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수학 가형 141129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풀이== ===Phase1=== 알다시피 벡터의 핵심은 크기와 방향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크기와 방향을 갖기만 하면 시점은 아무래도 좋다는 것이다. PQ벡터의 크기가 지름 4를 못넘는건 아까 확인했다. 사실 여기서 시점을 원점 O로 바꿔서 PQ벡터 = OT벡터라는 새로운 벡터로 치환해도 별 상관 없다. 그럼 상황은 대충 다음과 같다. [[파일:수학가형141129-1.JPG|700px]] 즉, 치환된 OT벡터의 점 T는 반지름이 4인 구 '''안에''' 있는 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PQ벡터와 평면 y = 4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을 θ1, PQ벡터와 평면 y + √3z + 8 = 0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을 θ2라고 하면, 직선과 평면의 관계에 의해서, 각 정사영 벡터 P1Q1, P2Q2와 PQ벡터가 이루는 각은 90 - θ1, 90 - θ2이므로 P1Q1벡터의 크기와 벡터 P2Q2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파일:수학가형141129-2.JPG|200px]]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파일:수학가형141129-3.JPG|600px]] ===Phase2=== OT벡터 = (a, b, c)라고 하자. OT벡터의 크기는 4보다 작으므로 a<sup>2</sup> + b<sup>2</sup> + c<sup>2</sup> ≤ 16 이다. OT벡터의 위치벡터도 설정했으니, 주어진 식의 값들은 대입해서 찾아보도록 하자. |OT벡터|<sup>2</sup> = a<sup>2</sup> + b<sup>2</sup> + c<sup>2</sup> cos θ1 = {{수직분수|(a, b, c)·(0, 1, 0)|({{수학|{{제곱근|a<sup>2</sup> + b<sup>2</sup> + c<sup>2</sup>}})×1}}}}<br>(θ1은 OT벡터와 y = 4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이다.) cos θ2 = {{수직분수|(a, b, c)·(0, 1, √3)|({{수학|{{제곱근|a<sup>2</sup> + b<sup>2</sup> + c<sup>2</sup>}}}})×{{수학|{{제곱근|4}}}}}}<br>(θ2은 OT벡터와 y + √3z = 0의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이다.) 모두 주어진식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우리가 최종적으로 최댓값을 따져야할 식은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가 된다. ===Phase 3=== 별에 별 지랄을 거쳐서 이제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의 최댓값을 따지면 된다는 것까지 알았다. 여기서 최댓값을 따질 때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a<sup>2</sup> + b<sup>2</sup> + c<sup>2</sup> ≤ 16 일때,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을 구하는게 문제다. 일단 a는 주어진 식에서 아무런 기능을 못하고, 최댓값이 되기 위해선 b, c에게 최대한 스칼라값을 몰아주는게 좋으므로. a = 0 일때, 준식이 최댓값이 될 수 있다. 준식을 보니까 좀 완전제곱식 스멜이 나고 고쳐보고 싶다. 근데 b<sup>2</sup> + c<sup>2</sup>의 정보가 주어져있으므로 이걸 살려야한다. 이걸 고려해서 변형하다보면, {{수직분수|1|4}}{ 2( b<sup>2</sup> + c<sup>2</sup>) + 3b<sup>2</sup> + c<sup>2</sup> + 2√3bc } = {{수직분수|1|4}}{ 2( b<sup>2</sup> + c<sup>2</sup>) + (√3b + c)<sup>2</sup> } 로 고쳐볼 수 있다. b<sup>2</sup> + c<sup>2</sup>의 최댓값은 a = 0 일때, 16이 되고, (√3b + c)<sup>2</sup>의 경우에는 코시-슈바르츠 절대부등식에 따라서<ref>a, b, x, y가 실수 일때 (a<sup>2</sup> + b<sup>2</sup>)(x<sup>2</sup> + y<sup>2</sup>)≥(ax + by)<sup>2</sup>을 만족 (등호 성립 조건은 {{수직분수|x|a}} = {{수직분수|y|b}})</ref> ( (√3)<sup>2</sup> + (1)<sup>2</sup> )(b<sup>2</sup> + c<sup>2</sup>)≥(√3b + c)<sup>2</sup> 을 만족하므로 (√3b + c)<sup>2</sup>의 최댓값은 4×16 = 64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식 ≤ {{수직분수|4}}×(2×16 + 64) 이므로 답은 24가 된다. ====연립방정식의 실근 존재 조건==== a<sup>2</sup> + b<sup>2</sup> + c<sup>2</sup> ≤ 16 일때,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을 구하는게 문제다. 일단 a는 주어진 식에서 아무런 기능을 못하고, 최댓값이 되기 위해선 b, c에게 최대한 스칼라값을 몰아주는게 좋으므로. a = 0, b<sup>2</sup> + c<sup>2</sup> = 16일 때, 준식이 최댓값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정리하면 b<sup>2</sup> + c<sup>2</sup> = 16 '''... (1)'''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 = k '''... (2)''' 일때, k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두 방정식을 연립해야하는데, 인수분해가 되는 것도 아니고 2차항을 한번에 다 날리는 것도 불가능하다. 뭐 이도저도 방법이 없으니까 b,c를 변수, k를 상수로 본 후, 상수항 소거법을 시도해보자. (2)×16 - (1)×k 를 하면 (20 - k)b<sup>2</sup> + 8√3bc + (12 - k)c<sup>2</sup> = 0이 나온다. 위의 식을 b에 대한 2차식으로 본다고 하자. (c에 대한 2차식으로 봐도 상관 없다. ) b, c 모두 실근이 존재하므로, b에대한 판별식 또한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할 것이다. 판별식을 D라고 할때, D/4 = c<sup>2</sup>( - k<sup>2</sup> + 32k - 192 ) ≥ 0 c<sup>2</sup> ≥ 0 이므로, k<sup>2</sup> - 32k + 192 ≤ 0 이다. 즉, 우리는 b, c의 실근이 존재하기 위한 k의 범위를 구해낸 것이다. 결국 여기서 k의 최댓값이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식의 최댓값과 같다. k<sup>2</sup> - 32k + 192 = (k - 8)(k - 24) ≤ 0 8 ≤ k ≤ 24이므로, k의 최댓값은 24가 된다. 따라서 답은 24다. ====원 위의 점으로 보기==== a<sup>2</sup> + b<sup>2</sup> + c<sup>2</sup> ≤ 16 일때, {{수직분수|1|4}}( 5b<sup>2</sup> + 3c<sup>2</sup> + 2√3bc )을 구하는게 문제다. 일단 a는 주어진 식에서 아무런 기능을 못하고, 최댓값이 되기 위해선 b, c에게 최대한 스칼라값을 몰아주는게 좋으므로. a = 0, b<sup>2</sup> + c<sup>2</sup> = 16일 때, 준식이 최댓값이 될 수 있다. 근데 여기서 b<sup>2</sup> + c<sup>2</sup> = 16 을 유심히 봤더니, 뭔가 원을 닮은 느낌을 쌔하게 받을 수 있다. 이것만 알아차렸다면 임의의 각, θ에 대해서 b = 4cos θ, c = 4sin θ 로 놓고 풀어도 상관이 없다. 구하고자 했던 식에 b = 4cos θ, c = 4sin θ 를 모두 대입하면, {{수직분수|1|4}}( 80cos<sup>2</sup>θ + 48sin<sup>2</sup>θ + 32√3cosθsinθ ) = 8( cos<sup>2</sup>θ + √3cosθsinθ ) + 12 이다. 제곱꼴이 좀 역겨우니까 배각공식, 반각공식에 따라서 각을 2θ로 통일시켜보자. 정리하면 8({{수직분수|cos2θ + 1|2}} + {{수직분수|√3sin2θ|2}}) + 12 = 4cos2θ + 4√3sin2θ + 16 이다. 삼각함수를 합성하면, 4cos2θ + 4√3sin2θ = 8sin(2θ + a)이고 <ref>a는 굳이 구할 필욘 없지만, 구하고 싶다면 알아서 구해봐라. 일단 a = {{수직분수|π|6}}이다.</ref> 따라서 우리가 최댓값을 구해야 하는 식은 8sin(2θ + a) + 16 임을 알 수 있다. 최댓값은 24이므로 답은 24가 된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