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총력전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기원== [[동양]]과 [[서양]]은 좀 차이가 있다. ===동양의 경우=== 현대 총력전 체계와는 다르긴해도, 원시적인 총력전 체제를 [[춘추전국시대|기원 전부터]] 갖추었다. 이는 정치체계의 발달과 지리기후적 요소가 겹친 결과로, [[쌀]]을 위시한 곡물로 인구 부양력이 높으며, [[유교]]적 문화로 일찍부터 중앙집권체제를 갖출수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 중앙집권제는 곧 [[관료제]]의 정비며 이는 국가 구성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소리다. 당연히 효율적인 징병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바탕이 된다. * 풍부한 강수량을 바탕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한 쌀, 보리 등 곡물의 존재는 인구수 증가와 더불어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그렇기에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 지역은 일찍부터 전시 동원병력수가 서양에 비해 높았다. (예를들어 당장 한국사만봐도 11세기초 [[고려]]는 [[거란]]과의 전쟁을할때 작은반도국에서 20만이라는 그당시로서는 대규모의 징병을통해 전쟁을치뤘는데 사실 이숫자는 말그대로 고려의 인적자원을 모두짜낸것으로 사실상 이때 고려는 원시적인 총력전에 돌입했다할수있겠다.) ===서양의 경우=== 근대 이전까지 전쟁에서 동원된 총 병력 수가 15만을 넘지 않았다. [[로마제국]] 멸망 이후 [[중세]] 서양의 정치제는 [[봉건제]]를 기초로 두었으며, 이 시기엔 왕이라 해도 봉신들의 병력을 마음대로 동원하지 못했다. 계약관계라는 독특한 관계와 더불어 그 근간이 [[장원제도]]라는 체계에 묶여있었기 때문이다. 중세가 지나 근세에 이르러도 여전히 병력규모가 크질 못했는데, [[용병]]들이 각국 군대의 근간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국가의 지배자는 용병을 '고용'해 전쟁을 수행했으니, 돈이 아무리 많아도 이런 군 체계로는 대규모 [[상비군]]을 유지할 수 없었다. ㄴ단 발칸은 사정이 달랐다. 1453년에 콘스탄티노플이 따먹히고 오스만이 등장하면서부터 발칸은 땅따먹기가 아니라 정말로 생존을 위한 전쟁으로 돌입했고 이때부터 발칸 내에서는 서유럽식이 아닌 대규모 전투가 자주 벌어졌다. 하지만 [[프랑스 대혁명]]부터 서양 군사사상에 일대전환이 일어난다. [[루이16세|왕 모가지]]를 [[단두대|날려버리고]] 세워진 [[공화국]]의 전쟁이란, 왕들의 전쟁이 아닌 '''국민들의 전쟁'''이 되버린다. [[징병제|국민 개병제]] 개념이 등장했고, 시민의 의무의 하나로서 국가의 수호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이전에 비해 훨씬 저렴하게 대규모 병력을 항시 보유할 수 있는 기반이 등장한 것이다. [[프랑스]]에 맞서는 국가들도 이에 맞서기 위해선 대규모 병력을 유지해야 했고, [[영국]]과같은 [[입헌군주제]]국가는 [[왕권신수설]]이라는 개념을 버린지오래라 국민개병제로 빠르게 갈아탈수있었고 [[프로이센]]도 늦지만 어느정도 신분평등과같은 국민의권리를 인정해주면서 자연스레 국민개병제가 정착하게되었다. 결국 서구의 전쟁규모는 이전시기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진다. 그리고 또 한편으론 [[산업혁명]]으로 생산력이 급증했다는 점을 들수있다. 생산력의 증가는 [[군대]]의 [[무기]]와 보급을 더 저렴하게 할 수있는 기반을 제공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