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무위키
조무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행위
문서
토론
편집
역사 보기
야코비 타원함수
편집하기 (부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특수각 == === 기본 === {{쉬운 게임}} φ = 0일 때 {{수학|sn (0{{!}}''m'') {{=}} 0}} {{수학|cn (0{{!}}''m'') {{=}} 1}} {{수학|dn (0{{!}}''m'') {{=}} 1}} φ = K(m)일 때 {{수학|sn (''K''(''m''){{!}}''m'') {{=}} 1}} {{수학|cn (''K''(''m''){{!}}''m'') {{=}} 0}} {{수학|dn (''K''(''m''){{!}}''m'') {{=}} {{제곱근||1 - ''m''}}}} φ = {{수직분수|K(m)|2ⁿ}}꼴일 땐 2배각 공식을 거듭해서 구하면 된다.<br> 예를 들면 φ={{수직분수|K(m)|2}}일 때는 {{수학|sn ({{수직분수|''K''(''m'')|2}}{{!}}''m'') {{=}} {{수직분수|1|{{제곱근||1 + {{제곱근||1 - ''m''}}}}}}}} {{수학|cn ({{수직분수|''K''(''m'')|2}}{{!}}''m'') {{=}} {{제곱근||{{수직분수|{{제곱근||1 - ''m''}}|1 + {{제곱근||1 - ''m''}}}}}}}} {{수학|dn ({{수직분수|''K''(''m'')|2}}{{!}}''m'') {{=}} {{제곱근|4|1 - ''m''}}}} 이다. === φ = {{수직분수|K(m)|3}}일 때 === {{길음|유도 과정}} {{난해한 문서}} 먼저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br> ┏{{수학|sn ({{수직분수|''K''(''m'')|3}}{{!}}''m'') {{=}} ''s'', sn ({{수직분수|2''K''(''m'')|3}}{{!}}''m'') {{=}} ''s{{아래첨자|2}}''}}<br> ┃{{수학|cn ({{수직분수|''K''(''m'')|3}}{{!}}''m'') {{=}} ''c'', cn ({{수직분수|2''K''(''m'')|3}}{{!}}''m'') {{=}} ''c{{아래첨자|2}}''}}<br> ┗{{수학|dn ({{수직분수|''K''(''m'')|3}}{{!}}''m'') {{=}} ''d'', dn ({{수직분수|2''K''(''m'')|3}}{{!}}''m'') {{=}} ''d{{아래첨자|2}}''}}<br> 로 놓고 cn 합공식에 α = {{수직분수|K(m)|3}}이랑 β = {{수직분수|2K(m)|3}}을 대입하자<br> 그럼 방정식 {{수학|0 {{=}} cn (''K''(''m''){{!}}''m'') {{=}} {{수직분수|''cc''{{아래첨자|2}} - ''sds''{{아래첨자|2}}''d''{{아래첨자|2}}|1 - ''ms''²''s''{{아래첨자|2}}²}}}}<br> ➡️{{수학|0 {{=}} ''cc''{{아래첨자|2}} - ''sds''{{아래첨자|2}}''d''{{아래첨자|2}}}}을 얻음 ㅇ 그 다음 s{{아래첨자|2}}c{{아래첨자|2}}d{{아래첨자|2}}를 scd에 대한 식으로 바꾸기 위해 합공식에 α = β = {{수직분수|K(m)|3}}를 넣어 얻은<br> ┏{{수학|''s''{{아래첨자|2}} {{=}} {{수직분수|2''scd''|1 - ''ms''⁴}}}}<br> ┃{{수학|''c''{{아래첨자|2}} {{=}} {{수직분수|''c''² - ''s''²''d''²|1 - ''ms''⁴}}}}<br> ┗{{수학|''d''{{아래첨자|2}} {{=}} {{수직분수|''d''² - ''ms''²''c''²|1 - ''ms''⁴}}}}<br> 이 놈들을 위 방정식에다 대입하면<br> {{수학|0 {{=}} ''cc''{{아래첨자|2}} - ''sds''{{아래첨자|2}}''d''{{아래첨자|2}}}}<br> {{수학| {{=}} ''c''·{{수직분수|''c''² - ''s''²''d''²|1 - ''ms''⁴}} - ''sd''·{{수직분수|2''scd''|1 - ''ms''⁴}}·{{수직분수|''d''² - ''ms''²''c''²|1 - ''ms''⁴}}}}<br> 이렇게 바꿀수 있다. 그리고 양변에다 {{수직분수|(1 - ''ms''⁴)²|''c''}}를 곱하고 위 식을 계산하면<br> {{수학|0 {{=}} (''c''² - ''s''²''d''²)(1 - ''ms''⁴) - 2''s''²''d''²(''d''² - ''ms''²''c''²)}}<br> {{수학|{{=}} [({{색|blue|1}} - {{색|violet|''s''²}}) + ({{색|violet|''ms''⁴}} - {{색|blue|''ms''⁴}}) - ''s''²''d''²](1 - ''ms''⁴)}} {{수학|- 2''s''²''d''²(''d''² - ''ms''²''c''²)}} ({{색|blue|파란색 {{=}} 1 - ms⁴}}, {{색|violet|보라색 {{=}} -s²d²}}이고 보라색을 옆쪽 -s²d²와 합치자)<br> {{수학|{{=}} [(1 - ''ms''⁴) - 2''s''²''d''²](1 - ''ms''⁴)}} {{수학|- 2''s''²''d''²(''d''² - ''ms''²''c''²)}} (-2s²d²를 묶어주자)<br> {{수학|{{=}} (1 - ''ms''⁴)² - 2''s''²''d''²[(1 - {{색|green|''ms''⁴}}) + (''d''² - {{색|green|''ms''²''c''²}})]}} (초록색 더해주자)<br> {{수학|{{=}} (1 - ''ms''⁴)² - 2''s''²''d''²(1 - ''ms''² + ''d''²)}} (1 - ms² = d²)<br> {{수학|{{=}} (1 - ''ms''⁴)² - 4''s''²''d''⁴}}이고 여기서 우변을 이항하면<br> {{수학|(1 - ''ms''⁴)² {{=}} 4''s''²''d''⁴}}임을 알 수 있고 여기에다 루트를 적용하면<br> {{수학|1 - ''ms''⁴ {{=}} ±2''sd''²}}가 나온다. 여기서 잠깐 부호가 뭐가 되야 하는지 알기 위해 m = 0을 넣어보면 K(0) = 90° 임에 따라<br> {{수학|s {{=}} sn ({{수직분수|90°|3}}{{!}}0) {{=}} sin 30° {{=}} {{수직분수|1|2}}}}이고<br> {{수학|d² {{=}} 1 - 0·s² {{=}} 1}}이니 부호가 양수이다. 고로 아까 식에다 루트를 하면 {{수학|1 - ''ms''⁴ {{=}} 2''sd''²}}가 나오게 되고 이놈을 정리하면<br> 4차방정식 {{수학|''ms''⁴ - 2''ms''³ + 2''s'' - 1 {{=}} 0}}을 얻는다. 이제 이 식에다 s = {{수직분수|x - 1|x + 1}}을 넣고 (x + 1)⁴을 곱하면<br> {{수학|0 {{=}} ''m''(''x'' - 1)⁴ - 2''m''(''x'' - 1)³(''x'' + 1)}} {{수학|+ 2(''x'' - 1)(''x'' + 1)³ - (''x'' + 1)⁴}}<br> {{수학|{{=}} ''m''(''x''⁴ - 4''x''³ + 6''x''² - 4''x'' + 1)}} {{수학|- 2''m''(''x''⁴ - 2''x''³ + 2''x'' - 1) + 2(''x''⁴ + 2''x''³ - 2''x'' - 1)}} {{수학|- (''x''⁴ + 4''x''³ + 6''x''² + 4''x'' + 1)}} (취소선 친건 사라짐)<br> {{수학|{{=}} (1 - ''m'')(''x''⁴ - 6''x''² - 8{{수직분수|1 + ''m''|1 - ''m''}}''x'' - 3)}}을 얻는다<br> 그리고 이 식을 1 - m으로 나눈 다음 이 식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바꾸기 위해 식을 변형하면<br> {{수학|''x''⁴ - 6''x''² + 9 {{=}} 8{{수직분수|1 + ''m''|1 - ''m''}}''x'' + 12}}<br> ➡️{{수학|''x''⁴ + 2(2''y'' - 3)''x''² + (2''y'' - 3)²}} {{수학|{{=}} 4[''yx''² + 2{{수직분수|1 + ''m''|1 - ''m''}}''x'' + (''y''² - 3''y'' + 3)]}}을 얻고<br> 우변도 완전제곱식으로 만들기 위해 2차[[방정식]] 짝수[[판별식]] 중근조건을 적용하면<br> {{수학|0 {{=}} ''D'' {{=}} ({{수직분수|1 + ''m''|1 - ''m''}})² - ''y''·(''y''² - 3''y'' + 3)}}<br> {{수학| {{=}} [({{수직분수|1 + ''m''|1 - ''m''}})² - 1] - (''y''³ - 3''y''² + 3''y'' - 1)}}<br> {{수학|{{=}} {{수직분수|4''m''|(1 - ''m'')²}} - (''y'' - 1)³}} 이런 식이 나오고 이 식을 풀면 y값<br> {{수학|''y'' {{=}} 1 + ''g'' {{=}} {{수직분수|(1 + ''m'')²|(1 - ''g'' + ''g''²)(1 - ''m'')²}}}} {{수학| (∛{{윗줄|{{수직분수|4''m''|(1 - ''m'')²}}}} {{=}} ''g''로 표기함)}}을 구할 수 있다. 이러면 위 식은<br> {{수학|(''x''² + 2''y'' - 3)² {{=}} 4({{제곱근||''y''}}''x'' + {{수직분수|1 + ''m''|(1 - ''m''){{제곱근||''y''}}}})²}}<br> ➡️{{수학|(''x''² + 2''g'' - 1)² {{=}} 4({{제곱근||1 + ''g''}}''x'' + {{제곱근||1 - ''g'' + ''g''²}})²}}<br> 로 바뀌고 여기에 루트를 적용하면<br> {{수학|''x''² + 2''g'' - 1 {{=}} ±2({{제곱근||1 + ''g''}}''x'' + {{제곱근||1 - ''g'' + ''g''²}})}}가 나온다. 이놈도 아까처럼 m = 0을 넣자. 그럼 s = {{수직분수|1|2}}이므로 x = 3일테고 g = 0이니 이것들을 집어넣어 확인하면 양수부호가 나와야 한다. 고로 위 식은<br> {{수학|''x''² + 2''g'' - 1 {{=}} 2{{제곱근||1 + ''g''}}''x'' + 2{{제곱근||1 - ''g'' + ''g''²}}}}<br> 으로 쓰이고 정리하면<br> {{수학|''x''² - 2{{제곱근||1 + ''g''}}''x'' - (1 - 2''g'' + 2{{제곱근||1 - ''g'' + ''g''²}}) {{=}} 0}}<br> 으로 나오며 이것을 2차방정식 근의공식에다 넣으면<br> {{수학|''x'' {{=}} {{제곱근||1 + ''g''}} + {{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m = 0일때 x = 3이 되야 하니까)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s = {{수직분수|x - 1|x + 1}}을 s² + c² = 1, d² + ms² = 1에 대입해 나머지 값들을 구하자.<br> 먼저 c는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br> {{수학|''c''² {{=}} 1 - ''s''²}}<br> {{수학|{{=}} 1 - ({{수직분수|''x'' - 1|''x'' + 1}})²}}<br> {{수학|{{=}} {{수직분수|(''x'' + 1)² - (''x'' - 1)²|(''x'' + 1)²}}}}<br> {{수학|{{=}} {{수직분수|4''x''|(''x'' + 1)²}}}}<br> ➡️{{수학|''c'' {{=}} {{수직분수|2{{제곱근||''x''}}|''x'' + 1}}}} 다음은 d를 구할 건데 이건 좀 어렵다.<br> 먼저 x를 제곱해보면<br> {{수학|''x''² {{=}} ({{제곱근||1 + ''g''}} + {{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²}}<br> {{수학|{{=}} (1 + ''g'') + (2 - ''g'' + 2{{제곱근||1 - ''g'' + ''g''²}})}} {{수학|+ 2{{제곱근||1 + ''g''}}·{{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br> {{수학|{{=}} 3 + 2({{제곱근||1 - ''g'' + ''g''²}} + {{제곱근||1 + ''g''}}{{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br> 이고 여기서<br> {{수학|''z'' {{=}} {{제곱근||1 - ''g'' + ''g''²}} + {{제곱근||1 + ''g''}}{{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br> 로 놓아<br> {{수학|''x''² {{=}} 3 + 2''z''}}<br> 으로 쓰자. 그 다음 z를 제곱하면 아래와 같다 ㅇ<br> {{수학|''z''² {{=}} ({{제곱근||1 - ''g'' + ''g''²}} + {{제곱근||1 + ''g''}}{{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²}}<br> {{수학|{{=}} (1 - ''g'' + ''g''²) + (1 + ''g'')(2 - ''g'' + 2{{제곱근||1 - ''g'' + ''g''²}})}} {{수학|+ 2{{제곱근||1 - ''g'' + ''g''²}}·{{제곱근||1 + ''g''}}{{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br> {{수학|{{=}} (1 - ''g'' + ''g''²) + (2 + ''g'' - ''g''²)}} {{수학|+ 2{{제곱근||(1 - ''g'' + ''g''²)(1 + ''g'')}} ({{제곱근||1 + ''g''}} + {{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br> {{수학|{{=}} 3 + 2{{제곱근||1 + ''g''³}}''x''}}<br> {{수학|{{=}} 3 + 2''x''{{수직분수|1 + ''m''|1 - ''m''}}}}<br> ➡️{{수학|2(1 + ''m'')''x'' {{=}} (1 - ''m'')(''z''² - 3)}} 이 식들을 가지고 (x + 1)²d²를 계산하면<br> {{수학|(''x'' + 1)²''d''²}}<br> {{수학|{{=}} (''x'' + 1)²(1 - ''ms''²)}}<br> {{수학|{{=}} (''x'' + 1)² - ''m''(''x'' - 1)²}}<br> {{수학|{{=}} (''x''² + 2''x'' + 1) - ''m''(''x''² - 2''x'' + 1)}}<br> {{수학|{{=}} (1 - ''m'')(''x''² + 1) + 2(1 + ''m'')''x''}}<br> {{수학|{{=}} (1 - ''m'')(2''z'' + 4) + (1 - ''m'')(''z''² - 3)}}<br> {{수학|{{=}} (1 - ''m'')(''z''² + 2''z'' + 1)}}<br> {{수학|{{=}} (1 - ''m'')(''z'' + 1)²}} 이므로<br> {{수학|''d'' {{=}} {{제곱근||1 - ''m''}}{{수직분수|''z'' + 1|''x'' + 1}}}}<br> {{수학|{{=}} {{제곱근||1 - ''m''}}{{수직분수|2''z'' + 2|2(''x'' + 1)}}}}<br> {{수학|{{=}} {{제곱근||1 - ''m''}}{{수직분수|(''x''² - 3) + 2|2(''x'' + 1)}}}}<br> {{수학|{{=}} {{제곱근||1 - ''m''}}{{수직분수|''x''² - 1|2(''x'' + 1)}}}}<br> {{수학|{{=}} {{제곱근||1 - ''m''}}{{수직분수|''x'' - 1|2}}}}<br> 임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수학|sn ({{수직분수|''K''(''m'')|3}}{{!}}''m'') {{=}} {{수직분수|''x'' - 1|''x'' + 1}}}} {{수학|cn ({{수직분수|''K''(''m'')|3}}{{!}}''m'') {{=}} {{수직분수|2{{제곱근||''x''}}|''x'' + 1}}}} {{수학|dn ({{수직분수|''K''(''m'')|3}}{{!}}''m'') {{=}} {{제곱근||1 - ''m''}} {{수직분수|''x'' - 1|2}}}} {{수학| ※ 여기서 ''g'' {{=}} {{제곱근|3|{{수직분수|4''m''|(1 - ''m'')²}}}},}} {{수학|''x'' {{=}} {{제곱근||1 + ''g''}} + {{제곱근||2 - ''g'' + 2{{제곱근||1 - ''g'' + ''g''²}}}}이다.}} 이다. 그 다음 합공식에 α = K(m)하고 β = -{{수직분수|K(m)|3}}을 넣으면 {{수학|sn ({{수직분수|2''K''(''m'')|3}}{{!}}''m'') {{=}} }} {{수학|cn ({{수직분수|2''K''(''m'')|3}}{{!}}''m'') {{=}} {{수직분수|2|''x'' + 1}}}} {{수학|dn ({{수직분수|2''K''(''m'')|3}}{{!}}''m'') {{=}} {{수직분수|2|''x'' - 1}}}} 임을 알 수 있다. === φ = {{수직분수|nK(m)|5}}일때 === {{미완성}} {{위험}} {{6}} 6차방정식 {{수학|4''mu''⁶ + 8''mu''⁵ + 2(1 - ''m'')²''u'' - (1 - ''m'')² {{=}} 0}}을 풀어야 한다.
요약: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