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나주시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舊 남평군 지역=== ==== 빛가람동 ==== {{중심}} ㄴ공기업이 몰려있다. 2014년 2월 24일 [[혁신도시]]개발부지로 편입된 금천면 석전리, 동악리, 광암리, 월산리, 신천리, 산포면 매성리, 신도리, 송림리 각일부에서 신설되었다. 약 400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나주인구의 3분의 1이 여기산다 공기업 본사 16개가 이곳에 있다. 중앙동 나주로에만 있던 [[버거킹]]이 이곳에도 입점했다. 2022년 [[서브웨이]]도 입점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가 여기에 있다. ==== 남평읍 ==== '''南平邑''' 면적 54.26㎢. 읍소재지는 남평리. 남평(南平), 대교(大橋), 동사(東舍), 교촌(橋村), 교원(校院), 서산(書山), 오계(五溪), 상곡(上谷), 우산(雨山), 남석(藍石), 풍림(楓林), 노동(蘆洞), 광촌(光村), 수원(水院), 광리(光利), 평산(平山)의 16개리를 관할한다. [[백제]]이전까지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라 불렸고 [[신라]] [[문무왕]]이 삼국통일이후 [[나주|발라주]]를 폐지, [[광주|무진주]]를 설치함에 따라 무진주의 속현이 되었다. 무진주의 속현이 된 이후 10정중 하나인 미동부리정이 설치되었다. 757년 현웅현(玄雄縣)으로 개명되었다. 고려초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나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 감무가 파견되면서 주현으로 독립했지만 1390년 [[화순군|화순]]에 통폐합되었다. 1394년 다시 감무가 파견되었고 1413년 감무가 현감으로 바뀌면서 현감이 차지하는 주현이 되었다. 또한 도민부곡(道民部曲), 운곡소(雲谷所), 철야현(鐵冶縣)을 통폐합했다. 조선시대때 본읍의 교원리, 교촌리, 남평리, 대교리, 동사리, 서산리는 '''군내면(郡內面)''', 광이리, 광촌리, 남석리, 노동리, 수원리, 평산리, 풍림리는 '''동촌면(東村面)''', 상곡리, 오계리, 우산리는 '''저포면(猪浦面)'''에 속했다. 1914년 남평군 군내면 + 동촌면 + 저포면 = 남평면이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남평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중봉산(中蜂山)과 정광산(淨光山)이 솟아 있고, 산지 사이로 지석강이 흐르면서 광활한 남평평야가 발달했지만 본읍은 변두리에 해당한다. 왕년에 남평숯이 단단하고 오래 타며 연기가 나지 않아 유명했지만 지금은 그런거 없다. 수원리에서 실뱀장어, 미꾸라지가 양식되고 있다. 노동리 고인돌, 동사리 선돌, 석등, 풍림리 죽림사, 장연서원, 서산리 봉산서원, 봉암사, 우산리 모선재(慕先齋), 교촌리 육림사지(六林寺址), 교원리 남평향교등이 있다. ==== 금천면 ==== '''金川面''' 면적 22.66㎢ 면소재지는 오강리이다. 오강(烏江), 고동(古洞), 광암(廣巖), 신천(新川), 죽촌(竹村), 월산(月山), 동악(洞岳), 석전(石田), 촌곡(村谷), 신가(新加), 원곡(院谷)의 11개리를 관할한다. 조선시대에는 본면 신가리, 원곡리, 촌곡리가 '''금마산면(金馬山面)''', 고동리, 광암리, 동악리, 석전리, 신천리, 오강리, 월산리, 죽촌리는 '''어천면(魚川面)'''에 속했다. 1914년 금마산면 + 어천면 = 금천면이 되었다. 2014년 2월 24일, 본면 석전리, 동악리, 광암리, 월산리 일부가 산포면 매성리, 신도리, 송림리등과 함께 '''빛가람동'''으로 통폐합되었다. 면동쪽, 남쪽에 구릉지가 많고 북쪽 원곡리 부근에서 지석강과 영산강 본류가 합류, 서쪽경계를 이루며 남류한다. 금천평야가 넓게 펼쳐져있어 농업이 발달하였다. 쌀, 보리, 무, 배추, 딸기가 메인으로 생산되며 나주의 명물인 나주배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곳이다. 상위호환의 개량종이 늘어나기 전까지는 원곡리 원촌마을의 원촌무가 김장에 알맞고 맛이 좋은것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지금은 상기한 농업, 식품공업, 인초를 원료로 한 돗자리 공업이 촌곡리에서 이뤄지고 있다. 광암리, 죽촌리의 10기의 고인돌, 신천리 김해 김씨 삼왕묘(三王廟), 지선당(至善堂), 광암리 은행정사(銀杏亭祠), 죽촌리 충효사(忠孝祠)등이 있다. ==== 산포면 ==== '''山浦面''' 면적 20.45㎢. 면소재지는 매성리. 매성(梅城), 신도(新道), 송림(松林), 화지(花池), 산제(山霽), 등수(等樹), 등정(嶝亭), 내기(內基), 덕례(德禮)의 9개리를 관할한다. 조선시대에 본면 등수리, 산제리, 송림리, 신도리 화지리는 '''등포면(等浦面)'''에 속했고 내기리, 덕례리, 등정리, 매성리는 '''두산면(頭山面)'''에 속했다. 1914년 등포면 + 두산면 = 산포면이 되었다. 2014년 2월 24일 매성리, 신도리, 송림리가 빛가람동으로 통폐합되었지만 면소재지는 아직도 매성리에 있다고 한다.;; 동남쪽 해발고도 286m짜리 식산을 빼면 전부 구릉지와 평야다. 북쪽에 지석강이 흐르고 있으며 산포천이 지석강으로 들어간다. 산포평야가 펼쳐져있다. 선제리 선돌, 풍산사(楓山祠), 부조사, 신도리 팔충사(八忠祠), 모충제(慕忠齋), 내기리 영모제(永慕齋), 화지리 삼강문(三綱門)등이 있다. ==== 봉황면 ==== '''鳳凰面''' 면적 59.96㎢. 면소재지는 죽석리. 죽석(竹石), 철천(鐵川), 각동(閣洞), 송현(松峴), 장성(長盛), 유곡(柳谷), 옥산(玉山), 용전(龍田), 와우(臥牛), 황룡(黃龍), 신동(新洞), 욱곡(郁谷), 오림(烏林), 운곡(雲谷), 덕림(德林), 용곡(龍谷), 만봉(萬峰), 덕곡(德谷)의 18개리를 관할한다. 방문기는 여기...[https://blog.naver.com/kwkm38/220747220851] 백제이전에는 철천리지역에 실어산현(實於山縣)이 있었는데, 757년 '''철야현(鐵冶縣)'''으로 개명, [[나주시|금산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때 능성현의 속현이었다가 1409년 운곡소, 도민부곡과 함게 남평현에 흡수되면서 폐지되었다. 조선시대 본면 각동리, 유곡리, 송현리는 '''덕곡면(德谷面)''', 덕곡리(?), 덕림리, 만봉리, 신동리, 오림리, 욱곡리, 황룡리는 '''욱곡면(郁谷面)''', 용곡리, 용전리, 옥산리, 와우리, 운곡리, 장성리, 죽석리, 칠천리는 '''죽곡면(竹谷面)'''이었다. 1914년 덕곡면 + 욱곡면 + 죽곡면 = 봉황면이 되었다. 닭다리모양처렴 생겼는데, 뼈처럼 생긴 남부는 용제산, 덕룡산등으로 이뤄진 산지고 다리살같은 중북부는 저지대 봉황산(54m)등 저산성산지로 북서부는 구릉지이다. 만봉천(萬峰川)과 용전천(龍田川)이 각각 북서류 하면서 유역에 죽석평야, 봉황평야를 형성하여 농업이 발달했다. 철천리 용강사(龍剛祠), 칠불석상, 석불입상, 죽석리 고분, 불상, 현충사(顯忠祠),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와우리 집성사(集成祠), 운곡리 운곡정(雲谷亭), 칠전리 만호정등이 있다. ==== 다도면 ==== '''茶道面''' 면적 73.14㎢ 면소재지는 신동리. 신동(新洞), 판촌(板村), 송학(松鶴), 풍산(楓山), 덕동(德洞), 궁원(弓院), 방산(芳山), 마산(馬山), 암정(巖亭), 덕림(德林), 도동(都洞)의 11개리를 관할한다. 조선시대 본면 궁원리, 덕동리, 송학리, 신동리, 암정리, 판촌리, 풍산리는 '''다소면(茶所面)''' 방산리, 마산리, 덕림리, 도동리는 '''도천면(道川面)'''에 속했다. 1914년 다소면 + 도천면 = 다도면이 되었다. 나주나 남평쪽이나 군대부분이 평지지만 이지역은 풍악산, 국사봉(國師峰, 440m), 각시봉(261m)등이 솟아 있어 구릉성산지로 이뤄져있다. 1976년 대초댐이 건설되면서 그나마 있던 평지도 수몰되었다. 때문에 참깨, 고추, 취나물, 대봉감, 다도녹차등으로 먹고산다. 암정리에 비자나무 군락이 있어 비자는 많이 나오고 있다는듯. 암정리 운흥사(雲興寺)와 부도군(浮屠群), 석장승, 석불, 마산리 불회사(佛會寺) , 백제고분, 풍산리 계은정(溪隱亭), 영호정(永護亭), 모남정(慕南亭), 귀래정(歸來亭), [[홍기웅]]과 [[홍기헌]]의 가옥이 있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