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수학 가형 140630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풀이== ===Phase 1=== 먼저 변수끼리의 관계식을 최대한 많이 구해내서 단서를 얻어보도록 하자. 우선 넓이가 k가 되도록 하는 넓이 등식을 세워봄직 하다. 넓이를 구하려고 노가다를 하다보면, (걍 무식하게 y = x<sup>2</sup> + x 를 0에서 t까지 적분한거에서 0에서 s까지 적분한 것을 빼주면 된다.) k = {{수직분수|6}}(t<sup>3</sup> - s<sup>3</sup>) ---(1) 이다. <ref>걍 2차함수와 직선 사이의 넓이 공식 {{수직분수|6}}(β-α)<sup>3</sup> (α, β는 두 교점의 x좌표이고 β > α ) 을 이용해도 된다. 증명은 알아서 해봐라.</ref> 여기서 k는 상수이므로 여기서 우리는 임의의 실수 s에 대해 t가 유일하게 고정됨을 알 수 있다. 근데 우리는 s에 대한 t의 관계식을 얻어내야하므로 식을 더 구해야한다. 아까 살펴보았듯이 거리식을 세워보자. 점 (1, 0)과 곡선 C (s, t)의 거리 공식은 {{제곱근|{(s - 1)<sup>2</sup> + t<sup>2</sup>}} 이다. 근데 어차피 거리 값 자체는 우리에겐 불필요한 값이고, 루트 함수의 최대 최소는 루트 내부의 함수의 최대최소와 같으므로 루트 내부의 식만 따로 따져도 충분하다. 루트 내부의 식 = (s - 1)<sup>2</sup> + t<sup>2</sup> ---(2) 이다. ===Phase 2=== 상수를 지워버리기 위해서 (1)식과 (2)식을 s에 대해서 미분한 후 연립하도록 하자. 각각 미분하면 [[파일:수학B형140630-1.JPG]] 여기서 미지수(미지의 값)은 s, t, {{수직분수|dt|ds}} 3개이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현재 s = {{수직분수|2|3}}임을 알고, 식이 두개가 있으니, 미지수 두개, 식 두개로 모든 값을 알아낼 수 있다. 싹다 연립하면 {{수직분수|dt|ds}} = {{수직분수|4|9}} 고, t = {{수직분수|4|3}}이 나온다. 이제 마지막으로 k를 구해보자. s = {{수직분수|2|3}}, t = {{수직분수|4|3}}을 (1)식에 넣기만 하면 끝이다. k = {{수직분수|1|6}}{ ({{수직분수|4|3}})<sup>3</sup> - ({{수직분수|2|3}})<sup>3</sup> } = {{수직분수|28|81}} 따라서 p + q = 109 이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