의 함대는 에게 해 북부 해안가를 항해하여 타소스 섬에 이르렀고, 페르시아의 대함대를 보고 후덜덜해진 타소스인들은 페르시아에 항복해 버렸다. 여기까지는 좋았지만 마르도니우스의 함대는 아토스 산의 곶에서 떨어져 있던 도중에 폭풍우를 만나 엄청난 피해를 입고 말았다. 이 폭풍우로 인해 마르도니우스 함대는 300여척의 전선과 2만여명에 이르는 병력을 상실한 것으로 기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의 함대는 그정도의 피해를 입고도 작전을 속행할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를 갖추고 있었다. 마르도니우스 함대는 트라키아 인근에 상륙하여 마케도니아 왕국을 정벌하기 위해 진지를 구축하였다. 그의 군대는 트라키아 토착부족의 야습을 받았고 마르도니우스 본인도 트라키아인들의 습격에 의해 치명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르도니우스는 트라키아 인근 부족들과 마케도니아 왕국을 굴복시키고 그리스 본토 침공의 발판을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중상을 입은 마르도니우스의 상태가 위독해져 결국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 왕국을 정복한 다리우스 1세는 외교적인 방법으로 그리스를 굴복시키기 위해 사절단을 전 그리스 도시들로 보내 '흙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하였다. 페르시아 제국의 이와 같은 위협에 그리스 대부분의 도시들이 굴복했으나 일부 도시는 이를 거부하였고, 그리스 세계의 양대 강국인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복속을 요구한 페르시아 사신을 처형하였다. [[파일:마라톤 전투.gif|400px|thumb|right|마라톤 전투]] 이제 전쟁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기원전 490년, 다리우스 1세는 아테네를 정벌하기 위한 함대를 편성하였다. 에레트리아를 비롯한 에게 해의 섬들을 장악해 후방의 위협물들을 도모한 페르시아군은 최종목표인 아테네를 박살내기 위해 아테네에서 40km정도 떨어진 마라톤 만에 상륙하였다. 적이 마라톤 만에 상륙할 것을 감지한 아테네와 플라타이아는 고지대에 진지를 건설하였다. 비록 고지대를 선점했다 할지라도 아테네-플라타이아 연합군은 명백한 수적 열위에 있었다. 아테네-플라타이아 연합군은 9000명의 아테네 중갑보병 및 600명으로 구성된 플라타이아 중갑보병으로 구성된 10,000명 남짓의 군세만 보유한 반면, 페르시아군의 병력은 25,000명(보병 2만, 기병 5천)에 이르렀다. 사실 아테네군이 페르시아군에 비해 수적 열위에 있을 것이라는 건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일이었고, 이미 아테네 민회는 스파르타에 지원 요청을 한 상태였다. 따라서 아테네 연합군은 이 곳에서 방어를 하면서 스파르타군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던 것이다. 페르시아측은 시간을 지연시킬수록 자군에 불리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마침내 페르시아군이 먼저 움직이기 시작했다. 페르시아군 사령부는 마라톤에 나와있는 아테네군의 움직임을 봉쇄하고 해상타격대를 보내 현재 빈집이 되어있는 아테네 도시를 점령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이 전략에 따라 전 기병과 일부의 보병으로 이루어진 타격부대가 타격함대에 승선하였고 이 함대는 아테네를 향해 출항하였다. 그리고 남아있는 보병부대를 전진시켜 마라톤에 나와있는 아테네군을 봉쇄하고자 하였다. 적의 타격함대가 마라톤에서 출항하자 아테네군은 당황하였다. 이제 아테네군에게 유일하게 남은 선택지는 스파르타 지원군이고 뭐고 간에 당장 전진해오는 적군을 밀어내고 재빨리 아테네로 회군하여 빈집털이를 막는 수밖에 없었다. 숫적인 우위에 있는 페르시아군을 상대하기 위해 아테네-플라타이아군은 진형을 확대하였다. 병력 수가 적은만큼 아테네-플라타이아군 대형의 중앙은 병력이 듬성듬성 배치되어 취약하였다. 대신 양익에는 진형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병력을 배치하여 밀집대형을 이루었다. 플라타이아인은 양익의 좌익을 맡았고, 우익은 아테네의 전시사령관 칼리마코스가 맡았다. 교전이 개시되었다. 페르시아군의 원딜부대(궁병대,투석부대)는 그 규모가 큰 편이었던반면 그리스군은 전통적으로 원딜러를 거의 운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리스군은 적 화살 사정권에 들자마자 우라돌격을 시전하였다. 페르시아군은 중장갑으로 무장한 그리스군이 빠른 속도로 돌진해오자 다소 당황하였다. 애초에 궁병은 중장갑병 상대로 역상성 관계에 있지만 거기에 보태 그리스군이 쾌속질주를 해 오자 페르시아 궁병대가 큰 활약을 하지 못했고 접전이 치러졌다. 예상대로 그리스군의 중앙은 페르시아군의 강력한 중앙부대에 의해 격퇴되었고 밀려났다. 그러나 그리스군의 양익은 페르시아군의 양익을 궤멸시켰고, 페르시아군의 양익은 모랄빵이 나서 진형이 무너졌다.<ref>전근대 전투에서 진형의 붕괴는 패배를 의미하는 것이었다.</ref> 여기서 아테네군의 규율이 위력을 발휘하였다. 규율이 문란한 일반적인 전근대 군대였으면 패전한 적을 추적하여 그들을 쳐죽이고 그들의 무장을 전리품으로 취하기 위해 혈안이 되었겠지만, 아테네군-플라타이아군의 양익은 질서정연하게 페르시아군의 중앙을 포위섬멸하기 위해 협공에 가세하였다. 페르시아군은 여전히 그 규모상에서는 그리스군에 대해 우위에 있었지만, 그리스군에 의해 포위되었고 처절한 살육전만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페르시아군은 붕괴되기 시작하였고, 함대로 도주하였다. 용케도 많은 페르시아 병사들이 함선에 올라타는데 성공하였으나 이에 실패한 불운한 병사들은 해안을 따라 도주하던 도중 마라톤 해안가의 늪지대에 빠져 그리스군에 의해 학살되었다.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 함선 7척을 나포하는 부수적인 성과까지 얻었다. 페르시아군을 무찌르는데 성공한 아테네군은 문자 그대로 젖먹던 힘까지 다해 아테네로 쾌속행군하였다. 한 기록에 의하면, 아테네군은 불과 6시간만에 아테네로 귀환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아테네군이 아테네로 돌아온지 1시간 후에 페르시아의 타격함대가 아테네 해안가에 모습을 드러냈다. 마라톤의 아테네 병력이 아테네로 돌아온것을 본 페르시아 함대는 이들을 상대로 싸움을 걸 엄두를 내지 못했고, 결국 퇴각하였다. 이로 인해 그리스 세계, 특히 아테네는 페르시아 제국의 대병력을 막아내어 그 자부심과 자신감이 하늘을 찌르게 되었고, 뒤늦게 마라톤 평원에 지원병력으로 도착한 아테네의 라이벌 스파르타군도 아테네군의 역사적인 승리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다리우스 1세는 결국 아테네 응징을 완수하지 못한 채 기원전 486년에 죽었다. ===이야깃거리=== 현대 올림픽의 마라톤 경기는 아테네 병력이 40km에 달하는 거리를 주파하여 빈집털이당할 뻔한 아테네를 사수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일부 혹자는 아테네군의 전령인 페이디아스가 아테네군의 승전을 알리기 위해 마라톤 평원에서 아테네까지 주파한 것이 그 모티브라고 주장하곤 하지만, 헤로도토스는 페이디아스가 아테네에서 스파르타에 지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파견된 전령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페이디아스가 마라톤 전투의 전령이라는 설은 후대에 그 기록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