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용의 눈물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특징== 90년대 특유의, 권선징악형 캐릭터 묘사가 아닌 선악구도가 없는 캐릭터성은 상당한 호평을 받았으며, 이 시기 타 사극이나 작품 등지에선 정도전을 소인배이자, 심하면 대역죄인급으로 묘사되었지만 용의 눈물의 경우 빛과 어둠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인물로 잘 묘사 되었다. 이방원에 대한 묘사 역시 정의구현이라는 좇도 안되는 미화질이 아닌 현실 고증에 충실해 헬조선 킹왕짱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권력에 목마른 마귀로 적나라하게 묘사한 것도 신선한 충격이였다. 특히 사극 후반부에선 자신의 집권을 도왔던 공신들을 토사구팽하고 처남들 모가지를 뎅강뎅강하는 피도 눈물도 없는 군주로 묘사되었는데 그 당시엔 존나 충격과 공포 그 자체였다. 태조왕건에서 궁예, 견훤이 지나치게 미화가 된 점을 볼 때, 이 사극에서 이방원의 대우는 확실히 작가들이 냉정하게 묘사하면서 호평을 받았다. 마지막에 실제와는 다르게 백성들을 위한 기우제를 지내며 최후를 맞는 장면이 나오긴 하지만 실제 태종도 백성들을 자애하던 임금이었던 데다 이때 나온 모습이 워낙 간지폭풍이라서 미화이긴 하나 현재도 명장면으로 평가받는 중. 캐스팅 역시 으리으리 했는데, 주역이었던 유동근(이방원), 故김무생(이성계), 故김흥기(정도전), 최명길(원경왕후) 등이 카리스마 쩌는 연기력을 남김없이 발휘했으며 조역 쪽에서도 선동혁(이숙번), 임혁(하륜), 이민우(양녕대군) 등의 수많은 명배우들이 역시 뛰어난 연기력으로 사극의 퀄리티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 비단 스토리만 탄탄한 것이 아니라 여말선초 시대의 복장에 대한 고증 또한 충실했으며 위화도 회군, 왕자의 난, 조사의의 난 등의 전투씬 역시 이 당시 기준으로는 좋은 연출력을 선보였다. 특히 훗날 엠병신이 만든 주몽 식권쟁탈전, 계백 운동회, 기황후 20명 대군 전투신 따위는 비교 자체가 불가. 게다가 합판창조세트와 창조CG로 시청자들의 눈을 발효시킨 3D소문은 그냥 병신이며, 그나마 CG와 전투씬이 나름 괜춘했던 불멸의 이순신은 원균 미화에 고증 오류로 욕을 존나 먹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