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남북국시대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남북국시대'라는 개념의 정립 === 발해는 멸망 후 ‘사라진 왕국’으로 버림받다시피 했는데, 관심을 갖고 우리나라의 역사체계에 넣으려 했던 것은 일연(一然)의 ≪삼국유사≫와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에서였다. 그러나 이들이 발해사를 한국사의 체계에 넣었다 하더라도 통일신라와 대비시켜 한국사의 일부분으로 이해하려는 이른바 ‘남북국’의 착상 같은 것이 보이지 않는다. 남북국시대론이 학문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조리 있게 전개된 것은 1784년에 [[유득공]](柳得恭)이 엮은 ≪발해고 渤海考≫의 서문에서이다. 그는 “고려가 발해 역사를 편찬하지 않음으로써 그 국세가 떨치지 못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도다.”라고 하면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해 한반도의 남부를 차지했으니 그것을 남국으로, 고구려가 망한 뒤에 그 후예가 그 땅 위에 발해국을 세웠으니 그것을 마땅히 북국으로 하는 역사체계를 세워야 했으며,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은 [[고려 왕조]]의 잘못이라고 하였다. 특히, 그가 아쉬워한 것은 고구려 영토가 여진과 거란에 점거되었어도 그 땅을 되찾을 만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사실이니, 이는 고려가 발해사를 엮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개탄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김정호의 ≪대동지지 大東地志≫(1864년경)로 이어졌다. 그는 단군조선에서 고려까지의 역사를 다룬 <방여총지 方輿總志>에서 발해사를 독립된 항목으로 다루었다. <발해국 渤海國>항목에서는 삼한·삼국([[신라]], [[가야]], [[백제]]),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신라]],[[발해]])으로 이어지는 고대사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남북국시대론은 더 이상 계속되지 못하다가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다시 재론되었다. 장도빈(張道斌)이 ≪국사 國史≫(1916·1946)에서 ‘남북국’시대를 설정했고, 권덕규(權悳圭)의 ≪조선유기 朝鮮留記≫(1924)와 황의돈(黃義敦)의 <상고시대 上古時代>(1943)라는 글에서는 각기 ‘남북조’시대를 설정하였다. 해방 이후 새로운 사학의 시각에서 엮어진 역사서에는 대개 발해사를 국사의 체계에 넣어 서술하고 있으나 남북국사의 체계 자체는 거론되지 않았다. 그후 [[식민지사관]]의 극복과 민족의 주체의식이 고조되던 1970년 무렵부터 남북국시대론이 다시 거론되었다. 1970년 5월에 개최된 전국역사학대회에서 이우성(李佑成)이 <삼국사기와 발해문제>라는 논문 발표를 통해 국사가 남북국사로 엮어져야 하는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국사학계에 자극을 주게 되어 한우근(韓㳓劤)의 ≪한국통사 韓國通史≫가 개설서로서는 처음으로 이 체계를 따랐다. 1980년대에는 많은 개설서에서 남북국시대라는 용어를 채택하기 시작했고, 송기호(宋基豪)·한규철(韓圭哲) 등이 다시 이 용어 사용을 제기하였다. 그리하여 [[국사]] 교과서에도 반영되어 한국사에서 발해사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