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달성군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舊대구부지역=== ====가창면==== '''嘉昌面''' 면적 111.16㎢. 면소재지는 용계리. 용계(龍溪), 오(梧), 정대(亭垈), 냉천(冷泉), 행정(杏亭), 상원(上院), 단산(丹山), 대일(大逸), 주(蛛), 옥분(玉盆), 삼산(三山), 우록(友鹿)의 12개 법정리와 26개 행정리를 관할한다. 과거 수성현지역에 속했다. 본면 파리, 용계리, 오리, 정대리에 상수서면(上守西面), 본면 행정리, 상원리, 대일리, 냉천리에 하수남면(下守南面), 우록리, 삼산리, 옥분리, 주리에 상수남면(上守南面)이 있었는데 부군면 통폐합시기 이 3개면이 통폐합되면서 만들어졌다. 과거 수성구지역에 있던 수성현(壽城縣)에 속했는지 몰라도 수성구 생활권이다. 실제로 소방서이름도 수성소방서 가창199지역대니 말다했지. 서쪽에 비슬산, 남쪽에 팔조령 동쪽에 상원산으로 막혀있는 곳이라서 수성구랑 연결된 파동로랑 [[청도군]]과 연결된 팔조령터널아니면 사실상 육지속의 섬이다. ====다사읍==== '''多斯邑''' 면적 36.65㎢. 읍소재지는 매곡리. 매곡(梅谷), 이천(伊川), 달천(達川), 박곡(朴谷), 방천(坊川), 서제(鋤齊), 세천(世川), 죽곡(竹谷), 부곡(釜谷), 문양(汶陽), 문산(汶山)의 11개 법정리와 46개 행정리를 관할한다. 본래 하빈현에 속했다가 조선시대 하동면(現 다사읍 이천리, 달천리, 박곡리, 방천리, 서재리, 세천리), 하남면(現 다사읍 문산리, 문양리, 부곡리, 매곡리, 죽곡리)으로 개편되었다. 하빈현의 옛이름중 하나인 '다사지(多斯只)'에서 이름을 따왔다. 요근래 대대적으로 개발되면서 인구수로 화원읍을 추월하여 군최대도시로 개발되었다. 현재 늘어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종점중 하나인 [[문양역]]이 본읍 문양리에 있다. 지금은 퇴물되었던 문주당 머튽급 정치인인 [[추미애|니애미추미애니]]가 이읍 출신이다. 다사 신도시의 거주민들은 일반 대구 시민들에게 미개깡촌에서 온 토인 취급을 받는다고 한다.. ====옥포읍==== '''玉浦邑''' 면적48.93㎢. 읍소재지는 본리리. 본리(本里), 신당(新塘), 교항(橋項), 강림(江林), 송촌(松村), 간경(干京), 기세(奇世), 반송(盤松), 김흥(金興)의 9개 법정리와 18개 행정리를 관할한다. [[부군면 통폐합]]이전까지 본래 옥포면은 간경리, 본리리지역에 한정되었고 신당리, 교향리, 강림리에는 법화면(法化面), 송촌리, 김흥리, 반송리, 기세리에는 성평곡면(省平谷面)이 있었는데 부군면 통폐합때 모두 통폐합되었다. 이중 교향리, 강림리지역에 [[아파트]]단지가 건설되면서 인구가 2만명을 넘었다. 낙동강변에 기세곡천(奇世谷川)의 상류지역의 곡저평야를 제외하면 전지역이 대방산(大方山, 378m)·금계산(金溪山, 475m), 비슬산으로 인한 산악지대로 구성되어있다. 대구의 급식충들이 잊을만하면 한번씩 소풍으로 가는 용연사가 본읍 반송리에 있다. ====하빈면==== '''河濱面''' 면적 36.70㎢. 면소재지는 현내리. 현내(懸內), 하산(霞山), 묘(竗), 기곡(基谷), 대평(大坪), 무등(武等), 감문(甘文), 동곡(桐谷), 봉촌(鳳村)의 9개 법정리와 19개 행정리를 관할한다. 하빈천을 따라 경작지, 마을이 형성되어있고 하빈천 근처와 낙동강과의 합류지점을 제외하면 마천산령(馬川山嶺)에서 발생한 산봉우리들이 이어져있다. 본래 [[신라]] 다사지현(多斯只縣), 혹은 답지(沓只)라고 했는데 [[경덕왕]]시기에 강을 끼고 있다하여 하빈(河濱)으로 개명, 수창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현종 (고려)|현종]]시기 [[성주군|경산부]]에 소속되었지만 나중에 대구로 소속이 이관되었다. 조선시대때 대구부 하북면, 하서면으로 개편되었다. 묘리(왜관방향)에 사육신의 위패가 있는 육신사가 있다. 낙동강 자전거길과 가까이 있어서 들려볼만 하다. ====화원읍==== '''花園邑''' 면적 27.67㎢. 읍소재지는 천내리. 천내(川內), 구라(九羅), 성산(城山), 설화(舌化), 명곡(椧谷), 본리(本里)의 6개리를 관할한다. 신라때 설화현(舌火縣)이라 불렸으며 지금은 [[달서구]]로 흡수된 월배면, 옥포면지역을 관할했다. [[경덕왕]]시기 수창군에 소속되었으나 [[고려]] [[현종 (고려)|현종]]치세에 [[성주군]]으로 넘어갔다가 조선중후기때가 되어서 대구로 완전히 넘어갔다. 화원현 시절 현치소를 담당했던 토성이 본읍 성산리에 있었는데 지금은 화원동산이라는 공원으로 개조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시기 대구부 화현내면(現 화원읍 구라리, 천내리, 성산리, 명곡리, 설화리.), 인흥면(現 화원읍 본리리)이 스까되어 만들어졌다. 1973년 월배면에게 대곡동지역이 이관되었던게 지금까지 내려온다.<ref>사실 대곡동이 화원읍의 다른지역과 산으로 분리되있어서...</ref> 2016년 [[설화명곡역]]이 개통되면서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시작점이 되었다. 본래 군에서 인구가 가장 많았지만 지금은 다사읍에 밀려서 콩번째로 인구 2위로 밀렸다. [[달서구]]생활권이라 잊을만하면 한번 씩 달서구 통합떡밥이 도는 곳으로 읍내에는 주민들을 위한 아파트가 여러채 세워져있다. 하지만 아파트만 있어서 대형마트에 가려면 달서구로 가야한다. 화원토성이 있던 성산리에서 민무늬토기가 떼거지로 발굴되었고 화원동산근처에는 [[신라]]상대의 고분인 성산리 고분, 상화대(賞花臺)라는 망루의 터가 있고, 본리리에는 인흥면의 어원이 되었던 인흥서원, 천내리 지석묘가 있고 그외에 [[503]]이 대구에서 살던 시절 집으로 사용한 옛 사저가 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