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위상수학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열린 집합과 위상공간=== Let X be a set and T be a collection of subsets of X. T is called a topology on X if 1. X and the empty set are members of T 2. Every union of sets in T is a member of T.<ref>합집합 연산은 유한 번이건 무한 번이건 가능하다. 사실 정확한 표현은 'T의 임의의 부분집합 G에 대해 G의 원소를 모두 합집합해서 나온 집합은 T의 원소여야 한다'가 맞다.</ref> 3. Every finite intersection of sets in T is a member of T. <ref>교집합 연산은 유한 번만 허용된다. '두 원소의 교집합'이라는 표현은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ref> Χ equipped with a topology on itself is called a topological space and a subset U of X is said to be open in a topological space X if U is a member of the topology with which X is equipped. 모음은 집합과 같은 의미다.<br> 다만 위상에선 집합의 원소가 집합이기 때문에<br> 위상 또는 기저와 그 원소가 되는 집합을<br> 구분하여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위상교재가 집합의 집합을 모음이라고 부른다.<br> 사실 모음은 집합이랑 쬐까 다른거긴 한데 학부수준에서는 같다고 쳐도 상관없다.<br> 또한, 모음의 원소는 element 대신 member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Set S={1,2,3} S의 모든 부분 집합의 모음은 a topology on X이다.<br>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S의 모든<br> 부분집합의 모음의 원소이고 {1,2,3}은 S의 부분집합임이 자명하므로 S위의 위상이 되기위한<br> 조건 (1)을 충족시키는 모음임을 알 수 있다. 기본 해석시간에 졸지 않았으면 배우는 열린집합의 성질을 정의로 다시 만들었다. 같은 집합에도 여러가지 서로 다른 열린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실수의 집합의 열린 집합을 수직선의 열린집합으로 정의하면 수직선이, 평면의 열린집합으로 정의하면 평면이 되는 거다. 사실 원소의 개수가 완벽하게 같은 서로 다른 두 공간을 서로 같거나 다르다고 말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기준이 두 집합 위의 열린집합이 같은지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