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INTP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65번째 줄: 565번째 줄:


=== [[INFP]]와의 차이점 ===
=== [[INFP]]와의 차이점 ===
INFP와 INTP 모두 창의적이고, 덕후 기질이 강해서 비슷해보이는데<ref>특히 [[에니어그램]]이 4번 자기보존, 6번 자기보존인 INFP 혹은 5번 성적본능인 INTP라면 T/F 차이가 크지 않아 더 헷갈리기 쉽다. 거기에, 남성이 INFP거나 여성이 INTP이라면 각 성별 그룹의 주류에 적응하기 위해 거짓기능의 발현 빈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터라 구별하기 꽤 어려운 편.</ref>, 주기능과 열등기능의 차이를 잘 살펴보면 '''서로 완전히 다른 유형'''이란걸 알 수 있다.
INFP와 INTP 모두 창의적이고, 덕후 기질이 강해서 비슷해보이는데<ref>특히 [[에니어그램]]이 4번 자기보존, 6번 자기보존인 INFP 혹은 5번 성적본능인 INTP라면 T/F 차이가 크지 않아 더 헷갈리기 쉽다. 거기에, 남성이 INFP거나 여성이 INTP이라면 각 성별 그룹의 주류에 적응하기 위해 거짓기능의 발현 빈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터라 구별하기 꽤 어려운 편.</ref>, 주기능과 열등기능의 차이를 잘 살펴보면 이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선 편의상 INFP를 F, INTP를 T라고 서술해봄.
여기선 편의상 INFP를 F, INTP를 T라고 서술해봄.
635번째 줄: 635번째 줄:
INTP는 [[ISTP]]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조용하고 인간관계 싫어하고 팩폭 잘 날리고 자기가 꼴리는 거만 하려는 성향과 논리를 중시하는 지적인 면. 그래서 겉으로만 보면 ISTP와 INTP는 구별하기가 어렵다. 다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는데 ISTP는 대체로 실용적인 면이 강하고 INTP는 이론적인 면에 강하다. 그래서인지 ISTP들은 창의적 사고에 큰 난관을 겪는 반면(맹점 Ne), INTP들은 자기 능력을 이용해 먹고 살 길을 만들거나 물건을 직접 만드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맹점 Se). 이로 인해 ISTP는 대체로 육체를 자주 쓰는 분야에 관심을 가지지만 INTP는 대체로 머리를 쓰는 분야에 관심을 가진다.<ref>ISTP가 조용한 [[인싸]]로 성장한다는 말이 이것 때문. INTP는 대체로 일반인들과는 너무 다른 사고 방식과 취향 때문에 [[아싸]]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ISTP는 육체 활동을 즐기는 특징 상 자연스럽게 사람들과 어울려야 하기 때문에 본인은 싫어해도 [[사회성]]은 괜찮은 경우가 꽤 많다.</ref>
INTP는 [[ISTP]]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조용하고 인간관계 싫어하고 팩폭 잘 날리고 자기가 꼴리는 거만 하려는 성향과 논리를 중시하는 지적인 면. 그래서 겉으로만 보면 ISTP와 INTP는 구별하기가 어렵다. 다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는데 ISTP는 대체로 실용적인 면이 강하고 INTP는 이론적인 면에 강하다. 그래서인지 ISTP들은 창의적 사고에 큰 난관을 겪는 반면(맹점 Ne), INTP들은 자기 능력을 이용해 먹고 살 길을 만들거나 물건을 직접 만드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맹점 Se). 이로 인해 ISTP는 대체로 육체를 자주 쓰는 분야에 관심을 가지지만 INTP는 대체로 머리를 쓰는 분야에 관심을 가진다.<ref>ISTP가 조용한 [[인싸]]로 성장한다는 말이 이것 때문. INTP는 대체로 일반인들과는 너무 다른 사고 방식과 취향 때문에 [[아싸]]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ISTP는 육체 활동을 즐기는 특징 상 자연스럽게 사람들과 어울려야 하기 때문에 본인은 싫어해도 [[사회성]]은 괜찮은 경우가 꽤 많다.</ref>


하지만 이 차이점 때문에 ISTP는 흑화하면 실제로 지 꼴리는대로 사는 범죄자가 되지만, INTP는 흑화해도 방 안에만 틀어박혀서 넷상에서 지랄떠는 [[히키코모리]] 선에서 끝난다. ISTP가 성공하면 대부분 (피지컬이 뛰어날 경우) 군인, 운동 선수, 배우, 메카닉 기능사가 되지만 INTP는 과학자, 엔지니어, 분석가, 예술가가 된다. 어찌보면 INTP는 최상위권 지능, 강철멘탈말고는 별 접점이 없는 [[INTJ]]보다 [[ISTP]]와 내적으로는 더 비슷하면서도 결과는 상극인 유형이라고 볼 수 있음. 뇌피셜이지만 이 둘의 성향이 동시에 드러나는 경우도 있는데<ref>둘의 차이점은 인식 기능으로 (ISTP의 경우 Se, INTP의 경우 Ne) 정말 절반은 ISTP, 절반은 INTP 이런 식으로는 나오지 않는다.</ref>, 보통 혼자서 이런저런 일에 부딪히면서 살아온 INTP가 ISTP의 독립적인 성향을 일부 공유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무르게 살아온 ISTP가 생각할 시간이 많아지며 INTP처럼 창의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 차이점 때문에 ISTP는 흑화하면 실제로 지 꼴리는대로 사는 범죄자가 되지만, INTP는 흑화해도 방 안에만 틀어박혀서 넷상에서 지랄떠는 [[히키코모리]] 선에서 끝난다. ISTP가 성공하면 대부분 (피지컬이 뛰어날 경우) 군인, 운동 선수, 배우, 메카닉 기능사가 되지만 INTP는 과학자, 엔지니어, 분석가, 예술가가 된다. 어찌보면 INTP는 최상위권 지능말고는 별 접점이 없는 [[INTJ]]보다 [[ISTP]]와 내적으로는 더 비슷하면서도 결과는 상극인 유형이라고 볼 수 있음. 뇌피셜이지만 이 둘의 성향이 동시에 드러나는 경우도 있는데<ref>둘의 차이점은 인식 기능으로 (ISTP의 경우 Se, INTP의 경우 Ne) 정말 절반은 ISTP, 절반은 INTP 이런 식으로는 나오지 않는다.</ref>, 보통 혼자서 이런저런 일에 부딪히면서 살아온 INTP가 ISTP의 독립적인 성향을 일부 공유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무르게 살아온 ISTP가 생각할 시간이 많아지며 INTP처럼 창의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고 본다.


ㄴ근데 MBTI 자체의 두번째 글자는 애초에 인식기능 아님? 인식이라는게 정보를 외부로부터 내면으로 프로세싱 하는 건데 우리가 독심술사가 아니면 마음을 볼 수가 없잖아. 그러니 우리는 걔네 성격을 추정하는 건 걔네가 표출하는 감정, 말, 행동을 보는 세 번째 글자(T-F)로 하는 거니까 사실 우리가 보기엔 MBTI에서 두 번째 글자가 다른 쌍은 느낌이 비슷하게 느껴지는 듯. 살아오면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게 다르니까 인생 경험이 쌓일수록 둘이 구별되는 거라고 봄. 예를 들어 겉으로 보기엔 ENFJ나 ESFJ나 비슷해 보이거나, INFJ나 ISFJ나 비슷하게 느껴지는 것 말이지. 근데 확실히 ENFJ와 ENTJ, ESTJ나 ESFJ는 다르게 느껴지잖아.
ㄴ근데 MBTI 자체의 두번째 글자는 애초에 인식기능 아님? 인식이라는게 정보를 외부로부터 내면으로 프로세싱 하는 건데 우리가 독심술사가 아니면 마음을 볼 수가 없잖아. 그러니 우리는 걔네 성격을 추정하는 건 걔네가 표출하는 감정, 말, 행동을 보는 세 번째 글자(T-F)로 하는 거니까 사실 우리가 보기엔 MBTI에서 두 번째 글자가 다른 쌍은 느낌이 비슷하게 느껴지는 듯. 살아오면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게 다르니까 인생 경험이 쌓일수록 둘이 구별되는 거라고 봄. 예를 들어 겉으로 보기엔 ENFJ나 ESFJ나 비슷해 보이거나, INFJ나 ISFJ나 비슷하게 느껴지는 것 말이지. 근데 확실히 ENFJ와 ENTJ, ESTJ나 ESFJ는 다르게 느껴지잖아.
641번째 줄: 641번째 줄:
ㄴ기능 차이로 보면 된다. ISTP는 Ti-Se-Ni-Fe고 INTP는 Ti-Ne-Si-Fe순으로 주 기능인 Ti와 열등 기능인 Fe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슷해 보이는거. 경험상으로 내향성은 INTP가 ISTP보다 더 심한거 같다.
ㄴ기능 차이로 보면 된다. ISTP는 Ti-Se-Ni-Fe고 INTP는 Ti-Ne-Si-Fe순으로 주 기능인 Ti와 열등 기능인 Fe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슷해 보이는거. 경험상으로 내향성은 INTP가 ISTP보다 더 심한거 같다.


이것 외에도 Ne, Ni때문에 사고 방식에 명확한 차이가 있다. INTP는 한 가지 정보에서 여러 개의 결론을 내린다면(Ne) ISTP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한 뒤 한 가지 결론만 내린다(Ni). 시각화하자면 이런식으로
이것 외에도 Ne, Ni때문에 사고 방식에 명확한 차이가 있다. INTP는 한 가지 정보에서 여러 개의 결론을 내린다면 ISTP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한 뒤 한 가지 결론만 내린다. 시각화하자면 이런식으로


ISTP: 정보1, 정보2, 정보3 -> 결론
ISTP: 정보1, 정보2, 정보3 -> 결론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